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Definition)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공정책|공정책(空頂幘)]]은 정수리[頂]가 비어 있는[空] 머리싸개[幘]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공정책 공정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시대 관례를 치르지 않은 왕세자나 왕세손이 평상시나,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다.<ref>『國朝續五禮儀補序禮』 | + | [[공정책|공정책(空頂幘)]]은 정수리[頂]가 비어 있는[空] 머리싸개[幘]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공정책 공정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시대 관례를 치르지 않은 왕세자나 왕세손이 평상시나,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다.<ref>『國朝續五禮儀補序禮』 卷2 「嘉禮」'王世子冠禮前幘服制度'</ref><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73쪽.</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1년 1월 12일 (화) 02:30 판
Definition
공정책(空頂幘)은 정수리[頂]가 비어 있는[空] 머리싸개[幘]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1] 조선시대 관례를 치르지 않은 왕세자나 왕세손이 평상시나,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다.[2][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공정책 | Clothing | 복식 | 쓰개 | 공정책(空頂幘) | 공정책 | 空頂幘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공정책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공정책 |
대표명칭 | 공정책 |
한자표기 | 空頂幘 |
이칭/별칭 | |
구분 | 쓰개 |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
착용성별 | 남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