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Data)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주렴|주렴(朱簾)]]은 거북 등 껍질 모양과 비슷한 육각형의 [[귀갑문]](龜甲紋)에 주칠(朱漆)한 대나무 발이다. 왕과 왕비, 왕대비 등 왕실가족뿐만 아니라 [[내명부]]와 [[외명부]](外命婦)가 주로 참여하는 [[궁중연향]]의 [[내연]](內宴)에서 시선차단을 위해 사용하였다. 왕과 백관이 참석하는 [[외연]](外宴)과 달리 내연에는 종친(宗親), 의빈(儀賓), 척신(戚臣) 등 왕실친인척도 참여하기 때문이다. [[갑장]](甲帳)과 [[백목장]](白木帳)과 함께 연향공간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고, 남성들로 구성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다.   
 
[[주렴|주렴(朱簾)]]은 거북 등 껍질 모양과 비슷한 육각형의 [[귀갑문]](龜甲紋)에 주칠(朱漆)한 대나무 발이다. 왕과 왕비, 왕대비 등 왕실가족뿐만 아니라 [[내명부]]와 [[외명부]](外命婦)가 주로 참여하는 [[궁중연향]]의 [[내연]](內宴)에서 시선차단을 위해 사용하였다. 왕과 백관이 참석하는 [[외연]](外宴)과 달리 내연에는 종친(宗親), 의빈(儀賓), 척신(戚臣) 등 왕실친인척도 참여하기 때문이다. [[갑장]](甲帳)과 [[백목장]](白木帳)과 함께 연향공간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고, 남성들로 구성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다.   
==Semantic Data==
+
===재현물 제작 정보===
===Node Descriptio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주렴]]||Object||물품||||주렴(朱簾)||주렴||朱簾||||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주렴||
+
| [[정해진찬의궤|『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도식(圖式)」 || [[향좌아]] || [[documents]] ||
|}
+
* 선그림 기준으로 제작.
===Additional Attributes===
+
* 나무, 금속. 49.3×26cm
* [[틀:물품정보]]
+
|| [[파일:16.향좌아_정해.jpg|120px]]<br/>[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5_00 향좌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대표명칭||주렴
 
|-
 
|한자표기||朱簾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시대||조선시대
 
|-
 
|용도||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주렴]]||[[궁중연향]]||[[isUsedIn]]||
 
|-
 
|[[주렴]]||[[내연]]||[[isRelatedTo]]||
 
|-
 
|[[주렴]]||[[갑장]]||[[isRelatedTo]]||
 
|-
 
|[[주렴]]||[[백목장]]||[[isRelatedTo]]||
 
 
|-
 
|-
|[[기사진표리진찬의궤]]||[[주렴]]||[[depicts]]||
+
 
 +
| [[기사진표리진찬의궤|『기사진표리진찬의궤(己巳進表裏進饌儀軌)』]] 「도식(圖式)」 || [[향좌아]] || [[documents]] ||
 +
|| [[파일:16.향좌아.jpg|120px]]<br/>[http://www.bl.uk/manuscripts/FullDisplay.aspx?index=0&ref=Or_7458 향좌아]
 
|-
 
|-
|[[주렴]]||[[상의원]]||[[isRelatedTo]]||
+
 
 +
|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pageIndex=1&bbsSeq=6599&bizDiv=8&searchGubun=ALL&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 [[향좌아]] || [[documents]] ||
 +
* 나무. 가로 337cm, 세로 286cm.
 +
* 실물 사진대로 제작.
 +
|| [[파일:16.주렴_효명도록.jpg|150px]]<br/>향좌아<ref>국립고궁박물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2019, 143쪽.</ref>
 
|-
 
|-
 
|}
 
|}

2020년 12월 18일 (금) 16:47 판

Definition

주렴(朱簾)은 거북 등 껍질 모양과 비슷한 육각형의 귀갑문(龜甲紋)에 주칠(朱漆)한 대나무 발이다. 왕과 왕비, 왕대비 등 왕실가족뿐만 아니라 내명부외명부(外命婦)가 주로 참여하는 궁중연향내연(內宴)에서 시선차단을 위해 사용하였다. 왕과 백관이 참석하는 외연(外宴)과 달리 내연에는 종친(宗親), 의빈(儀賓), 척신(戚臣) 등 왕실친인척도 참여하기 때문이다. 갑장(甲帳)과 백목장(白木帳)과 함께 연향공간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고, 남성들로 구성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다.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도식(圖式)」 향좌아 documents
  • 선그림 기준으로 제작.
  • 나무, 금속. 49.3×26cm
16.향좌아 정해.jpg
향좌아
『기사진표리진찬의궤(己巳進表裏進饌儀軌)』 「도식(圖式)」 향좌아 documents 16.향좌아.jpg
향좌아
국립고궁박물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향좌아 documents
  • 나무. 가로 337cm, 세로 286cm.
  • 실물 사진대로 제작.
150px
향좌아[1]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d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거북등무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1831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석진영, 한동수,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주렴, 갑장에 관한 연구-수리, 배설 부분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제26(6)』, , 2017.

Notes

  1. 국립고궁박물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2019, 14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