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nline Reference)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주척|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ref>"[ | + | [[주척|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주척]",『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주척]] || Object || 물품 || | + | | [[주척]] || Object || 물품 || || 주척(周尺) || 주척 || 周尺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주척 || |
|- | |-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Additional Attributes=== | ===Additional Attributes===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주척]] || [[공조]] || [[isUsedIn]] ||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Spatial Data== | ||
43번째 줄: | 50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주척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주척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
|- | |- | ||
| 사진 || 국립고궁박물관 || 유척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 | 사진 || 국립고궁박물관 || 유척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 ||
+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도량형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586 | ||
+ | |- | ||
|} | |} | ||
2020년 12월 6일 (일) 17:42 판
Definition
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주척 | Object | 물품 | 주척(周尺) | 주척 | 周尺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주척 |
Additional Attributes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주척 | 공조 | isUsedIn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Spatial Relations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empor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주척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 |
사진 | 국립고궁박물관 | 유척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도량형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586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