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오례 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두]]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_두><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2# 『세종실록』,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두.]</ref>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a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두]]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_두><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2# 『세종실록』,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두.]</ref>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a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두|『세종실록오례』_두]]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 | + | | [[세종실록오례_두|『세종실록오례』_두]]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A는 B보다 편찬시기가 앞선다]]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ref>[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國朝五禮序例』 0001권, 奎185-v.1-2, 044a-044a면,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br>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70 한국전통지식포털.]</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70/1200x1200/ratio/ktc000270-200/jpg.image"/></html> |
|- | |- | ||
− | | [[대한예전_두|『대한예전』_두]] || [[세종실록오례_두|『세종실록오례』_두]] || [[ | + | | [[대한예전_두|『대한예전』_두]] || [[세종실록오례_두|『세종실록오례』_두]] || [[A는 B보다 편찬시기가 앞선다]]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56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56/500x500/crop/ktc001456-200/jpg.image"/></html> |
|- | |- | ||
| [[종묘의궤|『종묘의궤』]] || [[두]]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8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0/03/궁중기록화_물품_두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종묘의궤|『종묘의궤』]] || [[두]]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8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0/03/궁중기록화_물품_두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2020년 10월 6일 (화) 15:16 판
Definition
두(豆)는 제사지낼 때 신위의 오른편에 고기, 젓, 국 따위를 담아놓는 나무로 만든 제기이다. [1] 세종실록오례 ◎ 두(豆)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두(豆)는 나무로 만들었는데, 그 높낮이와, 깊고 얕음과, 아가리의 직경(直徑)과 발[足]의 직경이 모두 변(籩)의 제도에 의거하였다."고 하였다. ◎ 豆 : 《釋奠儀》云: "豆以木爲之。 高下深淺、口徑足徑, 竝依籩制。"[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세종실록오례_두 | Object | 물품 | 제기 | 세종실록오례_두(豆) | 세종실록오례_두 | 세종실록오례_豆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_두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세종실록오례_두 |
이칭/별칭 | |
재질 | 나무 |
색상 | |
사용 신분 | 국가제사, 왕실제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세종실록오례』 | 두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_두>[3] | 국사편찬위원회[2] |
『세종실록오례』_두 | 『국조오례의』 | A는 B보다 편찬시기가 앞선다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4] | |
『대한예전』_두 | 『세종실록오례』_두 | A는 B보다 편찬시기가 앞선다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5] | |
『종묘의궤』 | 두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
『사직서의궤』 | 두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7] | |
『경모궁의궤』 | 두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8] |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두 | documents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두 |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2, 이방 명기질> [9]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두 | documents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10] | 두 | documents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두(豆) | 변(籩)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두(豆) | 소비(疏匕)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두(豆) | 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두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2 | |
도설 | 국조오례의 | 두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두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319&category=A&sWord=두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두 | http://www.cbd-chm.go.kr/home/rsc/rsc01003p_6.do?dt_gbn=TC&data_gbn_cd=BIO&cls_no=120000023992&cls_id=13392&pageIndex=34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변두(籩豆)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0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두&ridx=0&tot=1795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변두(籩豆)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두(籩豆) | |
참고 |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 두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두 | |
도해 | 세종실록 오례 | 두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a02.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