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취고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
 
 
3번째 줄: 3번째 줄:
 
출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전립 전립]", <html><online style="color:purple">『AKS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전립 전립]", <html><online style="color:purple">『AKS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자를 꾸미는 방식은 계급에 따라 다르다. 1866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기록한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반차도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채용신(1850-1941)이 그린 〈대한제국 동가도〉(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에 그려진 취고수(吹鼓手)는 전립의 모정에 붉은색 상모만 장식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
모자를 꾸미는 방식은 계급에 따라 다르다. 1866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기록한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반차도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채용신(1850-1941)이 그린 〈대한제국동가도〉(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에 그려진 취고수(吹鼓手)는 전립의 모정에 붉은색 상모만 장식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분류:김현승-미완성]]
 
[[분류:김현승-미완성]]

2022년 10월 17일 (월) 01:00 기준 최신판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을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笠子)이다. 정수리를 덮는 돔형의 모자(帽子)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

출처: "전립",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자를 꾸미는 방식은 계급에 따라 다르다. 1866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기록한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반차도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채용신(1850-1941)이 그린 〈대한제국동가도〉(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에 그려진 취고수(吹鼓手)는 전립의 모정에 붉은색 상모만 장식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