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Online Referenc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표기=
 
|영문명칭=
 
|이칭=
 
|유형=
 
|저자=
 
|역자=
 
|편자=
 
|저술시기=
 
|간행시기=
 
|간행처=
 
|간행지=
 
|간행인=
 
|시대=
 
|수량=
 
|크기=
 
|판본=
 
|판사항=
 
|형태사항=
 
|표기문자=
 
|소장처=
 
|청구기호=
 
|지정번호=
 
|지정일=
 
}}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조선 초기의 학자 申叔舟·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국가 운영에 적용되는 禮制를 吉禮·嘉禮·賓禮·軍禮·凶禮의 五禮 체제로 정리하여 1474년(성종 5)에 편찬한 國家典禮書이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ref>
+
조선 초기의 학자 [[신숙주|신수주(申叔舟)]]·[[정척|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국가 운영에 적용되는 禮制를 [[길례|길례(吉禮)]]·[[가례|가례(嘉禮)]]·[[빈례|빈례(賓禮)]]·[[군례|군례(軍禮)]]·[[흉례|흉례(凶禮)]]의 [[오례|오례(五禮)]] 체제로 정리하여 1474년(성종 5)에 편찬한 國家典禮書이다. <ref>[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AKS 디지털장서각 국조오례의(K2-4761) 해제]</ref>
 +
 
 +
조선 태종은 오례 [[길례]]에 관하여 [[서례|서례(序禮)]]와 의식을 규정하였다. 세종이 즉위한 후 [[허조|허조(許稠)]] 등에게 명하여 오례에 관한 것을 저술하게 하였다. 허조 등이 고금의 예서(禮書)와 [[홍무예제|『홍무예제(洪武禮制)』]] 등을 참작하고 [[두씨통전|『두씨통전(杜氏通典)』]]을 모방하여 편찬에 착수하였다. 이것이 실록에 실린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이며, 『국조오례의』의 바탕이 되었다. 세조 또한 [[강희맹|강희맹(姜希孟, 1424~1483)]] 등을 통해 『홍무예제』를 비롯한 고금의 각종 예서들을 참작하여 편찬하도록 하였지만, 완성하지 못하였다. 결국, 성종대인 1474년에 이르러 신숙주・정척 등이 오례를 중심으로 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였다.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가례・빈례・군례・흉례로 나누어 예식 별로 서례와 의식으로 나누어 세부 조목을 마련하였다. 길례 56개, 가례 50개, 빈례 6개, 군례 7개, 흉례 91개 조목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8권 5책으로 간행되었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AKS Encyves]</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40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국조오례의]] || Record || 문헌 || 예서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red socks of Korea's royal costume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 ||
+
| [[국조오례의]] || Record || 문헌 || 예서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rchive/3/30/20171104103150%21Old_book.png"/></html>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rchive/3/30/20171104103150%21Old_book.png"/></html>
 
|-
 
|-
52번째 줄: 25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세종실록오례]]
+
| id || [[국조오례의]]
 
|-
 
|-
| 한자표기 || 世宗實錄五禮
+
| 한자표기 || 國朝五禮儀
 
|-
 
|-
| 이칭/별칭 || 세종실록오례의
+
| 이칭/별칭 || 오례의
 
|-
 
|-
 
| 유형 || 문헌
 
| 유형 || 문헌
 
|-
 
|-
| 저자 || [[정척|정척(鄭陟)]], [[변효문|변효문(卞孝文)]] 등
+
| 저자 || [[신숙주|신수주(申叔舟)]]·[[정척|정척(鄭陟)]] 등
 
|-
 
|-
| 저술시기 || 문종~단종
+
| 간행시기 || 1474년(성종 5)
 
|-
 
|-
| 간행시기 || 1454년(단종 2)
+
| 수량 || 8권 6책
 
|-
 
|-
 
|}
 
|}
72번째 줄: 45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국조오례의]] || [[경국대전]] || [[isDerivativeOf]] ||
 +
|-
 +
| [[국조오례의]] || [[홍무예제]] || [[references]] ||
 +
|-
 +
| [[국조오례의]] || [[세종실록오례]] || [[references]] ||
 +
|-
 +
| [[사직서의궤]] || [[국조오례의]] || [[references]] ||
 +
|-
 +
| [[국조오례통편]] || [[국조오례의]] || [[hasPart]] ||
 +
|-
 +
| [[국조오례의]] || [[석전의]] || [[references]] ||
 
|-
 
|-
| [[왕비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삼례도]] || [[references]] ||  
 
|-
 
|-
| [[왕세자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예서]] || [[references]] ||  
 
|-
 
|-
| [[왕세자의_조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신숙주]] || [[contributor]] ||  
 
|-
 
|-
| [[왕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정척]] || [[contributor]] ||  
 
|-
 
|-
| [[왕의_조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조선_성종]] || [[publisher]] ||  
 
|-
 
|-
| [[황제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길례]] || [[hasPart]] ||  
 
|-
 
|-
| [[황제의_조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가례]] || [[hasPart]] ||  
 
|-
 
|-
| [[황태자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빈례]] || [[hasPart]] ||  
 
|-
 
|-
| [[황태자의_조복]] || [[적말]] || [[hasPart]] ||
+
| [[국조오례의]] || [[군례]] || [[hasPart]] ||
 +
|-
 +
| [[국조오례의]] || [[흉례]] || [[hasPart]] ||  
 
|-
 
|-
 
|}
 
|}
95번째 줄: 82번째 줄:
 
==Spatial Data==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
===Spati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153번째 줄: 140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70000130
+
| 해설 || AKS 디지털장서각 || 국조오례의(K2-4761)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
 
|-
| 참고 || AKS Encyves || 국조오례의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
| 참고 || AKS 장서각기록유산DB || 국조오례의(K2-2113) || 1611년(광해 3) 중간한 것 ||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
 
|-
| 해설 || 위키 실록사전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참고 || AKS 전자도서관 || 국조오례의(K2-4761)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조오례의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
| 참고 || AKS 장서각아카이브 ||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 ||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
 
|-
| 참고 || AKS 디지털장서각 || 국조오례의(K2-4761)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
| 참고 || AKS 장서각아카이브 ||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 ||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
 
|-
| 참고 || AKS 장서각기록유산DB || 국조오례의(K2-4761) || ||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
| 참고 || 역주조선왕조실록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30
 
|-
 
|-
| 참고 || AKS 전자도서관 || 국조오례의(K2-4761)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
| 참고 || Encyves || 국조오례의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
 
|-
| 참고 || AKS 장서각아카이브 ||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 ||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
| 해설 || 실록사전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 참고 || AKS 장서각아카이브 ||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 ||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국조오례의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
 
|-
 
| 참고 || 한국일생의례사전 || 국조오례의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 참고 || 한국일생의례사전 || 국조오례의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177번째 줄: 164번째 줄:
 
| 참고 || 나무위키 || 국조오례의 || ||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 참고 || 나무위키 || 국조오례의 || ||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
 
|-
| 도해 || AKS Encyves || 적말 ||『正祖國葬都監儀軌』 왕의 적말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7/70/궁중기록화_복식_적말(왕실남성)01.jpg
+
| 참고 || 경향신문 || 국조오례의 || 김문식,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
 
|-
| 도해 || AKS Encyves || 적말 ||『大韓禮典』 황제의 말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5/59/궁중기록화_복식_적말(왕실남성)02.jpg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AKS 디지털장서각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AKS 장서각기록유산DB 국조오례의(K2-4761)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AKS 전자도서관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위키 실록사전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6
 
 
AKS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조오례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한국일생의례사전, "국조오례의",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민속박물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나무위키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Bibliography==
 
==Bibliography==
211번째 줄: 175번째 줄: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강제훈,||  「조선 『세종실록』『오례』의 편찬 경위와 성격」, 『사학연구』 107,||  2012.|| ||
+
| 법제처,||  『國朝五禮儀』,||  1982.|| ||
 +
|-
 +
| 李範稷,||  「國朝五禮儀의 成立에 대한 一考察」, 『歷史學報』 122,|| 1989.|| ||
 +
|-
 +
| 이범직,||  『韓國中世 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
 +
|-
 +
| 김문식,||  「조선시대 국가전례서 편찬 양상」, 『장서각』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
 +
| 김혜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 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
 +
|-
 +
|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43,||  역사실학회, 2010.|| ||
 
|-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 임민혁,||  「조선초기 『국조오례의』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50,||  역사실학회, 2013.||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
 
|-
 
|-
|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
| 장동우,||  「『경국대전』 「예전」과 『국조오례의』 「흉례」에 반영된 종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사상사학』 제20집,||  한국사상사학회, 2003.|| ||
 
|-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14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
 
|}
  
230번째 줄: 204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iframe>
+
#Projct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적말'">
+
h1 박수정의 네트워크 그래프 008
</html>
+
 
+
#Class
 
+
Actor red circㅣe
 
+
Event orange elipse
AKS 디지털장서각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
Place darkcyan elipse
 
+
Architecture blue box
AKS 장서각기록유산DB 국조오례의(K2-4761)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
Clothing purple box
 
+
Food green box
AKS 전자도서관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
Object brown box
 
+
Record grey square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
Concept gold star
 
+
Heritage olive triangle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
DigitalAset navy triangle
 
+
WebResource violet triangle
위키 실록사전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Relation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6
+
documents
 
+
isRelatedTo
AKS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
goesWith
 
+
isUsedIn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조오례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
hasPart
 
+
references
한국일생의례사전, "국조오례의",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민속박물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
contributor
 
+
creator
나무위키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
publisher
 
+
type
 
+
 
+
#Nodes
김문식, 「조선시대 국가전례서 편찬 양상」, 『장서각』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변 Object 변
 +
세종실록오례 Record 세종실록오례
 +
국조오례의 Record 국조오례의
 +
국조상례보편 Record 국조상례보편
 +
춘관통고 Record 춘관통고
 +
대한예전 Record 대한예전
 +
종묘의궤 Record 종묘의궤
 +
사직서의궤 Record 사직서의궤
 +
경모궁의궤 Record 경모궁의궤
 +
순조국장도감의궤 Record 순조국장도감의궤
 +
정조국장도감의궤 Record 정조국장도감의궤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Record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Record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제기 Concept 제기
 +
두 Object 두
 +
멱 Object 멱
 +
-匕 Object 비-
 +
사직제 Concept 사직제
 +
길례 Concept 길례
 +
흉례 Concept 흉례
 +
 +
국조오례통편 Record 국조오례통편
 +
홍무예제 Record 홍무예제
 +
개원례 Record 개원례
 +
동국고금상정례 Record 동국고금상정례
 +
석전의 Record 석전의
 +
삼례도 Record 삼례도
 +
예서 Record 예서
 +
정척 Actor 정척
 +
변효문 Actor 변효문
 +
허조 Actor 허조
 +
강희맹 Actor 강희맹
 +
세종 Actor 세종
 +
문종 Actor 문종
 +
단종 Actor 단종
 +
 +
세종실록오례_변 Object 세종실록오례_변
 +
세종실록오례_두 Object 세종실록오례_두
 +
국조오례의_변 Object 국조오례의_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변 Record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
 +
국조상례보편_변 Object 국조상례보편_변
 +
춘관통고_변 Object 춘관통고_변
 +
대한예전_변 Object 대한예전_변
 +
종묘의궤_변 Object 종묘의궤_변
 +
사직서의궤_변 Object 사직서의궤_변
 +
경모궁의궤_변 Object 경모궁의궤_변
 +
순조국장도감의궤_변 Object 순조국장도감의궤_변
 +
정조국장도감의궤_변 Object 정조국장도감의궤_변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변 Object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변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변 Object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변
 +
세종실록오례_멱 Object 세종실록오례_멱
 +
세종실록오례_비-匕 Object 세종실록오례_비-
 +
 +
국조오례의_두 Object 국조오례의_두
 +
국조오례의:길례서례:제기도설:변 Record 국조오례의:길례서례:제기도설:변
 +
국조오례의_멱 Object 국조오례의_멱
 +
국조오례의_비-匕 Object 국조오례의_비-
 +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Record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보 Object 보
 +
궤 Object 궤
 +
도 Food 도
 +
양 Food 양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두 Record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
 +
국조상례보편_두 Object 국조상례보편_두
 +
춘관통고_두 Object 춘관통고_두
 +
대한예전_두 Object 대한예전_두
 +
종묘의궤_두 Object 종묘의궤_두
 +
사직서의궤_두 Object 사직서의궤_두
 +
경모궁의궤_두 Object 경모궁의궤_두
 +
순조국장도감의궤_두 Object 순조국장도감의궤_두
 +
정조국장도감의궤_두 Object 정조국장도감의궤_두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두 Object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두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두 Object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두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비-匕 Object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비-匕
  
김혜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 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
신숙주 Actor 신숙주
 +
성종 Actor 성종
 +
가례 Concept 가례
 +
빈례 Concept 빈례
 +
군례 Concept 군례
 +
 +
#Links
 +
세종실록오례 변 documents
 +
국조오례의 변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변 documents
 +
국조오례통편 변 documents
 +
춘관통고 변 documents
 +
대한예전 변 documents
 +
종묘의궤 변 documents
 +
사직서의궤 변 documents
 +
경모궁의궤 변 documents
 +
순조국장도감의궤 변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변 documents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변 documents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변 documents
 +
두 변 isRelatedTo
 +
멱 변 goesWith
 +
비-匕 변 goesWith
 +
변 사직제 isUsedIn
 +
변 길례 isUsedIn
 +
변 흉례 isUsedIn
 +
제기 변 hasPart
 +
 +
세종실록오례 홍무예제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 개원례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 동국고금상정례 references
 +
사직서의궤 세종실록오례 references
 +
국조오례통편 세종실록오례 hasPart
 +
세종실록오례 석전의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 삼례도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 예서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 정척 contributor
 +
세종실록오례 변효문 contributor
 +
세종실록오례 허조 contributor
 +
세종실록오례 강희맹 contributor
 +
세종실록오례 세종 creator
 +
세종실록오례 문종 publisher
 +
세종실록오례 단종 publisher
 +
세종실록오례 제기 documents
 +
 +
세종실록오례 두 documents
 +
국조오례의 두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두 documents
 +
춘관통고 두 documents
 +
대한예전 두 documents
 +
종묘의궤 두 documents
 +
사직서의궤 두 documents
 +
경모궁의궤 두 documents
 +
순조국장도감의궤 두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두 documents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두 documents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두 documents
 +
비-匕 두 goesWith
 +
두 사직제 isUsedIn
 +
두 길례 isUsedIn
 +
두 흉례 isUsedIn
 +
제기 두 hasPart
  
임민혁, 「조선초기 『국조오례의』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제50집, 역사실학회, 2013.
+
세종실록오례_변 변 type
 +
세종실록오례_두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국조오례의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변 hasPart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변 석전의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변 세종실록오례_변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_변 세종실록오례_변 references
 +
춘관통고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대한예전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종묘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사직서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경모궁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순조국장도감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변 세종실록오례_변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_멱 세종실록오례_변 goesWith
 +
세종실록오례_비-匕 세종실록오례_변 goesWith
 +
세종실록오례_변 사직제 isUsedIn
 +
세종실록오례_변 길례 isUsedIn
 +
세종실록오례_변 흉례 isUsedIn
 +
제기 세종실록오례_변 hasPart
  
장동우, 「『경국대전』 「예전」과 『국조오례의』 「흉례」에 반영된 종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사상사학』 제20집, 한국사상사학회, 2003.
+
국조오례의_변 변 type
 +
국조오례의_두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국조오례의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길례서례:제기도설:변 hasPart
 +
국조오례의:길례서례:제기도설:변 석전의 references
 +
국조오례의:길례서례:제기도설:변 국조오례의_변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_변 국조오례의_변 references
 +
춘관통고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대한예전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종묘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사직서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경모궁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순조국장도감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변 국조오례의_변 isRelatedTo
 +
국조오례의_멱 국조오례의_변 goesWith
 +
국조오례의_비-匕 국조오례의_변 goesWith
 +
국조오례의_변 사직제 isUsedIn
 +
국조오례의_변 길례 isUsedIn
 +
국조오례의_변 흉례 isUsedIn
 +
제기 국조오례의_변 hasPart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 vol.40,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세종실록오례 보 documents
 +
국조오례의 보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보 documents
 +
춘관통고 보 documents
 +
춘관통고 보 documents
 +
대한예전 보 documents
 +
종묘의궤 보 documents
 +
사직서의궤 보 documents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보 documents
 +
경모궁의궤 보 documents
 +
순조국장도감의궤 보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보 documents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보 documents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보 documents
 +
궤 보 isRelatedTo
 +
비-匕 보 goesWith
 +
보 사직제 isUsedIn
 +
보 길례 isUsedIn
 +
보 흉례 isUsedIn
 +
제기 보 hasPart
 +
보 도 goesWith
 +
보 양 goesWith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
세종실록오례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두 hasPart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두 세종실록오례_두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두 석전의 references
 +
세종실록오례_두 두 type
 +
국조오례의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_비-匕 세종실록오례_두 goesWith
 +
국조상례보편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춘관통고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대한예전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종묘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사직서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경모궁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순조국장도감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두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두 세종실록오례_두 documents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변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비-匕 세종실록오례_두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_두 사직제 isUsedIn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 vol.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국조오례의 홍무예제 references
 +
국조오례의 세종실록오례 references
 +
사직서의궤 국조오례의 references
 +
국조오례통편 국조오례의 hasPart
 +
국조오례의 석전의 references
 +
국조오례의 삼례도 references
 +
국조오례의 예서 references
 +
국조오례의 신숙주 contributor
 +
국조오례의 정척 contributor
 +
국조오례의 성종 publisher
 +
국조오례의 제기 documents
 +
국조오례의 길례 hasPart
 +
국조오례의 가례 hasPart
 +
국조오례의 빈례 hasPart
 +
국조오례의 군례 hasPart
 +
국조오례의 흉례 hasPart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vol.43, 역사실학회, 2010.
+
#End
 +
-->
 +
 +
===관계망===
 +
 +
{{NetworkGraph | title=박수정008.lst}}
  
유용한 정보: 김문식, "국조오례의", 『경향신문』,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2020년 12월 24일 (목) 11:24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 초기의 학자 신수주(申叔舟)·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국가 운영에 적용되는 禮制를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賓禮)·군례(軍禮)·흉례(凶禮)오례(五禮) 체제로 정리하여 1474년(성종 5)에 편찬한 國家典禮書이다. [1]

조선 태종은 오례 길례에 관하여 서례(序禮)와 의식을 규정하였다. 세종이 즉위한 후 허조(許稠) 등에게 명하여 오례에 관한 것을 저술하게 하였다. 허조 등이 고금의 예서(禮書)와 『홍무예제(洪武禮制)』 등을 참작하고 『두씨통전(杜氏通典)』을 모방하여 편찬에 착수하였다. 이것이 실록에 실린 『세종실록오례』이며, 『국조오례의』의 바탕이 되었다. 세조 또한 강희맹(姜希孟, 1424~1483) 등을 통해 『홍무예제』를 비롯한 고금의 각종 예서들을 참작하여 편찬하도록 하였지만, 완성하지 못하였다. 결국, 성종대인 1474년에 이르러 신숙주・정척 등이 오례를 중심으로 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였다.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가례・빈례・군례・흉례로 나누어 예식 별로 서례와 의식으로 나누어 세부 조목을 마련하였다. 길례 56개, 가례 50개, 빈례 6개, 군례 7개, 흉례 91개 조목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8권 5책으로 간행되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국조오례의 Record 문헌 예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국조오례의
한자표기 國朝五禮儀
이칭/별칭 오례의
유형 문헌
저자 신수주(申叔舟)·정척(鄭陟)
간행시기 1474년(성종 5)
수량 8권 6책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isDerivativeOf
국조오례의 홍무예제 references
국조오례의 세종실록오례 references
사직서의궤 국조오례의 references
국조오례통편 국조오례의 hasPart
국조오례의 석전의 references
국조오례의 삼례도 references
국조오례의 예서 references
국조오례의 신숙주 contributor
국조오례의 정척 contributor
국조오례의 조선_성종 publisher
국조오례의 길례 hasPart
국조오례의 가례 hasPart
국조오례의 빈례 hasPart
국조오례의 군례 hasPart
국조오례의 흉례 hasPart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디지털장서각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참고 AKS 장서각기록유산DB 국조오례의(K2-2113) 1611년(광해 3) 중간한 것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참고 AKS 전자도서관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참고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참고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참고 역주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30
참고 Encyves 국조오례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해설 실록사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참고 민족문화대백과 국조오례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참고 한국일생의례사전 국조오례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참고 나무위키 국조오례의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참고 경향신문 국조오례의 김문식,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법제처, 『國朝五禮儀』, 1982.
李範稷, 「國朝五禮儀의 成立에 대한 一考察」, 『歷史學報』 122, 1989.
이범직, 『韓國中世 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김문식, 「조선시대 국가전례서 편찬 양상」, 『장서각』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김혜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 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43, 역사실학회, 2010.
임민혁, 「조선초기 『국조오례의』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50, 역사실학회, 2013.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장동우, 「『경국대전』 「예전」과 『국조오례의』 「흉례」에 반영된 종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사상사학』 제20집, 한국사상사학회, 2003.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14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