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__NOTOC__ | ||
+ | ==Definition== | ||
− | 정초(鄭樵, | + | 정초(鄭樵, 1104~1162)는 중국 남송의 역사가로, [[통지|『통지(通志)』]]의 편찬자이다. 통지는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의 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자는 어중(漁仲), 호는 협제선생(夾漈先生)이다. 복건의 포전현(莆田縣) 출신이다. |
젊은 시절에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장서가가 있는 곳을 찾아가서 지식을 흡수하였다. 소흥 19년(1149년), 고종에게 《통지》 중에서도 유명한 이십략(二十略)에 해당하는 내용의 저술을 제출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고종을 알현하는 것을 허락받고, 단대사(斷代史)를 부정하는 사론(史論)을 상주했다. 그리하여 예부(禮部)에 임관하게 되었으나, 당시 재상이었던 진회에 의한 강권 정치의 희생양이 되어,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저술 활동을 중단하지 않았고, 추밀원 편수관으로 중앙 복귀에 성공했다. | 젊은 시절에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장서가가 있는 곳을 찾아가서 지식을 흡수하였다. 소흥 19년(1149년), 고종에게 《통지》 중에서도 유명한 이십략(二十略)에 해당하는 내용의 저술을 제출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고종을 알현하는 것을 허락받고, 단대사(斷代史)를 부정하는 사론(史論)을 상주했다. 그리하여 예부(禮部)에 임관하게 되었으나, 당시 재상이었던 진회에 의한 강권 정치의 희생양이 되어,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저술 활동을 중단하지 않았고, 추밀원 편수관으로 중앙 복귀에 성공했다. | ||
8번째 줄: | 10번째 줄: | ||
그밖에 저작으로는 《이아주(爾雅注)》 3권과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 그밖에 저작으로는 《이아주(爾雅注)》 3권과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 ||
− | 청나라의 장학성은 역사가로서의 정초에 대한 평가를 내린 바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정초_(남송) | + | 청나라의 장학성은 역사가로서의 정초에 대한 평가를 내린 바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정초_(남송) 정초_(남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14번째 줄: | 16번째 줄: | ||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왕륜(王綸) 등의 천거로 우적공랑(右迪功郞) 등에 임명되었고, 이어 예부와 병부의 가각(架閣)을 지냈다. 어사(御史)의 탄핵을 받아 감남악묘(監南岳廟)로 옮겼다. 입조하여 추밀원(樞密院) 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냈다. 사학(史學)에 있어서는 충분히 사료를 검토할 것을 주장하면서 통사(通史)를 중시했다. 사마천(司馬遷)을 존숭하고 반고(班固)를 폄하했다. 또한 음양오행재이(陰陽五行災異)의 설에 대해서도 요학(妖學)이라 하여 배척했다. 저서가 대단히 많았다. 저서에 모공(毛公)과 정현의 설을 공박한 『시전변망(詩傳辨妄)』과 『이아주(爾雅注)』, [[통지|『통지(通志)』]],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왕륜(王綸) 등의 천거로 우적공랑(右迪功郞) 등에 임명되었고, 이어 예부와 병부의 가각(架閣)을 지냈다. 어사(御史)의 탄핵을 받아 감남악묘(監南岳廟)로 옮겼다. 입조하여 추밀원(樞密院) 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냈다. 사학(史學)에 있어서는 충분히 사료를 검토할 것을 주장하면서 통사(通史)를 중시했다. 사마천(司馬遷)을 존숭하고 반고(班固)를 폄하했다. 또한 음양오행재이(陰陽五行災異)의 설에 대해서도 요학(妖學)이라 하여 배척했다. 저서가 대단히 많았다. 저서에 모공(毛公)과 정현의 설을 공박한 『시전변망(詩傳辨妄)』과 『이아주(爾雅注)』, [[통지|『통지(通志)』]],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 ||
− |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08174&cid=62063&categoryId=62063 | + | <ref>임종욱,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08174&cid=62063&categoryId=62063 정초(鄭樵)]", <html><online style="color:purple">『중국역대인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이회문화사, 네이버 인명사전.</ref> |
− | + | ==Semantic Data== | |
− | |||
− | |||
− | |||
− | |||
− | + | ===Node Description===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정초]] || Actor || 인물 || 외국인-중국저자 || 정초(鄭樵) || 정초 || 鄭樵 || Zheng Qiao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초 || [[파일:정초.jpg|100px]]<br/>[https://baike.baidu.com/item/马端临 百度百科] | ||
+ | |- | ||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 + | ===Additional Attributes=== |
+ | |||
+ | * [[틀:인물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id || [[정초]] | ||
+ | |- | ||
+ | |본관|| | ||
+ | |- | ||
+ | |생년|| 1104년 | ||
+ | |- | ||
+ | |몰년|| 1162년 | ||
+ | |- | ||
+ | |출생지|| | ||
+ | |- | ||
+ | |사망지|| | ||
+ | |- | ||
+ | |시대|| 남송 | ||
+ | |- | ||
+ | |국적|| 중국 | ||
+ | |- | ||
+ | |대표저서|| [[통지|『통지(通志)』]]<ref>"[https://baike.baidu.com/item/通志/14843 通志]", <html><online style="color:purple">『百度百科』<sup>online</sup></online></html>,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ref> | ||
+ | |- | ||
+ | |부|| 郑国器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통지]] || [[정초]] || [[creator]] ||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 | |||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위키백과 || 정초(남송) || || https://ko.wikipedia.org/wiki/정초_(남송) | ||
+ | |- | ||
+ | | 해설 || 중국역대인명사전 || 정초(鄭樵)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08174&cid=62063&categoryId=62063 | ||
+ | |- | ||
+ | | 해설 ||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 정초(鄭樵)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5456&cid=62064&categoryId=62064 | ||
+ | |- | ||
+ | | 해설 || 百度百科 || 郑樵 || || https://baike.baidu.com/item/郑樵 | ||
+ | |- | ||
+ | | 해설 || 维基百科 || 鄭樵 || || https://zh.wikipedia.org/wiki/鄭樵 | ||
+ | |- | ||
+ | | 도해 || 百度百科 || 郑樵 || || https://bkimg.cdn.bcebos.com/pic/95eef01f3a292df5bd52ae18bf315c6034a8732d?x-bce-process=image/watermark,image_d2F0ZXIvYmFpa2U4MA==,g_7,xp_5,yp_5 | ||
+ | |- | ||
+ | | 도해 || 百度百科 || 郑樵 || || https://bkimg.cdn.bcebos.com/pic/7aec54e736d12f2e6901301048c2d562853568be?x-bce-process=image/watermark,image_d2F0ZXIvYmFpa2U5Mg==,g_7,xp_5,yp_5 |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임종욱, 김해명, || 「정초(鄭樵)」, 『중국역대인명사전』, || 2010. 1. 20. ||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html>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ctor]] [[분류:Actor-인물]] [[분류:박수정]] |
2021년 1월 14일 (목) 17:1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정초(鄭樵, 1104~1162)는 중국 남송의 역사가로, 『통지(通志)』의 편찬자이다. 통지는 『사직서의궤』의 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자는 어중(漁仲), 호는 협제선생(夾漈先生)이다. 복건의 포전현(莆田縣) 출신이다.
젊은 시절에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장서가가 있는 곳을 찾아가서 지식을 흡수하였다. 소흥 19년(1149년), 고종에게 《통지》 중에서도 유명한 이십략(二十略)에 해당하는 내용의 저술을 제출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고종을 알현하는 것을 허락받고, 단대사(斷代史)를 부정하는 사론(史論)을 상주했다. 그리하여 예부(禮部)에 임관하게 되었으나, 당시 재상이었던 진회에 의한 강권 정치의 희생양이 되어,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저술 활동을 중단하지 않았고, 추밀원 편수관으로 중앙 복귀에 성공했다.
정초는 남송의 바깥 근심이었던 금나라의 관제 조사를 하고자, 비서성(秘書省)에 소장된 서책의 열람을 신청한 적도 있었다. 1161년(소흥 31년), 개봉(開封)으로 천도한 금과 남송의 대립이 격화되고, 고종이 직접 출진하는 정세에 이르자, 그는 행궁유수간변공사(行宮留守幹辨公事)로서 수도인 임안(臨安)의 유수가 되었고, 칙명에 따라 완성한 《통지》 200권을 헌상할 것을 명령받았으나, 이내 병사하였다.
그밖에 저작으로는 《이아주(爾雅注)》 3권과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청나라의 장학성은 역사가로서의 정초에 대한 평가를 내린 바 있다.[1]
정초(鄭樵, 1104년 ~ 1162년)는 송나라 흥화군(興化軍) 보전(莆田) 사람. 자는 어중(漁仲)이고, 자호는 계거일민(溪西逸民) 또는 협제선생(夾漈先生)이다. 박학강기(博學强記)했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지 않으면서 30여 년 동안 협제산(夾漈山)에 은거해 독서와 저술에 몰두했다. 일찍이 명산대천을 유람하면서 기이하거나 오래된 사실들을 수집했고, 장서가를 만날 때마다 머무르면서 모든 책을 완독한 뒤에야 떠났다. 예악과 문자, 천문, 지리, 충어(蟲魚), 초목, 방서(方書) 등 많은 학문에 정통했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왕륜(王綸) 등의 천거로 우적공랑(右迪功郞) 등에 임명되었고, 이어 예부와 병부의 가각(架閣)을 지냈다. 어사(御史)의 탄핵을 받아 감남악묘(監南岳廟)로 옮겼다. 입조하여 추밀원(樞密院) 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냈다. 사학(史學)에 있어서는 충분히 사료를 검토할 것을 주장하면서 통사(通史)를 중시했다. 사마천(司馬遷)을 존숭하고 반고(班固)를 폄하했다. 또한 음양오행재이(陰陽五行災異)의 설에 대해서도 요학(妖學)이라 하여 배척했다. 저서가 대단히 많았다. 저서에 모공(毛公)과 정현의 설을 공박한 『시전변망(詩傳辨妄)』과 『이아주(爾雅注)』, 『통지(通志)』, 『협제유고(夾漈遺稿)』 등이 있다.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정초 | Actor | 인물 | 외국인-중국저자 | 정초(鄭樵) | 정초 | 鄭樵 | Zheng Qiao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초 | 百度百科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정초 |
본관 | |
생년 | 1104년 |
몰년 | 1162년 |
출생지 | |
사망지 | |
시대 | 남송 |
국적 | 중국 |
대표저서 | 『통지(通志)』[3] |
부 | 郑国器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통지 | 정초 | creator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백과 | 정초(남송) | https://ko.wikipedia.org/wiki/정초_(남송) | |
해설 | 중국역대인명사전 | 정초(鄭樵)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08174&cid=62063&categoryId=62063 | |
해설 |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 정초(鄭樵)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5456&cid=62064&categoryId=62064 | |
해설 | 百度百科 | 郑樵 | https://baike.baidu.com/item/郑樵 | |
해설 | 维基百科 | 鄭樵 | https://zh.wikipedia.org/wiki/鄭樵 | |
도해 | 百度百科 | 郑樵 | https://bkimg.cdn.bcebos.com/pic/95eef01f3a292df5bd52ae18bf315c6034a8732d?x-bce-process=image/watermark,image_d2F0ZXIvYmFpa2U4MA==,g_7,xp_5,yp_5 | |
도해 | 百度百科 | 郑樵 | https://bkimg.cdn.bcebos.com/pic/7aec54e736d12f2e6901301048c2d562853568be?x-bce-process=image/watermark,image_d2F0ZXIvYmFpa2U5Mg==,g_7,xp_5,yp_5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임종욱, 김해명, | 「정초(鄭樵)」, 『중국역대인명사전』, | 2010. 1. 20.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