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
141번째 줄: | 141번째 줄: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 | ||
+ | |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 ||
+ | |- | ||
+ | | 金鎭玖,||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 | ||
+ | |- | ||
+ | | 文明玉,||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
+ | |- | ||
+ | | 손경자,||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 ||
+ | |- | ||
+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
+ | |- | ||
+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 | |- | ||
+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
+ | |} | ||
『간송문화』1∼32(한국민족미술연구소,1971∼87)<br/> | 『간송문화』1∼32(한국민족미술연구소,1971∼87)<br/> | ||
148번째 줄: | 171번째 줄: | ||
『간송문화』62(한국민족미술연구소,2002) | 『간송문화』62(한국민족미술연구소,2002) | ||
+ | ==Notes== |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iframe> |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 | ||
+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Place]] [[분류:Place-소장처]] [[분류:박수정]]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Place]] [[분류:Place-소장처]] [[분류:박수정]] |
2020년 8월 15일 (토) 21:22 판
Definition
1938년에 간송 전형필이 세운 보화각(葆華閣)이 현재의 우리나라 최초 사립 박물관인 간송미술관이다. 간송의 활동에 깊게 관여하였던 오세창은 보화각 지석에 “서화는 심히 아름답고 옛 골동품은 자랑할 만하다. 이곳에 모인 것들은 천추의 정화로다. 근역에 남은 주교로 고구 검토할 수 있네. 세상 함께 보배하고 자손 길이 보존하세.”라는 글을 남겨 간송이 모았던 소장품의 가치를 알려 주었다.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1906~1962]은 일제 강점기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지키기 위해 문화재를 수준 높은 안목으로 체계적으로 수집해 문화유산을 수호하고 현재까지 계승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던 인물이다.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던 위창 오세창(吳世昌)은 당시 독립운동가였다. 오세창은 오주석의 아들로 서화가 및 금석학자로 우리나라 서화가의 인명사전이라 할 수 있는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을 간행하였던 인물이었다.
간송이 지켜낸 우리의 문화재로는 국보 제65호 청자 기린형 뚜껑 향로[靑磁麒麟形蓋香爐], 국보 제66호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靑磁象嵌蓮池鴛鴦文淨甁), 국보 제74호 청자 오리 모양 연적[靑磁鴨形硯滴], 국보 제270호 청자 모자원숭이 모양 연적[靑磁母子猿形硯滴], 보물 제238호 백자 박산형 뚜껑 향로[白磁博山形蓋香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일본에 유출된 국보 제135호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風俗圖畵帖)을 파격적인 고가에 다시 사왔고, 1768년에 심사정이 그린 촉석도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산 가격만큼의 거금을 들여 보수를 다시 맡기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헌신적인 노력으로 간송의 소장품에는 회화, 도자, 금속 공예, 불교 조각, 전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보급 문화재들이 포함되어 있다. [1]
간송미술관은 사직제 등 조선시대 국가제사 때 사용하는 제기인 희준과 상준을 소장하고 있다. 18세기 백자이다.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간송미술관 | Place | 소장처 | 미술관 |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간송미술관 | 澗松美術館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간송미술관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세종실록』 오례의 희준 |
이칭/별칭 | 바리모양 희준 |
재질 | 백자, 분청사기, 유기 |
색상 | |
사용 신분 | 국가제사, 왕실제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간송미술관 | 전형필 | founder | ||
『국조오례의』 | 희준 | documents | ||
『국조오례의』 | 상준 | documents | ||
간송미술관 | 희준 | currentLocation | ||
간송미술관 | 상준 | currentLocation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http://kansong.org/ | |
해설 | AKS Encyves | 간송미술관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간송미술관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0539 | |
해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간송 전형필 선생의 일대기 | 2015. 2. 6. | http://dobo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dobong&dataType=01&contents_id=GC04901763 |
참고 | KBS 한국방송 130520_한국의유산 | 간송전형필 | 2013. 5. 21. | https://www.youtube.com/watch?v=0eA7j1OkRWg |
참고 | KBS 역사저널 그날 영상한국사 133 | 간송 전형필, 일본인 거상을 경매에서 물리치다 | 2019.02.17. | https://www.youtube.com/watch?v=MnyEMlLguNw |
참고 | KBS 한국사전 43회 | 국보를 되찾다, 문화유산지킴이 간송 전형필 | 2008.5.31. 방영 | http://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7-0193&program_id=PS-0001051133-01-000§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Y&local_station_code=00 |
참고 | 356회 SBS 스페셜 | 간송이 지켜준 보물 | 2014.03.23(일) 방송일 | https://programs.sbs.co.kr/culture/sbsspecial/vod/53591/22000099269 |
참고 | SBS 뉴스 | 일제에 맞서 지켜낸 보물들…간송이 남긴 '대한콜랙숀' | 2019. 1. 5. | https://news.sbs.co.kr/y/?id=N1005085183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鎭玖, |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 복식문화학회, 1997. | ||
金鎭玖, |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 복식문화학회, 1998. | ||
文明玉, |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손경자, |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 한국복식학회, 1978. | ||
이민주,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최연우, | 『면복』, | 문학동네, 2015.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교문사, 2011. |
『간송문화』1∼32(한국민족미술연구소,1971∼87)
『간송 전형필』(이충렬,김영사,2010)
『간송문화』75(한국민족미술연구소,2008)
『한국미술 100년』(한길사,2006)
『간송문화』62(한국민족미술연구소,200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