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도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Definition)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조선고적도보|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915~35년 사이에 축차로 발행된 전15권의 고적 사진첩이다. 사진수는 총6,633장이다. 1909년 9월부터 대한제국 정부의 요청으로 세키노[[關野貞]]가 조선의 옛 건축물 조사를 시행한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이유이며, 실제로는 일제의 조선 침략과정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한일합병과 함께 조선총독부 소관으로 전환되었다. 조사범위는 역사 관련자료 및 미술품까지 이루어졌다. 각 권은 시대순으로 배열했다. 권1의 낙랑군·대방군부터 시작해서 권14의 조선시대 회화와 권15의 도기까지 수록하였다. <ref>.</ref> | [[조선고적도보|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915~35년 사이에 축차로 발행된 전15권의 고적 사진첩이다. 사진수는 총6,633장이다. 1909년 9월부터 대한제국 정부의 요청으로 세키노[[關野貞]]가 조선의 옛 건축물 조사를 시행한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이유이며, 실제로는 일제의 조선 침략과정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한일합병과 함께 조선총독부 소관으로 전환되었다. 조사범위는 역사 관련자료 및 미술품까지 이루어졌다. 각 권은 시대순으로 배열했다. 권1의 낙랑군·대방군부터 시작해서 권14의 조선시대 회화와 권15의 도기까지 수록하였다. <ref>.</ref>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 |- | ||
+ | |||
+ | |} |
2020년 10월 27일 (화) 11:36 판
Definition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915~35년 사이에 축차로 발행된 전15권의 고적 사진첩이다. 사진수는 총6,633장이다. 1909년 9월부터 대한제국 정부의 요청으로 세키노關野貞가 조선의 옛 건축물 조사를 시행한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이유이며, 실제로는 일제의 조선 침략과정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한일합병과 함께 조선총독부 소관으로 전환되었다. 조사범위는 역사 관련자료 및 미술품까지 이루어졌다. 각 권은 시대순으로 배열했다. 권1의 낙랑군·대방군부터 시작해서 권14의 조선시대 회화와 권15의 도기까지 수록하였다. [1]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 조선고적도보 | isPartOf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