"각색다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nline Reference) |
|||
134번째 줄: | 134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다식||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478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다식| |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478 | |
|- | |- | ||
− | | 해설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다식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467 | + | | 해설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다식 || |
− | +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467 | |
|- | |-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다식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276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다식 || |
− | +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276 | |
|- | |- | ||
|} | |} |
2020년 11월 24일 (화) 12:50 판
Definition
각색다식[各色茶食]은 날로 먹을 수 있는 곡물가루나 마른 과일가루, 꽃가루 등에 꿀을 넣고 말랑하게 반죽하여 문양이 새겨진 다식틀에 같은 크기로 찍어 낸 각색 다식을 여러 가지 색을 맞춰 고인 음식이다. 조선후기 궁중연향의 진어찬안(進御饌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1887년(고종 24) 1월 경복궁 만경전 정일진찬(正日進饌) 때 신정왕후(神貞王后)의 대왕대비전진어찬안에도 각색다식이 올랐다. 각색다식은 1자 3치로 총 1400개를 고였는데, 녹말 다식, 송화 다식, 흑임자 다식, 청태 다식, 황률 다식을 썼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각색다식 | Food | 음식 | 각색다식[各色茶食] | 각색다식 | 各色茶食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각색다식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각색갑회 |
한자표기 | 各色茶食 |
영문명칭 | |
이칭 | 다식 |
유형 | |
시대 | 조선시대 |
용도 | 궁중연향음식 |
관련인물 |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각색다식 | 한과 | type | |
각색다식 | 진찬의궤 | isMentionedIn | |
각색다식 | 궁중연향 | isUsedIn | |
대왕대비전진어찬안 | 각색다식 | hasPart | |
각색다식 | 녹말다식 | hasPart | |
각색다식 | 송화다식 | hasPart | |
각색다식 | 흑임자다식 | hasPart | |
각색다식 | 청태다식 | hasPart | |
각색다식 | 황률다식 | hasPart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478 | ||
해설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다식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467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다식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276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이효지·한복려·정길자,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인남순 역,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김종수 외,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
안태욱, | 『궁중연향도의 탄생』, | 민속원, 2014. | ||
서인화·박정혜·주디반자일, |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 국립국악원, 2000. | ||
김상보, | 『조선왕조 혼례연향 음식문화』, | 신광출판사, 2003. | ||
황혜성·한복려·정길자, | 『조선왕조 궁중음식』, |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2009. | ||
정혜경, | 『조선 왕실의 밥상』, | 푸른역사,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