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문헌정보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세종실록오례
| |
− | |한자표기=世宗實錄五禮
| |
− | |영문명칭=
| |
− | |이칭=세종실록오례의
| |
− | |유형=문헌
| |
− | |저자=정척(鄭陟), 변효문(卞孝文) 등
| |
− | |역자=
| |
− | |편자=
| |
− | |저술시기=문종~단종
| |
− | |간행시기=1454년(단종 2)
| |
− | |간행처=
| |
− | |간행지=
| |
− | |간행인=
| |
− | |시대=
| |
− | |수량=
| |
− | |크기=
| |
− | |판본=
| |
− | |판사항=
| |
− | |형태사항=
| |
− | |표기문자=
| |
− | |소장처=
| |
− | |청구기호=
| |
− | |지정번호=
| |
− | |지정일=
| |
− | }}
| |
− |
| |
− | 조선시대 국가 운영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던 오례(五禮)에 대한 의식과 그 진행절차를 정리하여 『세종실록』의 부록으로 수록한 책. 이후 조선의 유교화 확립에 기초가 되었으며 성종(成宗) 때에 제작 완료된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저본이 되었다.
| |
−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키 실록사전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 |
− |
| |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70000111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 |
− | 『세종실록』<br/>
| |
− | 『단종실록』<br/>
| |
− | 강제훈, 「조선 『세종실록』『오례』의 편찬 경위와 성격」, 『사학연구』 107, 2012
| |
| __NOTOC__ | | __NOTOC__ |
| ==Definition== | | ==Definition== |
2020년 8월 9일 (일) 11:22 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 운영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던 오례(五禮)에 대한 의식과 그 진행절차를 정리하여 『세종실록』의 부록으로 수록한 책. 이후 조선의 유교화 확립에 기초가 되었으며 성종(成宗) 때에 제작 완료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저본이 되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세종실록오례
|
한자표기 |
世宗實錄五禮
|
이칭/별칭 |
세종실록오례의
|
유형 |
문헌
|
저자 |
정척(鄭陟), 변효문(卞孝文) 등
|
저술시기 |
문종~단종
|
간행시기 |
1454년(단종 2)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강제훈, |
「조선 『세종실록』『오례』의 편찬 경위와 성격」, 『사학연구』 107, |
2012. |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
민속원, 2011. |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金鎭玖, |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
복식문화학회, 1997. |
|
|
최연우, |
『면복』, |
문학동네, 2015. |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교문사, 2011. |
|
|
Notes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