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정045 항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 제사에서 제상에 올릴 희생(犧牲) 고기를 담는 도마처럼 생긴 제기이다.<ref>이욱, "[http://encysillok.aks.ac.kr...)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조선시대 | + | 조선시대 국가의 오례인 길례(吉禮), 가례(嘉禮), 군례(軍禮), 빈례(賓禮), 흉례(凶禮)의 여러 의식에서 술항아리에 담겨 있는 술을 받는 술잔.<ref>이현진,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3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작(爵) : [[석전의|《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근 8냥이요, 기둥[柱]까지 전체의 높이는 8촌 2푼, 길이는 3촌 3푼, 아가리의 직경(直徑)의 길이는 6촌 2푼, 속의 너비는 2촌 9푼이요, 두 기둥에 세 발[足]이 있고, 술을 붓는 데와 드는 쇠가 있다."고 하였다. ◎ 爵 : 《釋奠儀》云: "爵重一斤八兩。 通柱高八寸二分, 深三寸三分, 口徑長六寸二分, 闊二寸九分。 兩柱三足, 有流有板金。"<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0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Object || 물품 || 제기 || 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_작(爵) || 세종실록오례_작 || 世宗實錄五禮_爵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_작 || |
−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 | +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id || [[ | + | | id || [[세종실록오례_작]] |
|- | |- | ||
− | | 이칭/별칭 || | + | | 이칭/별칭 || 작 |
|- | |- | ||
| 재질 || | | 재질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_작]] || [[hasPart]]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작]] || [[type]]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柱]까지 전체의 높이는 8寸 2分, 길이는 3寸 3分, 입지름은 6寸 2分, 속의 너비는 2寸 9分, 두 기둥에 세 발[足]이 있고, 술을 붓는 데와 드는 쇠가 있다.” 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0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88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점]]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축판(祝版)의 점(坫) 무게는 2斤 9兩, 세로의 너비는 9寸 2分이다.”고 하였다. 『삼례도(三禮圖)』 에 “점(坫)은 작(爵)을 놓게 하고, 또한 준(尊)을 받들기도 한다.”고 하였다. 지금 판(版)은 축사(祝詞)를 기재하고, 작(爵)은 작헌(酌獻)을 준비하고 있으니, 반드시 둘 곳을 살펴서 두게 되는데, 제사 지내는 일을 삼가하는 뜻으로 점(占) 치는 의의(意義)가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를 점이라 이르게 된다. 지금 틀[範]은 금(金)으로 만들었는데, 그 몸[體]은 네모가 나서 땅에 두어도 평평하여 바르게 된다. 작점(爵坫)도 이와 같다.“고 하였다. 釋奠儀云祝版坫重二斤九兩縱廣九寸二分三禮圖謂坫以致爵亦以承尊今版載祝詞爵備酌獻必審所處而置焉亦欽謹祀事之意有占之義故謂之坫也今範金爲之其體四方措諸地而平正爵坫同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1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89 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3.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국조오례의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요,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이며,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口徑]은 6寸 2分이요,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금(扳金)이 있다.” 했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마시는 그릇으로서 한 되를 담을 만하고,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으로,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扳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ref>『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爵],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br/>『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79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79/1200x1200/ratio/ktc000279-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국조상례보편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작(爵)[술을 드리는 것이다].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다[『의궤(儀軌)』에는 2斤 1兩으로 되어 있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안쪽의 원지름은 2寸 4分, 깊이는 1寸 1分이다. 양 기둥의 높이는 2寸 1分, 세 발의 높이는 3寸 1分이다. 오른쪽 기둥의 아래에 반금(扳金)이 있다[용머리[龍頭]로서, 반달(半月) 모양이다]. 爵[所以奠酒者]爵重一斤八兩[儀軌二斤一兩]口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深三寸三分內圓徑二寸四分深寸一分兩柱高二寸一分三足高三寸一分右柱下有扳金[龍頭半月形]〇坫重二斤九兩[儀軌五斤]方九寸二分圓暈徑三寸八分 <ref>『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880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880/1200x1200/ratio/ktc001880-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춘관통고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춘관통고 권86, 흉례(凶禮)> 작(爵)은 백토(白土)를 구워서 만든다. 입구의 길이는 2寸 5分이고 너비는 1寸 5分이며, 깊이는 2寸이다. 양 기둥과 세 발을 포함한 높이는 3寸이다. 爵用白土燔造口長二寸五分濶寸五分深二寸兩柱三足通高三寸 <ref>『춘관통고』 86권, 흉례(凶禮),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2185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2185/1200x1200/ratio/ktc002185-200/jpg.image"/><br/>조선후기 1788년(정조 12)에 정조(正祖)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등의 내용을 모아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오례(五禮)를 상세하게 기록한 『춘관통고(春官通考)』를 편찬하였다. 작(爵)은 왕실(王室)의 국장(國葬) 때 부장하던 명기(明器)의 하나이다.</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대한예전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금(扳金)이 있다.” 라고 했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마시는 그릇으로서 한 승(升)를 담을 만하고,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으로,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湥三寸 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ref>『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65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65/1200x1200/ratio/ktc001465-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종묘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다. 기둥[柱]까지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길이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기둥이 둘, 발이 셋이며, 수구[流]가 있고 반금(扳金)이 있다."라고 하였다.『시경(詩經)』<예기도설(禮器圖設)>에 이르기를 “작은 마시는 그릇으로, 용량은 1되[升]이다. 윗부분에 있는 양쪽의 기둥은 마시기를 다하지 않는 뜻을 취한 것이니,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ref>『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92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992/1200x1200/ratio/ktc000992-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a7/궁중기록화_물품_작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 | ||
+ | | [[사직서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鋬)이 있다.”라고 하였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鋬詩禮器圖說云上兩柱取飮不盡之意 <ref>『사직서의궤』 1권,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291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291/1200x1200/ratio/ktc001291-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제기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주조하며 12개이다. 기둥까지의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며, 류(流)가 있고 판(板)이 있다. 鑄十二坐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 <ref>『제기도감의궤』 1권, 도감(都監),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75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975/1200x1200/ratio/ktc000975-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작(爵)은 조선시대에 왕실의 제사 때 사용하던 술잔이다. 1611년에도 12개를 주조하여 사용하였다. | ||
+ | |- | ||
+ | | [[경모궁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은 무게가 1斤 8兩, 기둥까지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긴 쪽이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기둥이 2개, 발이 3개이며 수구[流]가 있고 손잡이[銴]가 있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鋬詩禮器圖說云上兩柱取飮不盡之義 <ref>『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152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152/1200x1200/ratio/ktc001152-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 권1, 묘례(廟禮)> 작(爵)과 점(坫)은 각각 3坐이다. 무게는 21斤이다. 爵坫各三坐重二十一斤 <ref>『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 1권, 묘례(廟禮),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77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677/1200x1200/ratio/ktc000677-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작(爵)과 점(坫)은 조선시대에 종묘나 사직 및 왕릉 등에서 거행하는 국가적 제사 때 술을 담는 제기와 그 받침이다. 이 작(爵)과 점(坫)은 단경왕후(端敬王后, 1487-1557)는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의 원비인데 중종반정 이후 폐위되었다가 1739년(영조 15)에 복위되어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 제사에 사용되었다. | ||
+ | |- | ||
+ | | [[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 권2, 3방의궤> 작(爵)은 총 여섯이다. 오례의(五禮儀)에 의해 새롭게 만든다. 각각의 무게는 1斤 8兩이다. 기둥까지의 높이 8寸 2分, 깊이 3寸 3分, 입지름[口徑]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 1兩이다. 기둥은 3足이다. 爵總六新鑄五禮儀各童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 <ref>『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 2권, 3방의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2320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2320/1200x1200/ratio/ktc002320-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조선중기 1610년(광해군2) 선조(宣祖)와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신주(神主)를 종묘(宗廟)로 부묘(祔廟)할 때 작(爵)은 술을 따르던 제기(祭器)로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 권2, 3방의궤> 작(爵)은 셋이다. 각 무게는 1斤 12兩이다. 爵三各重一斤十二兩 <ref>『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 2권, 3방의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2475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2475/1200x1200/ratio/ktc002475-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조선후기 1669년(현종10) 태조(太祖)의 비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신주(神主)를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할 때, 작(爵)은 술을 담는 종묘의 제기(祭器)로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영조국장도감의궤_작]]<ref>"[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47 영조국장도감의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영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도청의궤 권상, 이방 명기질> 작(爵)은 1이다. 자기(磁器)를 쓴다. 입구의 길이는 2寸 5分, 넓이는 1寸 5分, 깊이는 2寸, 두 기둥[柱]과 세 다리[足]가 있으며, 덮개까지 합친 높이는 3寸이다. 爵一用磁口長二寸五分闊寸五分深二寸兩柱三足通高三寸 <ref>『영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도청의궤 권상, 이방 명기질,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4172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4172/1200x1200/ratio/ktc004172-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조선후기 1776년(정조 즉위년) 영조(英祖)의 국장(國葬) 때, 작(爵)은 왕릉에 부장하던 명기(明器)로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 [[정조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작(爵) 4坐는 합한 무게 9斤 12兩이다. 爵四坐合重九斤十二兩 <ref>『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4545 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4545/1200x1200/ratio/ktc004545-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html><br/><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0/09/궁중기록화_물품_작01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html><br/><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2/25/궁중기록화_물품_작02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br/>조선후기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正祖)의 국장(國葬) 때, 작(爵)은 술잔으로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순조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1/12/궁중기록화_물품_작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html><br/><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6/궁중기록화_물품_작_순조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 |
|- | |- | ||
− | | [[ |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6/6a/궁중기록화_물품_작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html><br/><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6/65/궁중기록화_물품_작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 |
|- |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작]]<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c/궁중기록화_물품_작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 ||
− | | [[ | + | | [[점]] || [[작]] || [[goesWith]]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2/궁중기록화_물품_점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사직제]] || [[isUsedIn]] || ||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길례]] || [[isUsedIn]] || ||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가례]] || [[isUsedIn]] || ||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흉례]] || [[isUsedIn]] || || |
|- | |- | ||
− | | [[ | + | | [[제기]] || [[세종실록오례_작]] || [[hasPart]] || || |
|-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작]] || [[석전의]] || [[references]] || || |
|- | |- | ||
|} | |} | ||
131번째 줄: | 159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 +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0# |
|- | |- | ||
− | | 도설 || 국조오례의 || | + | | 도설 || 국조오례의 || 작 ||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 |- | ||
−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 +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작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099&category=A&sWord=작 |
|- | |- | ||
−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 +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작 || ||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keyword=작&setId=279203&target=CRA&sl=&pageNo=3 |
|- | |-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작(爵)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3 |
|- | |- | ||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작(爵)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작(爵) |
|- | |- | ||
− | | 참고 || AKS Encyves || | + | | 참고 || AKS Encyves || 작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 |
|- | |- | ||
− | | 도해 || | + | | 도해 || 세종실록오례 || 작 ||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2.jpg |
|} | |} | ||
190번째 줄: | 218번째 줄: | ||
<html></html> | <html></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 [[분류:박수정_작업]] |
2020년 11월 16일 (월) 23:5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의 오례인 길례(吉禮), 가례(嘉禮), 군례(軍禮), 빈례(賓禮), 흉례(凶禮)의 여러 의식에서 술항아리에 담겨 있는 술을 받는 술잔.[1]
『세종실록오례』 ◎ 작(爵)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근 8냥이요, 기둥[柱]까지 전체의 높이는 8촌 2푼, 길이는 3촌 3푼, 아가리의 직경(直徑)의 길이는 6촌 2푼, 속의 너비는 2촌 9푼이요, 두 기둥에 세 발[足]이 있고, 술을 붓는 데와 드는 쇠가 있다."고 하였다. ◎ 爵 : 《釋奠儀》云: "爵重一斤八兩。 通柱高八寸二分, 深三寸三分, 口徑長六寸二分, 闊二寸九分。 兩柱三足, 有流有板金。"[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세종실록오례_작 | Object | 물품 | 제기 | 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_작(爵) | 세종실록오례_작 | 世宗實錄五禮_爵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_작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세종실록오례_작 |
이칭/별칭 | 작 |
재질 | |
색상 | |
사용처 |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_작 | hasPart | ||
세종실록오례_작 | 작 | type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柱]까지 전체의 높이는 8寸 2分, 길이는 3寸 3分, 입지름은 6寸 2分, 속의 너비는 2寸 9分, 두 기둥에 세 발[足]이 있고, 술을 붓는 데와 드는 쇠가 있다.” 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 [3] | 국사편찬위원회[2] |
세종실록오례_점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축판(祝版)의 점(坫) 무게는 2斤 9兩, 세로의 너비는 9寸 2分이다.”고 하였다. 『삼례도(三禮圖)』 에 “점(坫)은 작(爵)을 놓게 하고, 또한 준(尊)을 받들기도 한다.”고 하였다. 지금 판(版)은 축사(祝詞)를 기재하고, 작(爵)은 작헌(酌獻)을 준비하고 있으니, 반드시 둘 곳을 살펴서 두게 되는데, 제사 지내는 일을 삼가하는 뜻으로 점(占) 치는 의의(意義)가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를 점이라 이르게 된다. 지금 틀[範]은 금(金)으로 만들었는데, 그 몸[體]은 네모가 나서 땅에 두어도 평평하여 바르게 된다. 작점(爵坫)도 이와 같다.“고 하였다. 釋奠儀云祝版坫重二斤九兩縱廣九寸二分三禮圖謂坫以致爵亦以承尊今版載祝詞爵備酌獻必審所處而置焉亦欽謹祀事之意有占之義故謂之坫也今範金爲之其體四方措諸地而平正爵坫同 [4] | 국사편찬위원회[3] |
국조오례의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요,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이며,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口徑]은 6寸 2分이요,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금(扳金)이 있다.” 했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마시는 그릇으로서 한 되를 담을 만하고,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으로,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扳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5] | 한국전통지식포탈[4] |
국조상례보편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작(爵)[술을 드리는 것이다].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다[『의궤(儀軌)』에는 2斤 1兩으로 되어 있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안쪽의 원지름은 2寸 4分, 깊이는 1寸 1分이다. 양 기둥의 높이는 2寸 1分, 세 발의 높이는 3寸 1分이다. 오른쪽 기둥의 아래에 반금(扳金)이 있다[용머리[龍頭]로서, 반달(半月) 모양이다]. 爵[所以奠酒者]爵重一斤八兩[儀軌二斤一兩]口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深三寸三分內圓徑二寸四分深寸一分兩柱高二寸一分三足高三寸一分右柱下有扳金[龍頭半月形]〇坫重二斤九兩[儀軌五斤]方九寸二分圓暈徑三寸八分 [6] | 한국전통지식포탈[5] |
춘관통고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춘관통고 권86, 흉례(凶禮)> 작(爵)은 백토(白土)를 구워서 만든다. 입구의 길이는 2寸 5分이고 너비는 1寸 5分이며, 깊이는 2寸이다. 양 기둥과 세 발을 포함한 높이는 3寸이다. 爵用白土燔造口長二寸五分濶寸五分深二寸兩柱三足通高三寸 [7] | 조선후기 1788년(정조 12)에 정조(正祖)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등의 내용을 모아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오례(五禮)를 상세하게 기록한 『춘관통고(春官通考)』를 편찬하였다. 작(爵)은 왕실(王室)의 국장(國葬) 때 부장하던 명기(明器)의 하나이다. 한국전통지식포탈[6] |
대한예전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금(扳金)이 있다.” 라고 했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마시는 그릇으로서 한 승(升)를 담을 만하고,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으로,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湥三寸 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8] | 한국전통지식포탈[7] |
종묘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이다. 기둥[柱]까지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길이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기둥이 둘, 발이 셋이며, 수구[流]가 있고 반금(扳金)이 있다."라고 하였다.『시경(詩經)』<예기도설(禮器圖設)>에 이르기를 “작은 마시는 그릇으로, 용량은 1되[升]이다. 윗부분에 있는 양쪽의 기둥은 마시기를 다하지 않는 뜻을 취한 것이니,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다.”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濶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 [9] | 한국전통지식포탈[8] 규장각한국학연구원[9] |
사직서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작(爵)의 무게는 1斤 8兩, 기둥을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 있고, 유(流)와 반(鋬)이 있다.”라고 하였다. 『시례기도설(詩禮器圖說)』에 말하기를 “위의 두 기둥은 마셔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鋬詩禮器圖說云上兩柱取飮不盡之意 [10] | 한국전통지식포탈[10] |
제기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주조하며 12개이다. 기둥까지의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 입지름은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두 기둥에 세 발이며, 류(流)가 있고 판(板)이 있다. 鑄十二坐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板 [11] | 한국전통지식포탈[11] 작(爵)은 조선시대에 왕실의 제사 때 사용하던 술잔이다. 1611년에도 12개를 주조하여 사용하였다. |
경모궁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작(爵)은 무게가 1斤 8兩, 기둥까지 합한 높이는 8寸 2分, 깊이는 3寸 3分이다. 입지름은 긴 쪽이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이다. 기둥이 2개, 발이 3개이며 수구[流]가 있고 손잡이[銴]가 있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鋬詩禮器圖說云上兩柱取飮不盡之義 [12] | 한국전통지식포탈[12] |
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 권1, 묘례(廟禮)> 작(爵)과 점(坫)은 각각 3坐이다. 무게는 21斤이다. 爵坫各三坐重二十一斤 [13] | 한국전통지식포탈[13] 작(爵)과 점(坫)은 조선시대에 종묘나 사직 및 왕릉 등에서 거행하는 국가적 제사 때 술을 담는 제기와 그 받침이다. 이 작(爵)과 점(坫)은 단경왕후(端敬王后, 1487-1557)는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의 원비인데 중종반정 이후 폐위되었다가 1739년(영조 15)에 복위되어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 제사에 사용되었다. |
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 권2, 3방의궤> 작(爵)은 총 여섯이다. 오례의(五禮儀)에 의해 새롭게 만든다. 각각의 무게는 1斤 8兩이다. 기둥까지의 높이 8寸 2分, 깊이 3寸 3分, 입지름[口徑] 6寸 2分, 너비는 2寸 9分 1兩이다. 기둥은 3足이다. 爵總六新鑄五禮儀各童一斤八兩通柱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 [14] | 한국전통지식포탈[14] 조선중기 1610년(광해군2) 선조(宣祖)와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신주(神主)를 종묘(宗廟)로 부묘(祔廟)할 때 작(爵)은 술을 따르던 제기(祭器)로 사용하였다. |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 권2, 3방의궤> 작(爵)은 셋이다. 각 무게는 1斤 12兩이다. 爵三各重一斤十二兩 [15] | 한국전통지식포탈[15] 조선후기 1669년(현종10) 태조(太祖)의 비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신주(神主)를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할 때, 작(爵)은 술을 담는 종묘의 제기(祭器)로 사용하였다. |
영조국장도감의궤_작[16]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영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도청의궤 권상, 이방 명기질> 작(爵)은 1이다. 자기(磁器)를 쓴다. 입구의 길이는 2寸 5分, 넓이는 1寸 5分, 깊이는 2寸, 두 기둥[柱]과 세 다리[足]가 있으며, 덮개까지 합친 높이는 3寸이다. 爵一用磁口長二寸五分闊寸五分深二寸兩柱三足通高三寸 [17] | 한국전통지식포탈[16] 조선후기 1776년(정조 즉위년) 영조(英祖)의 국장(國葬) 때, 작(爵)은 왕릉에 부장하던 명기(明器)로 사용하였다. |
정조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작(爵) 4坐는 합한 무게 9斤 12兩이다. 爵四坐合重九斤十二兩 [18] | 한국전통지식포탈[17] AKS Encyves[18] AKS Encyves[19] 조선후기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正祖)의 국장(國葬) 때, 작(爵)은 술잔으로 사용하였다. |
순조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AKS Encyves[20] AKS Encyves[21]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작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AKS Encyves[22] AKS Encyves[23]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작[19] | 세종실록오례_작 | isRelatedTo | AKS Encyves[24] | |
점 | 작 | goesWith | AKS Encyves[25] | |
세종실록오례_작 | 사직제 | isUsedIn | ||
세종실록오례_작 | 길례 | isUsedIn | ||
세종실록오례_작 | 가례 | isUsedIn | ||
세종실록오례_작 | 흉례 | isUsedIn | ||
제기 | 세종실록오례_작 | hasPart | ||
세종실록오례_작 | 석전의 | references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0# | |
도설 | 국조오례의 | 작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작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099&category=A&sWord=작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작 |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keyword=작&setId=279203&target=CRA&sl=&pageNo=3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작(爵)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3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작(爵)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작(爵) | |
참고 | AKS Encyves | 작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작 | |
도해 | 세종실록오례 | 작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2.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 ↑ 이현진, "작",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작,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작",『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점,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점",『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爵,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작,『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춘관통고』 86권, 흉례(凶禮),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사직서의궤』 1권, 제기도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제기도감의궤』 1권, 도감(都監),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단경후복위부묘도감의궤』 1권, 묘례(廟禮),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선조의인왕후부묘도감의궤』 2권, 3방의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 2권, 3방의궤,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영조국장도감의궤",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영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도청의궤 권상, 이방 명기질,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작,
『한국전통지식포털』online , 특허청.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