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현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22쪽.</ref> |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22쪽.</ref> | ||
− | <ref>문화재청,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345§ionId=ocp&pageIndex=1&strWhere=title&strValue=%eb%8d%95%ec%88%98%ea%b6%81&mn=NS_01_02 궁궐의 현판과 주련- | + | <ref>문화재청,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345§ionId=ocp&pageIndex=1&strWhere=title&strValue=%eb%8d%95%ec%88%98%ea%b6%81&mn=NS_01_02 궁궐의 현판과 주련-덕수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1년 3월 20일 (토) 09:0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덕수궁(德壽宮)은 본디 조선 시대 성종(成宗, 1457~1494)의 형인 월산대군|월산대군(月山大君 李婷, 1454~1489)]]의 집이 있었던 곳이나, 선조(宣祖, 1552~1608)가 임진왜란으로 피난을 갔다 서울로 돌아왔을 때 대부분의 궁궐이 불에 타 이 곳을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貞陵洞行宮)'[1] 이라 불렀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光海君, 1575~1641)은 이 곳 즉조당(卽阼堂)에서 즉위했고, 1611년 이 곳을 행궁에서 궁궐로 높이며 경운궁(慶運宮)이라는 궁호(宮號)를 붙여 주었으나 1618년 창덕궁을 완공하면서 그 곳으로 완전히 옮겨 갔다. 한편 광해군은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仁穆大妃, 1584~1632)를 이 곳에 유폐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인조(仁祖, 1595~1649)역시 이 곳 즉조당에서 즉위한 후 창덕궁으로 옮겨갔다. 그리고 그 후 270여 년동안 이 곳은 궁궐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왕실에서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영조가 선조의 환도(還都) 삼주갑(三周甲)[2] 을 맞아 배례를 행한 일이 있는 정도였다. 덕수궁이 다시 역사에 등장한 것은 고종(高宗, 1852~1919) 때다. 덕수궁은 고종재위 말년에 약 10년 동안 정치적 혼란의 주 무대였다. 고종은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그 이듬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파천)했다가, 1897년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 때를 전후해 궁내에 많은 건물을 지었고, 그제서야 덕수궁은 비로소 궁궐다운 장대한 전각들을 갖추었다. 이 때 역대 임금의 영정을 모신 진전(眞殿)과 궁의 정전(正殿)인 중화전(中和殿) 등이 세워졌으며, 정관헌(靜觀軒)·돈덕전(惇德殿) 등 서양식 건물도 일부 들어섰다. 고종이 경운궁에 머무르고 있던 1904년에 궁에 큰 불이 나 전각의 대부분이 타 버렸으나, 곧 복구에 착수하여 이듬 해인 1905년 즉조당(卽棲堂)·석어당(昔御堂)·경효전(景孝殿)·준명전(浚明殿)·흠문각(欽文閣)·함녕전(咸寧殿) 등을 중건하고, 중화문(中和門)·조원문(朝元門) 등을 세웠다. 1906년 정전(正殿)인 중화전(中和殿)을 완성하고 대안문(大安門)도 수리했는데, 이 문은 그 때부터 대한문(大漢門)으로 이름을 바꾸고 궁의 정문으로 사용했다. 1907년 고종은 제위를 황태자에게 물려주고, 새로 즉위한 순종(純宗, 1874~1926)은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태상황(太上皇)이 된 고종은 계속 경운궁에 머물렀는데, 이 때 궁호를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바꾸고, 1910년에는 궁내에 서양식 대규모 석조 건물인 석조전(石造殿)을 세웠다.
‘덕수(德壽)’는 ‘덕이 높고 오래 산다’는 뜻이다. 중국 송(宋)나라 때도 덕수궁이라는 이름의 궁정이 있었으며, 조선 2대 임금 정종(定宗, 1357~1419)이 태상왕이던 태조(太祖, 1335~1408) 이성계를 위해 개성에 지은 궁궐의 이름도 덕수궁이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덕수궁_현판 | Object | 물품 | 현판 | 현판:德壽宮 | 덕수궁 현판 | 懸板:德壽宮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덕수궁_현판 |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 value |
---|---|
id | [[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덕수궁_현판 | 덕수궁 | isPartOf | |
덕수궁 | 인목대비 | isRelatedTo | |
덕수궁 | 월산대군 | isRelatedTo | |
덕수궁 | 선조 | isRelatedTo | |
덕수궁 | 임진왜란 | isRelatedTo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덕수궁_현판 | 서울특별시 중구 | 덕수궁 현판 | 德壽宮 懸板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Notes
- ↑ 행궁(行宮)은 임금이 추위나 더위를 피해서, 혹은 나들이나 요양 등으로 왕궁을 떠나 있을 때 머물던 별도의 궁궐이다. 경치가 좋은 곳에 짓기도했고, 통치력을 과시하고자 지방 요지에 지어 돌아가며 머물기도 했다. 이궁(離宮)이라고도 한다.
- ↑ 환도(還都)삼주갑(三周甲)은 임진왜란으로 피난 갔던 선조가 다시 도성으로 돌아온 1593년 이후 60년이 세 번 지난 해, 1773년을 뜻한다.
-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22쪽.
-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덕수궁",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