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참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Definition)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참봉은 조선시대 돈녕부·관상감(觀象監)·군기시·군자감·내의원 등 여러 관서에 소속된 종9품 관직이다 | + | 참봉은 조선시대 돈녕부·관상감(觀象監)·군기시·군자감·내의원 등 여러 관서에 소속된 종9품 관직이다.<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참봉(參奉) 참봉(參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Sillokwiki.</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0년 11월 22일 (일) 18:49 판
Definition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1] 참봉은 조선시대 돈녕부·관상감(觀象監)·군기시·군자감·내의원 등 여러 관서에 소속된 종9품 관직이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사직서도제조 | Concept | 경관직 | 사직서 |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 사직서도제조 | 社稷署都提調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서도제조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
품계 | 정1품 |
주제 | 길례, 관직 |
관련 관서 | 사직서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서참봉 | 참봉 | type | |
종9품 | 참봉 | hasPart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제조 | isRelatedTo | B는 A의 하위 계급에 해당하는 관계어? |
사직서제조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사직서령 | 사직서참봉 | isRelatedTo | |
김해(金垓)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윤인미(尹仁美)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송자강(宋自剛)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유언겸(兪彦謙)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성운(成運)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신응구(申應榘)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신순(申楯)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유노증(兪魯曾)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이진행(李震行) | 사직서참봉 | servesAs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직서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해설 | 위키백과 | 정1품 | https://ko.wikipedia.org/wiki/정1품 | |
해설 | AKS Encyves | 도제조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도제조 | |
해설 | 위키백과 | 종1품 | https://ko.wikipedia.org/wiki/종1품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도제조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00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제조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도제조&ridx=0&tot=1621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도제조(都提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도제조(都提調) | |
참고 |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 | 도제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김문식·신병주 저, |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 돌베개,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병주, |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 ||
신명호, |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 돌베개, 2002. | ||
한형주, | 『종묘와 궁묘』, | 민속원, 2016. | ||
한영우, |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 일지사, 2005. | ||
강문식·이현진, | 『종묘와 사직』, | 책과함께, 2011. | ||
강문식, |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 일지사, 2007. | ||
박재영, |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