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Online Reference) |
(→Online Referenc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__NOTOC__ | ||
+ | ==Definition== | ||
+ | |||
+ | 조선시대에 토신(土神)인 사(社)와 곡신(穀神)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낸 제단. 사직단은 토신과 곡신을 모신 단으로, 여러 종류의 제사가 행해졌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중춘(仲春)·중추(仲秋)의 첫 술일(戌日)과 납일(臘日)에 행한 세 차례의 정기 대제(大祭)로, 대사(大祀)의 규례로 지냈다. 서울에 조선의 국사(國社)·국직(國稷)을 제사하는 사직단을 둔 것과 같은 원리로, 각 주현에는 그 지역의 토신과 곡신을 제사하는 사직단을 두었다. 보통 각 고을의 서쪽에 사와 직의 단을 같이 만들고, 음력 2월과 8월인 중춘(仲春)·중추(中樞) 첫 술일에 연 2회 제사하였다.<ref>강제훈,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444 사직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
+ | ==Semantic Data== | ||
+ | |||
+ | ===Node Description===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사직단]] || Architecture || 제단 || || 사직단(社稷壇) || 사직단 || 社稷壇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단 || | ||
+ | |- | ||
+ | |} |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 |||
+ | * [[틀:문헌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id || [[사직단]] | ||
+ | |- | ||
+ | | 한자표기 || 社稷壇 | ||
+ | |- | ||
+ | | 이칭/별칭 || | ||
+ | |- | ||
+ | | 유형 || 제단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사직서의궤]] || [[사직단]] || [[documents]] || | ||
+ | |- | ||
+ | | [[사직서등록]] || [[사직단]] || [[documents]] || | ||
+ | |- | ||
+ | | [[사직제]] || [[사직단]] || [[isPerformedAt]] ||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 | |||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Online Reference== | ||
4번째 줄: | 107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실록사전 || 사직단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단(社稷壇) |
+ | |- | ||
+ | | 참고 || Encyves || 사직단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 ||
+ | |- | ||
+ | | 참고 || 위키백과 || 서울 사직단 || ||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_사직단 | ||
+ | |- | ||
+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사직단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3&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search_left_menu=6 | ||
+ | |- | ||
+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사직단유도설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OrgFilePopup.do?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content_seq=3 | ||
+ | |- | ||
+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사직단과 문묘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10&index_id=cp03100410&content_id=cp031004100001&search_left_menu=8 | ||
+ | |- | ||
+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종묘와 사직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 ||
+ | |- | ||
+ | | 참고 || KBS 한국의 유산 || 사직단 편 || 2013. 8. 3. || https://www.youtube.com/watch?v=IRrOyVEs23g | ||
+ | |- | ||
+ | | 참고 || TBS 집중리포트 || 사직단 복원 논란 || 2015. 2. 13. || https://www.youtube.com/watch?v=dKjEUrphjm8 | ||
+ | |- | ||
+ | | 참고 || CBS 시사자키 || 사직공원 효자공원이 사라진다고? 대통령도 아실까? || 2020. 6. 26.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시민행동' 맹지연 집행위원장 이슈인터뷰 || https://www.youtube.com/watch?v=ZxtTrcu5OE0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YTN 뉴스 || '조선의 상징' 사직단 복원 첫발...전사청 권역 발굴 || 2015. 11. 20. || https://www.youtube.com/watch?v=rCjqgWT26lk |
+ | |- | ||
+ | | 참고 || 무지개TV || 한국의 유산 조선시대 제단 사직단 || 2019. 6. 25. || https://www.youtube.com/watch?v=1fFBmcOwMNs | ||
+ | |- | ||
+ | | 동영상 || 서울디자인자산 || 사직단 || 2011. 7. 27. || https://www.youtube.com/watch?v=_qYmDX64ZKY | ||
+ | |- | ||
+ | | 동영상 || 예올 ||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 || 2014. 7. 29. || https://www.youtube.com/watch?v=KzfDSGc3osc | ||
+ | |- | ||
+ | | 동영상 || 예올 || 사직단 잠에서 깨어나다 || 2014. 12. 4. || https://www.youtube.com/watch?v=Z57NBsxthH4 | ||
+ | |- | ||
+ | | 동영상 || 여행하는 차돌맹이 || 토지신과 곡식신을 모신 사직단을 아시나요? || 2019. 8. 7. || https://www.youtube.com/watch?v=T8j0JMZdyro |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6 - 조선초기의 문화 1』,|| 국사편찬위원회, 1995.|| || | ||
+ | |- | ||
+ | |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 일지사, 2007.|| || | ||
+ | |- | ||
+ | | 박례경,|| 「조선시대 국가전례에서 사직제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규장각』29, 2006.|| || | ||
+ | |- | ||
+ | | 이영춘,|| 「사직제의 기원과 변천」,|| 『인하사학』10, 2003.|| || | ||
+ | |- | ||
+ | | 이욱,||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 - 장서각 소장 사직서 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 2000.|| || | ||
+ | |- | ||
+ | | 한형주,|| 「조선 태종·세종대 사직제의 이해와 운영」,|| 『한국사학보』6, 1999.|| || | ||
+ | |} | ||
+ | |||
+ | ==Notes== | ||
+ | |||
+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제단]] [[분류:박수정]] |
2020년 12월 24일 (목) 11:0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에 토신(土神)인 사(社)와 곡신(穀神)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낸 제단. 사직단은 토신과 곡신을 모신 단으로, 여러 종류의 제사가 행해졌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중춘(仲春)·중추(仲秋)의 첫 술일(戌日)과 납일(臘日)에 행한 세 차례의 정기 대제(大祭)로, 대사(大祀)의 규례로 지냈다. 서울에 조선의 국사(國社)·국직(國稷)을 제사하는 사직단을 둔 것과 같은 원리로, 각 주현에는 그 지역의 토신과 곡신을 제사하는 사직단을 두었다. 보통 각 고을의 서쪽에 사와 직의 단을 같이 만들고, 음력 2월과 8월인 중춘(仲春)·중추(中樞) 첫 술일에 연 2회 제사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사직단 | Architecture | 제단 | 사직단(社稷壇) | 사직단 | 社稷壇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단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사직단 |
한자표기 | 社稷壇 |
이칭/별칭 | |
유형 | 제단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서의궤 | 사직단 | documents | |
사직서등록 | 사직단 | documents | |
사직제 | 사직단 | isPerformedAt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 26 - 조선초기의 문화 1』, | 국사편찬위원회, 1995. | ||
정옥자 외, |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 일지사, 2007. | ||
박례경, | 「조선시대 국가전례에서 사직제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 『규장각』29, 2006. | ||
이영춘, | 「사직제의 기원과 변천」, | 『인하사학』10, 2003. | ||
이욱, |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 - 장서각 소장 사직서 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 『장서각』4, 2000. | ||
한형주, | 「조선 태종·세종대 사직제의 이해와 운영」, | 『한국사학보』6, 1999.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