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궐도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북궐도형|북궐도형(北闕圖形)]]은 1865년 [[고종2]]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궐(경복궁)의 건물배치도이다. 1첩(帖)이며, 전체 크기는 280㎝×432㎝이다. 도면 전체를 1.1㎝×1.1㎝ 크기의 눈금으로 나누어 붉은색 선을 긋고, 이를 기준선으로 삼아 경복궁 남문인 광화문으로부터 북문인 신무문까지의 건물 배치상황을 검은 먹줄로 그렸다. 건물의 각 칸에는 용도에 따라 방(房)·청(廳)·주(廚)·문(門) 등을 써넣었으며, 주요 건물에는 이름, 공포형식(栱包形式), 칸수, 기둥의 높이와 간격 등을 작은 글씨로 적어 넣었다. 이것은 1890년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지(宮闕誌)와 일치하여 경복궁 복원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신무문 밖의 후원(後苑)에 대한 「북궐후원도형(北闕後苑圖形)」도 제작되었으며, 궁궐도로서 「동궐도형(東闕圖形)」과 「서궐도안(西闕圖案)」(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이 전해지고 있다. <ref>.</ref> |
2020년 10월 5일 (월) 12:10 판
Definition
북궐도형(北闕圖形)은 1865년 고종2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궐(경복궁)의 건물배치도이다. 1첩(帖)이며, 전체 크기는 280㎝×432㎝이다. 도면 전체를 1.1㎝×1.1㎝ 크기의 눈금으로 나누어 붉은색 선을 긋고, 이를 기준선으로 삼아 경복궁 남문인 광화문으로부터 북문인 신무문까지의 건물 배치상황을 검은 먹줄로 그렸다. 건물의 각 칸에는 용도에 따라 방(房)·청(廳)·주(廚)·문(門) 등을 써넣었으며, 주요 건물에는 이름, 공포형식(栱包形式), 칸수, 기둥의 높이와 간격 등을 작은 글씨로 적어 넣었다. 이것은 1890년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지(宮闕誌)와 일치하여 경복궁 복원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신무문 밖의 후원(後苑)에 대한 「북궐후원도형(北闕後苑圖形)」도 제작되었으며, 궁궐도로서 「동궐도형(東闕圖形)」과 「서궐도안(西闕圖案)」(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이 전해지고 있다.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