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오례 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hasPart]]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hasPart]]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세종실록오례_연]]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세종실록오례_연]] || [[depicts]]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주례]] || [[references]]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주례]] || [[references]]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예기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예서]] || [[references]] ||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예기-禮器]] || [[references]]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시경]] || [[references]]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연]] || [[시경]] || [[references]]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연]] || [[연]] || [[type]] || | + | | [[세종실록오례_연]] || [[연-筵]] || [[type]] || |
|- | |- | ||
| [[세종실록오례_궤-几]]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 [[세종실록오례_궤-几]]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
63번째 줄: | 65번째 줄: | ||
| [[춘관통고_연]]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 [[춘관통고_연]]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
|- | |- | ||
− | | [[대한예전_완연 | + | | [[대한예전_완연]]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완연(莞筵) |
|- | |- | ||
| [[종묘의궤_연]]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 [[종묘의궤_연]] || [[세종실록오례_연]] || [[isRelatedTo]] || |
2020년 11월 29일 (일) 17: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궤연(几筵)은 조선 시대의 국가 제례에서 다양하게 사용된, 제사 참석자들을 위한 제사용 자리인 궤(几)와 연(筵)을 함께 지칭한다. 궤는 둥글고 작은 의자 모양을 하고 있다. 연은 부들로 엮어 만든 자리로서, ‘포연(蒲筵)’이라고도 칭한다.[1]
『세종실록오례』 ◎ 연(筵) : 《주례(周禮)》에 이르기를, "포연(蒲筵:부들자리)은 길이가 7척이요, 나비는 2척 3촌이다."고 하였으며,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제후(諸侯)는 제사(祭祀)에 자리가 2개이니, 왕골자리[莞席]는 좁은 끈으로 선을 두르고, 부들자리[蒲筵]는 무늬로 수(繡)를 놓는데, 펴는 것을 연(筵)이라 하고, 까는 것을 석(席)이라 한다. 연과 석의 제도는 짧아도 한 길[尋](8척) 에 내려가지 아니하고, 길어도 두 길[常](6척) 에 지나지 아니하고, 중간 것도 9척에 지나지 아니한다. 《예기(禮器)》에 "상공(上公)은 대협(大祫)에 자리를 네 겹으로 펴고, 제후(諸侯)는 대협에 자리를 세 겹으로 펴고, 체제(禘祭)와 시제(時祭)에는 다같이 자리를 두 겹으로 편다."하였는데, 그 말이 경(經)에는 보이지 아니하나, 글에는 모두 겹자리[重席]를 편다고 말하였으며, 모씨(毛氏)가 《시경(詩經)》을 해석하면서, 또한 겹자리를 편다고 하였으니, 제후의 조석(繅席)이 겹으로 되어 부들자리와 더불어 세 개가 되므로, 그 수효가 마침 예기(禮器)의 수효와 합하게 된다. ◎ 筵 : 《周禮》云: "蒲筵長七尺, 廣二尺三寸。" 《禮書》云: "諸侯祭祀席二, 莞席紛純, 蒲筵繢純。 鋪陳曰筵, 藉之曰席。 筵席之制, 短不過尋, 長不過常, 中者不過九尺。" 《禮器》: "上公大祫, 席四重; 諸侯大祫, 三重; 禘與時祭同, 二重。" 其言無所經見, 然書皆言敷重席。 毛氏釋《詩》, 亦曰設重席, 則諸侯繅席重焉, 與蒲筵而三, 其數適與禮器合矣。[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세종실록오례_연 | Object | 물품 | 제기 | 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_연(筵) | 세종실록오례_연 | 世宗實錄五禮_筵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_연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세종실록오례_연 |
이칭/별칭 | 궤연(几筵), 포연(蒲筵), 완연(莞筵) |
재질 | |
색상 | |
사용처 |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연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35 | |
도설 | 국조오례의 | 筵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연筵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809&category=A&sWord=연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연 |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sl=&&pageSize=&keyword=연&setId=12452&pageNo=1&target=CRA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궤연(几筵)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61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제기 | 연 항목 없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제기&ridx=0&tot=296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궤연(几筵)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궤연(几筵) | |
참고 | AKS Encyves | 연 항목 없음.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문 | |
도해 | 세종실록오례 | 연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10a03.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윤방언, |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 문화재청, 2002.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 ↑ 박봉주, "궤연(几筵)",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