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당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Semantic Network Graph)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여성|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여성|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 ||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ref>[[송문흠|송문흠(宋文欽)]]의 [[한정당집|『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박규수(朴珪壽)]]의 [[거가잡복고|『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ref>[[송문흠|송문흠(宋文欽)]]의 [[한정당집|『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박규수(朴珪壽)]]의 [[거가잡복고|『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 ||
− | </ref>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 | + | </ref>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여성|저고리]]로 불릴 만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여성|저고리]] 소매처럼 좁다.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보-왕실여성|보]]를 달았다. [[저고리-여성|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의]]의 깃은 당코깃을 고수하였다. |
<br> | <br> | ||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ref>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ref> |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ref>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ref> | ||
<br> | <br> | ||
[[연향례]]에 참여하는 왕실의 여성들은 [[초록부금당의]]를 착용하였으며, [[친영]] [[반차]]에 참여하는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등은 [[초록당의]]를 [[대향]], [[봉향]], [[대함]] 등은 [[흑당의]]를 착용하였다. | [[연향례]]에 참여하는 왕실의 여성들은 [[초록부금당의]]를 착용하였으며, [[친영]] [[반차]]에 참여하는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등은 [[초록당의]]를 [[대향]], [[봉향]], [[대함]] 등은 [[흑당의]]를 착용하였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9번째 줄: | 18번째 줄: | ||
|- | |- | ||
| [[초록당의]] || Clothing || 복식 || 옷 || 초록당의(草綠唐衣) || 초록당의 || 草綠唐衣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초록당의 || | | [[초록당의]] || Clothing || 복식 || 옷 || 초록당의(草綠唐衣) || 초록당의 || 草綠唐衣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초록당의 || | ||
− | [[파일: | + | [[파일:초록당의.JPG|120px]]<br>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소장 |
|- | |- | ||
|} | |} | ||
40번째 줄: | 39번째 줄: | ||
|구분|| 옷 | |구분|| 옷 | ||
|- | |- | ||
− | |착용신분|| | + | |착용신분||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
|- | |- |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50번째 줄: | 49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번째 줄: | 56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https://www. | + |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2893500000 국립민속박물관] || [[초록당의]] || [[documents]] || |
* 가로 135cm / 세로 75cm | * 가로 135cm / 세로 75cm | ||
+ | * 깃도 길과 동일한 초록색 | ||
|| | || | ||
− | [[파일: | + | [[파일:당의(초록색)-앞.jpg|150px]]<br>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소장 |
|- | |- | ||
|} | |} | ||
84번째 줄: | 76번째 줄: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 ||
− | |||
− | |||
− | |||
− | |||
|- | |- | ||
|} | |} | ||
116번째 줄: | 104번째 줄: | ||
| 유송옥, ||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 수학사, 1991. || || | | 유송옥, ||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 수학사, 1991. || || | ||
|- | |- | ||
− | | | + | | 황진영, || 「조선시대 궁녀복식 연구」,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
|- | |- | ||
|} | |} | ||
131번째 줄: | 119번째 줄: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초록당의'">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초록당의'"> | ||
</html> | </html>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아람]] |
2020년 12월 8일 (화) 22:5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1]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로 불릴 만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 소매처럼 좁다.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보를 달았다. 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의의 깃은 당코깃을 고수하였다.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2]
연향례에 참여하는 왕실의 여성들은 초록부금당의를 착용하였으며, 친영 반차에 참여하는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등은 초록당의를 대향, 봉향, 대함 등은 흑당의를 착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초록당의 | Clothing | 복식 | 옷 | 초록당의(草綠唐衣) | 초록당의 | 草綠唐衣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초록당의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초록당의 |
대표명칭 | 초록당의 |
한자표기 | 草綠唐衣 |
이칭별칭 | |
구분 | 옷 |
착용신분 |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
착용성별 | 여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국립민속박물관 | 초록당의 | documents |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AKS Encyves | 당의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당의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6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 | 『영친왕일가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립고궁박물관, 2012. | ||
권혜진, | 「당의에 관한 연구-궁중발기와 유물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김아람, |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김은희, |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
백숙자, | 「朝鮮時代 唐衣 構成에 對한 硏究」,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석주선, | 『한국복식사』, | 보진재, 1971. | ||
申順子, |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
유송옥, |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 수학사, 1991. | ||
황진영, | 「조선시대 궁녀복식 연구」,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Notes
- ↑ 송문흠(宋文欽)의 『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朴珪壽)의 『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 ↑ 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