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재현물 제작 정보)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악학궤범]]]|| [[ | + | | [[악학궤범]]]|| [[금척]] || [[documents]] || |
* 금척의 가운데에는 “하늘이 금척을 내렸으니, 천명을 받은 징조이다.”라는 뜻의 ‘天賜金尺受命之祥(천사금척수명지상)’이라는 여덟 글자가 새겨져 있다. 자는 금으로 만들었으며, 자의 머리에는 구름과 해의 모양을 조각하였다. 자 밑에는 연꽃의 열매가 들어 있는 송이인 연방(蓮房)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자루를 달고, 자루 끝에는 고리를 단 뒤 색실 매듭을 드리웠다. 자의 길이는 9치 3푼, 너비는 7푼 반, 두께는 1푼 반이었다. 또 해의 지름은 4푼, 해 구름의 크기는 7푼, 연방의 지름은 1치 4푼이었으며, 자루의 길이는 2치 6푼, 자루 끝의 지름은 6치 반이었다.<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금척(金尺) 금척(金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 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Sillokwiki.</ref> | * 금척의 가운데에는 “하늘이 금척을 내렸으니, 천명을 받은 징조이다.”라는 뜻의 ‘天賜金尺受命之祥(천사금척수명지상)’이라는 여덟 글자가 새겨져 있다. 자는 금으로 만들었으며, 자의 머리에는 구름과 해의 모양을 조각하였다. 자 밑에는 연꽃의 열매가 들어 있는 송이인 연방(蓮房)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자루를 달고, 자루 끝에는 고리를 단 뒤 색실 매듭을 드리웠다. 자의 길이는 9치 3푼, 너비는 7푼 반, 두께는 1푼 반이었다. 또 해의 지름은 4푼, 해 구름의 크기는 7푼, 연방의 지름은 1치 4푼이었으며, 자루의 길이는 2치 6푼, 자루 끝의 지름은 6치 반이었다.<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금척(金尺) 금척(金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 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Sillokwiki.</ref> | ||
|| [[파일:금척_악학궤범488.jpg|80px]]<br/><ref>[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EC%8B%A0%EC%97%AD%EC%95%85%ED%95%99%EA%B6%A4%EB%B2%9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488쪽.]</ref> | || [[파일:금척_악학궤범488.jpg|80px]]<br/><ref>[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EC%8B%A0%EC%97%AD%EC%95%85%ED%95%99%EA%B6%A4%EB%B2%9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488쪽.]</ref> |
2020년 12월 19일 (토) 02:09 판
Definition
금척(金尺)은 궁중연향에서 몽금척이라는 당악정재(唐樂呈才)를 춤추고 노래할 때 여령(女伶)이 받드는 금자이다. 『진찬의궤』 정재도에 몽금척이 그려져 있고, 악기도에 금척과 몽금척족자(夢金尺簇子)가 각각 그려져 있다. 정도전이 조선 태조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지은 악장인 몽금척은 조선 태조가 잠저에 있을 때 꿈에 신령이 금자[金尺]를 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국가를 정제하시오”라고 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금척 | Object | 물품 | 금척(金尺) | 금척 | 金尺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금척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금척 |
한자표기 | 金尺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
시대 | 조선시대 |
용도 | |
관련인물 |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진찬의궤 | 금척 | depicts | |
금척 | 무구 | type | |
금척 | 몽금척 | isUsedIn | |
금척 | 조선_태조 | isRelatedTo | |
금척 | 몽금척족자 | isRelatedTo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도식(圖式)」 | 금척 | documents |
|
금척 |
악학궤범] | 금척 | documents |
|
[2]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 금척 | documents | 금척 일러스트[3]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몽금척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784 | |
참고 | 한국민속문학사전 | 금척 |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5750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금척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948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국악원, | 『신역 악학궤범』, | 2000. |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인남순 역,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김종수 외,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Notes
- ↑ 금척(金尺)",
『위키 실록사전』online , Sillokwiki. - ↑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488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2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