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행웃치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조선의 왕비, 세자빈, 세손빈,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후궁 등 왕실과 황실의 여성이 적의나 원삼 등 대례복을 입을 때 갖추...)
 
1번째 줄: 1번째 줄:
조선의 왕비, 세자빈, 세손빈,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후궁 등 왕실과 황실의 여성이 적의나 원삼 등 대례복을 입을 때 갖추어 입어야 하는 세 가닥 치마이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71 전행웃치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ref> 남성의 예복 일습 중 상의(上衣) 아래에 앞 3폭, 뒤 4폭의 하상(下裳)을 갖추듯이 여성들도 적의나 원삼을 입고 그 아래에 세가닥 치마인 전행웃치마를 입는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13쪽.</ref>
+
조선의 왕비, 세자빈, 세손빈,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후궁 등 왕실과 황실의 여성이 적의나 원삼 등 대례복을 입을 때 갖추어 입어야 하는 세 가닥 치마이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71 전행웃치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ref> 남성의 예복 일습 중 상의(上衣) 아래에 앞 3폭, 뒤 4폭의 하상(下裳)을 갖추듯이 여성들도 적의나 원삼을 입고 그 아래에 세가닥 치마인 전행웃치마를 입는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13쪽.</ref> 전행웃치마는 앞의 한 자락과 뒤의  두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 붙인다. 앞의 한 자락은 직물 세 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두 자락은 각각 두 폭을 붙여 만든다.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하면 뒤의 두 자락이 바닥에 끌린다. 치맛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주는데, 치맛자락의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스란단은 왕비는 용,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은 봉황무늬를 넣는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br>전행웃치마는 앞의 한 자락과 뒤의  두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 붙인다. 앞의 한 자락은 직물 세 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두 자락은 각각 두 폭을 붙여 만든다.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하면 뒤의 두 자락이 바닥에 끌린다. 치맛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주는데, 치맛자락의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스란단은 왕비는 용,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은 봉황무늬를 넣는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2021년 5월 9일 (일) 14:54 판

조선의 왕비, 세자빈, 세손빈,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후궁 등 왕실과 황실의 여성이 적의나 원삼 등 대례복을 입을 때 갖추어 입어야 하는 세 가닥 치마이다.[1] 남성의 예복 일습 중 상의(上衣) 아래에 앞 3폭, 뒤 4폭의 하상(下裳)을 갖추듯이 여성들도 적의나 원삼을 입고 그 아래에 세가닥 치마인 전행웃치마를 입는다.[2] 전행웃치마는 앞의 한 자락과 뒤의 두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 붙인다. 앞의 한 자락은 직물 세 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두 자락은 각각 두 폭을 붙여 만든다.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하면 뒤의 두 자락이 바닥에 끌린다. 치맛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주는데, 치맛자락의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3] 스란단은 왕비는 용,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은 봉황무늬를 넣는다.[4]

  1. "전행웃치마",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2.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13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
  4.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