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887년(고종 24) 1월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br> | 1887년(고종 24) 1월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br> | ||
− |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무산향(舞山香)'은 비단으로 만든 아모(砑帽)에 붉은 꽃을 꽂고 대모반(玳冒盤) 위에서 추는 독무로<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16쪽</ref>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홍색 갑사[紅甲紗]로 안감을 넣은 남색의 착수의(窄袖衣)와 금가자(金訶子), 홍색웃치마[紅綃裳] 초록색 갑사로 만든 쾌자[綠甲紗掛子]를 입고, 허리에는 남색 전대[藍戰帶]를 두르며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드리우고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었다.<ref>『(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進饌時…舞山香呈才女伶戴花冠著藍紬內拱紅甲紗窄袖衣金訶子紅綃裳綠甲紗掛子繫五色汗衫藍戰帶眞紅緞鞋…】</ref>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ref>『(丁亥)進饌儀軌』 卷2 '饌品' "綵花【…呈才女伶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ref> | + |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무산향(舞山香)'은 비단으로 만든 아모(砑帽)에 붉은 꽃을 꽂고 대모반(玳冒盤) 위에서 추는 독무로<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16쪽.</ref>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홍색 갑사[紅甲紗]로 안감을 넣은 남색의 착수의(窄袖衣)와 금가자(金訶子), 홍색웃치마[紅綃裳] 초록색 갑사로 만든 쾌자[綠甲紗掛子]를 입고, 허리에는 남색 전대[藍戰帶]를 두르며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드리우고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었다.<ref>『(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進饌時…舞山香呈才女伶戴花冠著藍紬內拱紅甲紗窄袖衣金訶子紅綃裳綠甲紗掛子繫五色汗衫藍戰帶眞紅緞鞋…】</ref>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ref>『(丁亥)進饌儀軌』 卷2 '饌品' "綵花【…呈才女伶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Clothing || 복장 || 정재여령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舞山香)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 舞山香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Clothing || 복장 || 정재여령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舞山香)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舞山香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
|} |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대표명칭||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대표명칭||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
− | |한자표기|| 舞山香 | + | |한자표기||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舞山香 |
|- | |- | ||
|이칭별칭|| | |이칭별칭||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정해년진찬_수공화-정재여령]]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화관-무산향]]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남색착수의-무산향]]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금가자]]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녹색전복]]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남색전대]]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초록저고리]]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홍색웃치마]] || [[hasPart]]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남색치마]]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오색한삼]]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진홍단혜]]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버선]]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가슴가리개]]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적삼]]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속속곳]]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속바지]]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단속곳]] || [[hasPar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정재18_무산향]] || [[isWornAt]] || | ||
+ | |- | ||
+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wears]] || | ||
|- | |- | ||
|} | |} | ||
67번째 줄: | 89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 해설 || 국립고궁박물관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유물번호 고궁2759 ||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22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무산향(舞山香)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078 | ||
|- | |- | ||
|} | |} | ||
77번째 줄: | 101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 『(丁亥)進饌儀軌』 || || || | ||
+ | |- | ||
+ | | 강민정, || 「朝鮮時代 宮中呈才에 나타난 童妓服飾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글항아리, 2009. || || | ||
+ | |- | ||
+ | | 김경실, || 『조선시대 궁중진연 복식』, || 경춘사, 2003. || || | ||
+ | |- | ||
+ | | 김소현, ||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제61권 10호, || 2011, 55-71쪽. || || | ||
+ | |- | ||
+ | | 김소현, ||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 민속원, 2017. || || | ||
+ | |- | ||
+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 | ||
|- | |- | ||
| 박가영, || 『조선시대 궁중 패션』, || 민속원, 2017. || || | | 박가영, || 『조선시대 궁중 패션』, || 민속원, 2017. || || | ||
|- | |- | ||
− | | | + | | 안태욱, || 『궁중연향도의 탄생』, || 민속원, 2014. || || |
+ | |- | ||
+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 의장차비(儀仗差備)와 의장군(儀仗軍) 복식」, 『한복문화』 제20권 3호, || 한복문화학회, 2017, 85-104쪽. || || | ||
+ | |- | ||
+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산선시위(繖扇侍衛) 복식 유형」, 『한복문화』 제19권 2호, || 한복문화학회, 2016, 123-142쪽. || || | ||
+ | |- | ||
+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정재차비(呈才差備)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19권 4호, || 한복문화학회, 2016, 151-169쪽. || || | ||
+ | |- | ||
+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內外賓)의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20권 2호, || 한복문화학회, 2017, 61-80쪽. || || | ||
+ | |- | ||
+ | | 인남순,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 ||
|- | |- | ||
| 趙美羅, || 「조선후기 純祖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 | 趙美羅, || 「조선후기 純祖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 ||
+ | |- | ||
+ | | 진덕순·이은주, ||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제37집, || 국립국악원, 2018, 353-388쪽. || || | ||
+ | |-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2, || 민속원, 2005. || || | ||
+ | |- | ||
+ | | 한복려·이효지·정길자,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 ||
+ | |- | ||
+ | | 황진영, ||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韓國服飾』 제40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 || | ||
|- | |- | ||
|} | |} | ||
89번째 줄: | 145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 | + | <iframe width="90%"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iframe>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html>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장]] [[분류:김아람]]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장]] [[분류:김아람]] |
2021년 3월 15일 (월) 15:3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887년(고종 24) 1월에 고종(高宗 1852~1919)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무산향(舞山香)'은 비단으로 만든 아모(砑帽)에 붉은 꽃을 꽂고 대모반(玳冒盤) 위에서 추는 독무로[1]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홍색 갑사[紅甲紗]로 안감을 넣은 남색의 착수의(窄袖衣)와 금가자(金訶子), 홍색웃치마[紅綃裳] 초록색 갑사로 만든 쾌자[綠甲紗掛子]를 입고, 허리에는 남색 전대[藍戰帶]를 두르며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드리우고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었다.[2]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Clothing | 복장 | 정재여령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舞山香)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舞山香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무산향 |
대표명칭 |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무산향 |
한자표기 |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舞山香 |
이칭별칭 | |
분류 | 복장 |
착용신분 | 여령 |
착용성별 | 여성 |
Contextu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국립고궁박물관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유물번호 고궁2759 |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22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무산향(舞山香)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078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丁亥)進饌儀軌』 | ||||
강민정, | 「朝鮮時代 宮中呈才에 나타난 童妓服飾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글항아리, 2009. | ||
김경실, | 『조선시대 궁중진연 복식』, | 경춘사, 2003. | ||
김소현, |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제61권 10호, | 2011, 55-71쪽. | ||
김소현, |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 민속원, 2017. | ||
김종수,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 민속원, 2018. | ||
박가영, | 『조선시대 궁중 패션』, | 민속원, 2017. | ||
안태욱, | 『궁중연향도의 탄생』, | 민속원, 2014.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 의장차비(儀仗差備)와 의장군(儀仗軍) 복식」, 『한복문화』 제20권 3호, | 한복문화학회, 2017, 85-104쪽.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산선시위(繖扇侍衛) 복식 유형」, 『한복문화』 제19권 2호, | 한복문화학회, 2016, 123-142쪽.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명정전친찬도〉의 정재차비(呈才差備)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19권 4호, | 한복문화학회, 2016, 151-169쪽. | ||
이경희·이은주, | 「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內外賓)의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20권 2호, | 한복문화학회, 2017, 61-80쪽. | ||
인남순, |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 | 보고사, 2008. | ||
趙美羅, | 「조선후기 純祖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진덕순·이은주, |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제37집, | 국립국악원, 2018, 353-388쪽. |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2, | 민속원, 2005. | ||
한복려·이효지·정길자, |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
황진영, |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韓國服飾』 제40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