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삼례도는 송(宋)나라 [[섭숭의|섭숭의(聶崇義)]](생졸년대미상)와 명나라 [[유적|유적(劉績)]]이 찬(撰)한 것이 있다. 三禮의 圖譜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 + | 삼례도는 송(宋)나라 [[섭숭의|섭숭의(聶崇義)]](생졸년대미상)와 명나라 [[유적|유적(劉績)]]이 찬(撰)한 것이 있다. 三禮의 圖譜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
+ | 예로부터 정현본(鄭玄本)과 완심본(阮諶本)과 하후복랑본(夏侯伏朗本)과 장일본(張鎰本)과 양정본(梁正本)과 개황관찬본(開皇官撰本) 6종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전하지 않고, 다른 두 가지 본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송나라 섭숭의(聶崇義)가 편찬한 것으로 모두 20권본이다. 섭숭의가 왕명을 받아 교묘제례(郊廟祭禮)를 정비했는데, 이때 옛 《삼례도》를 가져다 고증하여 별도의 《삼례도》를 만들었으나 소략하고 잘못된 부분이 많다고 비판받았다. 또 하나는 명나라 유적(劉績)이 편찬한 것으로 모두 4권본이다. 육전(陸佃)의 《예상(禮象)》과 진상도(陳祥道)의 《예서(禮書)》와 임희일(林希逸)의 《고공기해(考工記解)》 등을 저본으로 편찬하였는데 섭숭의가 편찬한 것과는 크게 다르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344A_0970_000_0010&solrQ=query%E2%80%A0%E5%8A%89%E7%B8%BE$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4$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0344A_0970_000_0010) | ||
2020년 7월 28일 (화) 16:21 판
삼례도는 송(宋)나라 섭숭의(聶崇義)(생졸년대미상)와 명나라 유적(劉績)이 찬(撰)한 것이 있다. 三禮의 圖譜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예로부터 정현본(鄭玄本)과 완심본(阮諶本)과 하후복랑본(夏侯伏朗本)과 장일본(張鎰本)과 양정본(梁正本)과 개황관찬본(開皇官撰本) 6종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전하지 않고, 다른 두 가지 본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송나라 섭숭의(聶崇義)가 편찬한 것으로 모두 20권본이다. 섭숭의가 왕명을 받아 교묘제례(郊廟祭禮)를 정비했는데, 이때 옛 《삼례도》를 가져다 고증하여 별도의 《삼례도》를 만들었으나 소략하고 잘못된 부분이 많다고 비판받았다. 또 하나는 명나라 유적(劉績)이 편찬한 것으로 모두 4권본이다. 육전(陸佃)의 《예상(禮象)》과 진상도(陳祥道)의 《예서(禮書)》와 임희일(林希逸)의 《고공기해(考工記解)》 등을 저본으로 편찬하였는데 섭숭의가 편찬한 것과는 크게 다르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344A_0970_000_0010&solrQ=query%E2%80%A0%E5%8A%89%E7%B8%BE$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4$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0344A_0970_000_0010)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자도서관 三禮圖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46894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삼례도(奎中5666)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C05666_00¬es=basic
≪四庫全書總目提要≫‚ ≪四庫大辭典≫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三礼图/2549212
維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三禮圖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三禮圖_(四庫全書本)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wiki.pl?if=gb&res=983214
https://ci.nii.ac.jp/ncid/BA52393679
https://www.kanripo.org/text/KR1d0078/
https://www.digital.archives.go.jp/das/meta/M2015072911333662223
https://www.digital.archives.go.jp/das/meta/listPhoto?LANG=default&BID=F1000000000000093727&ID=M2015072911333662223&TYPE=&NO=
https://kotobank.jp/word/%E4%B8%89%E7%A4%BC%E5%9B%B3-1170444
三礼図(読み)さんらいず(英語表記)Sān lǐ tú
三礼図 Sān lǐ tú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中国,宋の聶崇義(せつすうぎ)の撰。20巻。礼(れい)の経典である《儀礼(ぎらい)》《周礼(しゆらい)》《礼記(らいき)》の3書は,本文だけを読んでも理解困難な部分が多いところから,その中に出る衣冠や用具,施設などを図に描いたもの。その際,鄭玄(じようげん)らの著した6種の旧図を用いたと称するが,鄭玄の旧図の存在などについては疑問がある。この書物の編纂は五代の末年に宮廷の礼制を整える仕事から始まり,宋代に入って完成したあと,その図は国子監の壁にも描かれたという。
出典 株式会社平凡社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について 情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기쿠치 다케미쓰(菊池武愼)"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BZ-2101&callType=srch&dataID=1122@AKS-2012-EBZ-2101_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