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개념정보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흉례
| |
− | |한자표기= 凶禮
| |
− | |영문명칭=
| |
− | |이칭별칭=
| |
− | |유형= 의례
| |
− | |관련개념= [[상례]]
| |
− | }}
| |
− |
| |
− | =='''정의'''==
| |
− | 조선시대,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상례(喪禮)와 죽은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는 장례(葬禮)를 말한다.
| |
− |
| |
− | =='''내용'''==
| |
− | 조선시대,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상례(喪禮)와 죽은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는 장례(葬禮)를 말한다. 왕실의 상장(喪葬)에 관련된 의식과 산릉(山陵)의 제사, 시호와 책보(冊寶)를 올리는 의식이다. 왕이나 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죽었을 경우 국장(國葬)을 치르게 되는데, 그 장례식에 관련된 일체의 의식과 신위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祔廟) 의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5개월장을 치르고, 궁 안에서 3년 상을 치른 뒤 종묘에 신주를 봉안한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6쪽.</ref>
| |
−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의 [[흉례]]는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나 왕실의 상례 의식은 민간의 상례 의식에 비해 장중하고 복잡하다. 이런 절차는 국가 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의식 중 민간의 상례의식과 다른 것을 예로 들면, 국휼고명을 비롯하여 계령(鷄令)·사위(嗣位)·반교서(頒敎書)·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의정부솔백관진향의(議政府率百官進香儀)·청시종묘의(請諡宗廟儀)·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등이 있다. 그 밖에는 민간의 상례 의식과 비슷하여 대부(大夫)와 사서인(士庶人)의 상례는 [[초종|초종(初終)]]에서 [[담|담(禫)]]까지 모두 38개항의 의절이 있다. 고려 말 이래 준행되어 온 [[주자가례|『가례』]]에 수록된 내용과 거의 같다. [[상례]]라 하면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를 의미하는 데 반해, [[흉례]]는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는 물론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규범적 예전(禮典)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482&cid=46649&categoryId=46649 상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숙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인현왕후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경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정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순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국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예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백관]] || 흉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 |
| ==Definition== | | ==Defini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