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색주악화전단자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은 각색주악과 화전, 단자병 위에 찰가루를 가지고...)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은 각색주악과 화전, 단자병 위에 찰가루를 가지고 먹기 편하게, 작고 예쁘게 만든 웃기떡 세 가지를 고인 음식이다. 조선후기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은 각색주악과 화전, 단자병 위에 찰가루를 가지고 먹기 편하게, 작고 예쁘게 만든 웃기떡 세 가지를 고인 음식이다. 조선후기 [[궁중연향]]의 [[진어찬안]](進御饌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예를 들면, 1887년(고종 24) 1월 [[경복궁]] [[만경전]] [[정일진찬]](正日進饌) 때 대왕대비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의 대왕대비전진어상에도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이 올랐다. 각색주악화전단자병은 높이 1자로 고였으며, 4종류 색깔을 낸 각색주악(助岳)과 화전, 각색단자를 썼다. 흰색주악은 찹쌀가루 반죽에 거피팥 소를 넣어 빚어서 기름에 지져 꿀에 즙청한 것이고, 붉은 색 주악은 찹쌀가루에 대추를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이다. 노랑색 주악은 찹쌀가루에 치자 우린 물을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 녹색주악은 찹쌀가루에 파래가루를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이다. 화전은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어 참기름에 지져서 꿀을 바른 떡이고, 각색단자는 찹쌀가루에 쑥이나 찹쌀가루를 섞어 반대기를 지어 삶거나 쪄서 치대어 거피팥고물·밤채·대추채고물·실깨 등의 고물을 무친 떡이다.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Food|| 음식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各色助岳花煎團子餠 ||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Food|| 음식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各色助岳花煎團子餠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각색주악화전단자병 |
+ | || | ||
|- | |- | ||
|} | |} | ||
24번째 줄: | 25번째 줄: | ||
|이칭=주악, 화전, 단자병 | |이칭=주악, 화전, 단자병 | ||
|유형= | |유형= | ||
− | |관련개념= | + | |관련개념=궁중연향음식 |
}} | }} | ||
36번째 줄: | 37번째 줄: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진찬의궤]] || [[isMentionedIn]]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진찬의궤]] || [[isMentionedIn]] || | ||
|- |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궁중연향]] || [[isUsedIn]] || |
|- | |- | ||
| [[진어찬안]]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hasPart]] || | | [[진어찬안]]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hasPart]] || | ||
|- |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 | +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궁중연향음식]] || [[isRelatedTo]] || |
|- | |- | ||
|} | |} | ||
46번째 줄: | 47번째 줄: | ||
==Spatial Data== | ==Spatial Data== |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105번째 줄: | 106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 resource || title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주악||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33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주악||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33 | ||
149번째 줄: | 150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 | <references/>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Food ]] [[분류:Food-음식]] [[분류:김지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Food ]] [[분류:Food-음식]] [[분류:김지영]] |
2020년 10월 21일 (수) 16:51 판
Definition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은 각색주악과 화전, 단자병 위에 찰가루를 가지고 먹기 편하게, 작고 예쁘게 만든 웃기떡 세 가지를 고인 음식이다. 조선후기 궁중연향의 진어찬안(進御饌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예를 들면, 1887년(고종 24) 1월 경복궁 만경전 정일진찬(正日進饌) 때 대왕대비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의 대왕대비전진어상에도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이 올랐다. 각색주악화전단자병은 높이 1자로 고였으며, 4종류 색깔을 낸 각색주악(助岳)과 화전, 각색단자를 썼다. 흰색주악은 찹쌀가루 반죽에 거피팥 소를 넣어 빚어서 기름에 지져 꿀에 즙청한 것이고, 붉은 색 주악은 찹쌀가루에 대추를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이다. 노랑색 주악은 찹쌀가루에 치자 우린 물을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 녹색주악은 찹쌀가루에 파래가루를 섞어 흰색과 같은 방법으로 한 것이다. 화전은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어 참기름에 지져서 꿀을 바른 떡이고, 각색단자는 찹쌀가루에 쑥이나 찹쌀가루를 섞어 반대기를 지어 삶거나 쪄서 치대어 거피팥고물·밤채·대추채고물·실깨 등의 고물을 무친 떡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Food | 음식 | 각색주악화전단자병[各色助岳花煎團子餠]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各色助岳花煎團子餠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각색주악화전단자병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各色助岳花煎團子餠) |
|
대표명칭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
한자표기 | 各色助岳花煎團子餠 |
이칭 | 주악, 화전, 단자병 |
관련개념 | 궁중연향음식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떡 | type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진찬의궤 | isMentionedIn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궁중연향 | isUsedIn | |
진어찬안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hasPart | |
각색주악화전단자병 | 궁중연향음식 | isRelatedTo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주악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33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단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648 | |
해설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주악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33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화전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199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이효지·한복려·정길자,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인남순 역,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김종수 외,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
안태욱, | 『궁중연향도의 탄생』, | 민속원, 2014. | ||
서인화·박정혜·주디반자일, |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 국립국악원, 2000. | ||
김상보, | 『조선왕조 혼례연향 음식문화』, | 신광출판사, 2003. | ||
황혜성·한복려·정길자, | 『조선왕조 궁중음식』, |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2009. | ||
정혜경, | 『조선 왕실의 밥상』, | 푸른역사,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