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직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nline Reference) |
(→Online Referenc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조선시대 각 관아에 두었던 종칠품(從七品) 관직이다. | + | 직장(直長)은 조선시대 각 관아에 두었던 종칠품(從七品) 관직이다. |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상서원(尙瑞院), 봉상시(奉常寺), 종부시(宗簿寺), 내의원(內醫院), 상의원(尙衣院), 군기시(軍器寺), 사섬시(司贍寺), 군자감(軍資監), 장악원(掌樂院),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풍저창(豊儲倉), 광흥창(廣興倉), 사도시(司導寺),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경모궁(景慕宮),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전생서(典牲署), 내자시(內資寺), 내섬시(內贍寺), 예빈시(禮賓寺),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사포서(司圃署), 양현고(養賢庫), 혜민서(惠民署), 덕릉(德陵), 지릉(智陵), 헌릉(獻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희릉(禧陵), 경릉(景陵) 등에 각 1원씩 두었다. 사옹원(司饔院),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에는 각 2원씩 두었다. |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상서원(尙瑞院), 봉상시(奉常寺), 종부시(宗簿寺), 내의원(內醫院), 상의원(尙衣院), 군기시(軍器寺), 사섬시(司贍寺), 군자감(軍資監), 장악원(掌樂院),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풍저창(豊儲倉), 광흥창(廣興倉), 사도시(司導寺),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경모궁(景慕宮),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전생서(典牲署), 내자시(內資寺), 내섬시(內贍寺), 예빈시(禮賓寺),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사포서(司圃署), 양현고(養賢庫), 혜민서(惠民署), 덕릉(德陵), 지릉(智陵), 헌릉(獻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희릉(禧陵), 경릉(景陵) 등에 각 1원씩 두었다. 사옹원(司饔院),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에는 각 2원씩 두었다.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id || 사직서직장 | + | |id || 사직서직장 |
|- | |- | ||
|품계 || 종7품(從七品) | |품계 || 종7품(從七品)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종7품]] || [[직장]] || [[hasPart]] || | | [[종7품]] || [[직장]] || [[hasPart]] || | ||
|- | |- | ||
− | | [[사직서도제조]] || [[ | +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 | |- | ||
− | | [[사직서제조]] || [[ | + | | [[사직서제조]]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 | |- | ||
− | | [[사직서령]] || [[ | + | | [[사직서령]]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사직서참봉]]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이수이(李壽頤): 영조실록 58권, 영조 19년 5월 26일 무신 7번째기사 / 군법을 시행·신칙하지 못한 황해 병사 구선행, 병조 판서, 훈장 대장을 처벌하다/ 정범조(丁範祖):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246/ 김희순(金羲淳):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189 이수이 사직서직장 servesAs 정범조 사직서직장 servesAs 김희순 사직서직장 servesAs |
− | |||
− | |||
− | |||
− | |||
|- | |- | ||
|} | |} | ||
127번째 줄: | 122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직장(直長)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526 |
|- | |- | ||
− | | 참고 || 관직명사전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관직명사전 || 직장(直長)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71842&cid=62010&categoryId=62010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사직서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실록사전 || 사직서(社稷署)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서(社稷署) |
|- | |- | ||
| 참고 || AKS 디지털장서각 || 사직서도제조선생안(社稷署都提調先生案)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544 | | 참고 || AKS 디지털장서각 || 사직서도제조선생안(社稷署都提調先生案)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544 |
2020년 12월 24일 (목) 12:4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1]
직장(直長)은 조선시대 각 관아에 두었던 종칠품(從七品) 관직이다.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상서원(尙瑞院), 봉상시(奉常寺), 종부시(宗簿寺), 내의원(內醫院), 상의원(尙衣院), 군기시(軍器寺), 사섬시(司贍寺), 군자감(軍資監), 장악원(掌樂院),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풍저창(豊儲倉), 광흥창(廣興倉), 사도시(司導寺),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경모궁(景慕宮),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전생서(典牲署), 내자시(內資寺), 내섬시(內贍寺), 예빈시(禮賓寺),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사포서(司圃署), 양현고(養賢庫), 혜민서(惠民署), 덕릉(德陵), 지릉(智陵), 헌릉(獻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희릉(禧陵), 경릉(景陵) 등에 각 1원씩 두었다. 사옹원(司饔院),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에는 각 2원씩 두었다.
돈령부직장은 공주(公主)의 아들에게 처음 제수 하였으며, 상서원직장은 도정(都政) 때마다 출륙(出六)하였다. 봉상시직장은 승문원(承文院)의 박사(博士: 正七品)나 저작(著作: 正八品) 중에서 골라서 임명하였으며, 종부시직장은 생원(生員)이나 진사(進士)가 아니면 의수(擬授)받지 못하였다. 사옹원직장은 여정색(餘丁色)을 관장(管掌)하였으며, 상의원직장은 의대색(衣襨色)을 관장하였으며, 내자시직장은 주색(酒色)과 장색(醬色)을 관장하였으며, 내섬시직장은 미면색(米麵色)을 관장하였으며, 사도시직장은 미면색과 봉상색(捧上色)을 관장하였으며, 예빈시직장은 잡물색(雜物色)·조과색(造果色)을 관장하였다.
제용감직장은 염고색(染庫色)을 관장하였으며, 사재감직장은 어물색(魚物色)을 관장하였으며,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은 유밀색(油蜜色)·호초색(胡椒色)을 관장하였으며, 장흥고직장(長興庫直長)은 석자색(席子色)을 관장하였다. 양현고직장(養賢庫直長)은 성균관학정(成均館學正: 正八品) 이상의 관원을 단망(單望)으로 선정(選定)하여 임명(任命)하였으며, 전생서직장은 훈련원봉사(訓鍊院奉事: 從八品)를 전임(轉任)시켰다.
이와 비슷한 직책의 종칠품에는 영(令)·승(丞) 등이 각 부서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1446년(세조 12) 1월 관제 개혁 때 모두 직장으로 통일하여 종전의 부사(副使)·승(丞)·부승(副丞) 직제를 주부(主簿)·직장(直長)·봉사(奉事)의 체계로 일원화하였다. 이에 따라 중앙의 약 30개 부서에 이 관직이 설치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직장 [直長] (관직명사전, 2011. 1. 7., 한국학중앙연구원).[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사직서직장 | Concept | 경관직 | 사직서 | 사직직장(社稷署直長) | 사직서직장 | 社稷署直長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서직장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사직서직장 |
품계 | 종7품(從七品) |
주제 | 길례, 관직 |
관련 관서 | 사직서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서직장 | 직장 | type | |
종7품 | 직장 | hasPart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사직서제조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사직서령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
사직서참봉 | 사직서직장 | isRelatedTo | 이수이(李壽頤): 영조실록 58권, 영조 19년 5월 26일 무신 7번째기사 / 군법을 시행·신칙하지 못한 황해 병사 구선행, 병조 판서, 훈장 대장을 처벌하다/ 정범조(丁範祖):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246/ 김희순(金羲淳):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189 이수이 사직서직장 servesAs 정범조 사직서직장 servesAs 김희순 사직서직장 servesAs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직장(直長)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526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관직명사전 | 직장(直長)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71842&cid=62010&categoryId=62010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사직서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참고 | 실록사전 | 사직서(社稷署)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서(社稷署) | |
참고 | AKS 디지털장서각 | 사직서도제조선생안(社稷署都提調先生案)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544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김문식·신병주 저, |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 돌베개,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병주, |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 ||
신명호, |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 돌베개, 2002. | ||
한형주, | 『종묘와 궁묘』, | 민속원, 2016. | ||
한영우, |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 일지사, 2005. | ||
강문식·이현진, | 『종묘와 사직』, | 책과함께, 2011. | ||
강문식, |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 일지사, 2007. | ||
박재영, |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