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dditional Attributes) |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준화|준화(樽花)]]는 대형 화병인 [[화준]](畫樽)에 비단으로 만든 홍도화(紅桃花) 또는 벽도화(碧桃花) 2000여 개와 각종 새와 초충들로 꾸며 꽂은 꽃장식이다. 준화를 꽂는 화준은 주로 용문양이 그려진 청화백자인 [[용준]](龍樽)을 사용하였다. 홍도화와 벽도화를 꽂기 때문에 홍벽도화준(紅碧桃花樽)이라고도 한다. 꽃과 꽃 사이에는 학, 공작, 봉황, 까투리 등 새와 초충(草蟲), 비취로 만든 나비를 함께 장식하였다. 준화를 꽂은 화준은 [[궁중연향]]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화려하고 장엄하게 꾸미기 위해 어좌가 놓인 정면 좌우 기둥 앞에 놓인다. 조선시대 궁중연향을 기록한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채화도]](綵花圖)와 [[궁중채화]](宮中綵花)의 제작 기법, 재료, 수량, 가격 등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 + | [[준화|준화(樽花)]]는 대형 화병인 [[화준]](畫樽)에 비단으로 만든 [[홍도화]](紅桃花) 또는 [[벽도화]](碧桃花) 2000여 개와 각종 새와 초충들로 꾸며 꽂은 꽃장식이다. 준화를 꽂는 화준은 주로 용문양이 그려진 청화백자인 [[용준]](龍樽)을 사용하였다. 홍도화와 벽도화를 꽂기 때문에 홍벽도화준(紅碧桃花樽)이라고도 한다. 꽃과 꽃 사이에는 학, 공작, 봉황, 까투리 등 새와 초충(草蟲), 비취로 만든 나비를 함께 장식하였다. 준화를 꽂은 화준은 [[궁중연향]]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화려하고 장엄하게 꾸미기 위해 어좌가 놓인 정면 좌우 기둥 앞에 놓인다. 조선시대 궁중연향을 기록한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채화도]](綵花圖)와 [[궁중채화]](宮中綵花)의 제작 기법, 재료, 수량, 가격 등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2020년 11월 30일 (월) 12:31 판
Definition
준화(樽花)는 대형 화병인 화준(畫樽)에 비단으로 만든 홍도화(紅桃花) 또는 벽도화(碧桃花) 2000여 개와 각종 새와 초충들로 꾸며 꽂은 꽃장식이다. 준화를 꽂는 화준은 주로 용문양이 그려진 청화백자인 용준(龍樽)을 사용하였다. 홍도화와 벽도화를 꽂기 때문에 홍벽도화준(紅碧桃花樽)이라고도 한다. 꽃과 꽃 사이에는 학, 공작, 봉황, 까투리 등 새와 초충(草蟲), 비취로 만든 나비를 함께 장식하였다. 준화를 꽂은 화준은 궁중연향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화려하고 장엄하게 꾸미기 위해 어좌가 놓인 정면 좌우 기둥 앞에 놓인다. 조선시대 궁중연향을 기록한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채화도(綵花圖)와 궁중채화(宮中綵花)의 제작 기법, 재료, 수량, 가격 등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준화 | Object | 물품 | 준화(樽花) | 준화 | 樽花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준화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준화 |
한자표기 | 樽花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
시대 | 조선시대 |
용도 | 궁중연향장식용 |
관련인물 |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준화 | 채화 | type | |
준화 | 진찬의궤 | isMentionedIn | |
준화 | 가례도감의궤 | isMentionedIn | |
준화 | 궁중연향 | isUsedIn | |
화준 | 준화 | goesWith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꽃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255 | |
참고 | 한국궁중채화연구원 | 궁중채화 | http://www.suroflower.com/ | |
참고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중요무형문화재 제124호 궁중채화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7,01240000,38&pageNo=1_1_1_0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화장(花匠)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2954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화준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8165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 편, | 『아름다운 궁중채화: 황수로의 한국채화이야기』, | 수류산방, 2004. | ||
황수로, | 『아름다운 한국채화 1,2』, | 노마드북스, 2009. | ||
장경희, | 『의궤 속 조선의 장인』, | 솔과학, 2013. | ||
박은주, | 「조선후기 조화의 유형과 변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5. | ||
황수로, | 「한국 假花의 종류와 특성」, 『문물연구 12』, | 2007. | ||
김혜자, | 「조선시대 궁중연향에 장식된 채화에 관한 연구」, 『한국꽃예술학회지』 13-1, | 2008. | ||
유재빈, | 「궁중행사도와 의궤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연향과 채화-진화의식과 잠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8,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