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박아(博雅) | + | __NOTOC__ |
+ | ==Definition== | ||
+ | |||
+ |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박아(博雅)는 위(魏)나라의 [[장읍|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이다. 광아(廣雅)라고도 한다(역주 사직서의궤 93쪽).<ref>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광아(廣雅)]", <html><onlinestyle="color:purple">『한국 자전의 역사』, 2012<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br/>박아[博雅]는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 ||
+ |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063&cid=41826&categoryId=41826 박아(博雅)]", <html><onlinestyle="color:purple">『한국고전용어사전』, 2001<sup>online</sup></online></html>,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Semantic Data== | ||
+ | |||
+ | ===Node Description===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운회]] || Record || 문헌 || 유서(類書) || 운회(韻會) || 운회 || 韻會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운회 || | ||
+ | |- | ||
+ | |} |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 |||
+ | * [[틀:문헌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id || [[운회]] | ||
+ | |- | ||
+ | | 한자표기 || 韻會 | ||
+ | |- | ||
+ | | 이칭/별칭 || 「고금 운회(古今韻會)」 / 「고금 운회 거요」 / 「오운 집운(五韻集韻)」 /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 ||
+ | |- | ||
+ | | 유형 || 유서(類書) | ||
+ | |- | ||
+ | | 저자 || [[황공소]] | ||
+ | |- | ||
+ | | 시대 || 원 | ||
+ | |- | ||
+ | | 수량 ||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사직서의궤]] || [[운회]] || [[references]] || | ||
+ | |- | ||
+ | | [[고금운회거요]] || [[운회]] || [[sameAs]] || | ||
+ | |- | ||
+ | | [[고금운회거요]]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 | |- | ||
+ | | [[고금운회거요]] || [[웅충]] || [[creator]] || | ||
+ | |- | ||
+ | | [[고금운회]] || [[황공소]] || [[creator]] || | ||
+ | |- | ||
+ | | [[황공소]] || [[웅충]] || [[hasDisciple]] || | ||
+ | |- | ||
+ | | [[오운집운]] || [[한도소]] || [[creator]] || | ||
+ | |- | ||
+ | | [[임자신간예부운략]] || [[유연]] || [[creator]] || | ||
+ | |- | ||
+ | | [[오운집운]]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 | |- | ||
+ | | [[임자신간예부운략]]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 | |- | ||
+ | | [[운회옥편]] || [[최세진]] || [[creator]] || 운회옥편(韻會玉篇)은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고금운회거요』에 수록된 한자를 자획에 따라 배열하여 1536년에 편찬한 자전. | ||
+ | |- | ||
+ | | [[운회옥편]] || [[고금운회거요]] || [[isDerivativeOf]] ||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 | |||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style="width:15%"| resource || style="width:15%"|title || style="width:20%"|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참고 || AKS 한국학전자도서관 || 韻會 || || https://lib.aks.ac.kr/search/Search.Result.ax?sid=1&q=ALL%3A%E9%9F%BB%E6%9C%83&eq=&mf=true&qt=%EC%A0%84%EC%B2%B4%3D%E9%9F%BB%E6%9C%83&qf=%E9%9F%BB%E6%9C%83&f=&br=&cl=1+2+3+5+6+4+7+8+9+33+12+13+14+15+16+32+31+34+35+39+42+44+45&gr=1+2+3+4+5+6+7&rl=&page=&pageSize=10&s=&st=&h=&cr=&py=&subj=&facet=Y&nd=&vid=0&tabID=&fv= | ||
+ | |- | ||
+ | | 참고 || 百度百科 || 韵会 || || https://baike.baidu.com/item/韵会 | ||
+ | |- | ||
+ | | 참고 || 维基百科 || 古今韻會舉要 || || https://zh.wikipedia.org/wiki/古今韻會舉要 | ||
+ | |- | ||
+ | | 참고 || 한국 자전의 역사 ||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 ||
+ | |- | ||
+ | | 참고 || 한국 자전의 역사 || 운회 옥편[韻會玉篇]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823&cid=51070&categoryId=51070 | ||
+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운회옥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운회옥편&ridx=0&tot=10 | ||
+ | |- | ||
+ | |} | ||
+ | |||
+ |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博雅/14580963 | ||
+ | |||
+ |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广雅/408847 | ||
+ | |||
+ |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廣雅 | ||
+ | |||
+ |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廣雅_(四庫全書本) | ||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 ||
36번째 줄: | 162번째 줄: | ||
[네이버 지식백과] 광아 [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 [네이버 지식백과] 광아 [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조희무, ||「古令韻會擧要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 全南大學校 1998. ||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 <references/>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iframe> |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 | ||
+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
2020년 11월 21일 (토) 11:34 판
Definition
『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박아(博雅)는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이다. 광아(廣雅)라고도 한다(역주 사직서의궤 93쪽).[1]
박아[博雅]는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운회 | Record | 문헌 | 유서(類書) | 운회(韻會) | 운회 | 韻會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운회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운회 |
한자표기 | 韻會 |
이칭/별칭 | 「고금 운회(古今韻會)」 / 「고금 운회 거요」 / 「오운 집운(五韻集韻)」 /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
유형 | 유서(類書) |
저자 | 황공소 |
시대 | 원 |
수량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서의궤 | 운회 | references | |
고금운회거요 | 운회 | sameAs | |
고금운회거요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고금운회거요 | 웅충 | creator | |
고금운회 | 황공소 | creator | |
황공소 | 웅충 | hasDisciple | |
오운집운 | 한도소 | creator | |
임자신간예부운략 | 유연 | creator | |
오운집운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임자신간예부운략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운회옥편 | 최세진 | creator | 운회옥편(韻會玉篇)은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고금운회거요』에 수록된 한자를 자획에 따라 배열하여 1536년에 편찬한 자전. |
운회옥편 | 고금운회거요 | isDerivativeOf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AKS 한국학전자도서관 | 韻會 | https://lib.aks.ac.kr/search/Search.Result.ax?sid=1&q=ALL%3A%E9%9F%BB%E6%9C%83&eq=&mf=true&qt=%EC%A0%84%EC%B2%B4%3D%E9%9F%BB%E6%9C%83&qf=%E9%9F%BB%E6%9C%83&f=&br=&cl=1+2+3+5+6+4+7+8+9+33+12+13+14+15+16+32+31+34+35+39+42+44+45&gr=1+2+3+4+5+6+7&rl=&page=&pageSize=10&s=&st=&h=&cr=&py=&subj=&facet=Y&nd=&vid=0&tabID=&fv= | |
참고 | 百度百科 | 韵会 | https://baike.baidu.com/item/韵会 | |
참고 | 维基百科 | 古今韻會舉要 | https://zh.wikipedia.org/wiki/古今韻會舉要 | |
참고 | 한국 자전의 역사 |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 |
참고 | 한국 자전의 역사 | 운회 옥편[韻會玉篇]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823&cid=51070&categoryId=51070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운회옥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운회옥편&ridx=0&tot=10 |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博雅/14580963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广雅/408847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廣雅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廣雅_(四庫全書本)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네이버 지식백과] 박아[博雅]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063&cid=41826&categoryId=41826
한국 자전의 역사 광아[廣雅] [네이버 지식백과] 광아 [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조희무, | 「古令韻會擧要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 全南大學校 199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