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_형]] || [[hasPart]] || || |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hasPart]]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형]] || [[형]] || [[type]]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추어 끓인 국이다. 국으로써 이를 말한다면 형갱(鉶羹)이라 하고, 그릇으로써 이를 말한다면 형정(鉶鼎)이라 한다.”고 하였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6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세종실록오례_형]] || [[depicts]] || |
− | <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84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b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등]]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진씨(陳氏)의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등(登)은 와두(瓦豆)이다. 『의례(儀禮)』에는 ‘등(鐙)’자를 썼으니, 그것은 대갱(大羹)을 담는 것이다.”고 하였다. 陳氏禮書云登瓦豆也儀禮作鐙其實大羹<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5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등],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예서]] || [[references]] || |
− | <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83 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b01.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멱]] || [[세종실록오례_형]] || [[goesWith]] || 멱->포건[羃尊疏布巾]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삼례도|『삼례도(三禮圖)』]]에 베[布]의 幅은 2尺 2寸인데 이를 둥글게 하였으나, 지금은 베[布] 1幅으로써 네모를 취(取)하여 이를 만든다.”고 하였다.『주례(周禮)』에 이르기를, “팔준(八尊)은 천지(天地)에 헌작(獻酌)하는 까닭으로 굵은 포건(布巾)을 사용하니, 질박(質朴)을 숭상하기 때문이요, 육이(六彝)는 종묘(宗廟)에 관향(祼享)하는 까닭으로 포건(布巾)의 고운[精] 것을 사용한다. 그 구름을 그려서 문채를 놓는 것과 특생(特牲)의 멱[羃]은 모두 굵은 갈포(葛布)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釋奠儀云三禮圖布之幅二尺有二寸而圜之今以布一幅取方爲之周禮云八尊獻天地故用疏布巾尙質也六彝祼宗廟故用布巾之精者其畫雲爲文與特牲冪皆用綌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2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준을 덮는 굵은 포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세종실록오례_형]] || [[형-鉶]] || [[type]] || |
−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a04.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비-匕]] || [[세종실록오례_형]] || [[goesWith]]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이르기를, “비(匕)는 길이가 3尺이나 혹은 5尺이나 되니, 서직(黍稷)의 비가 있고, 생체(牲體)의 비가 있고, 소비(疏匕)가 있으니, 세 가지의 비는 가시나무로써 한다. 늠인(廩人) 의 개(槪) 는 서직(黍稷)의 비(匕)요, 옹인(雍人)의 개(槪)는 생체(牲體)의 비(匕)이니, 생체의 비는 도비(挑匕)이다. 그 제도는, 서직의 비는 도비보다 작고, 도비는 소비보다 작다. 유사(有司)가 제찬(祭饌)을 걷어치우면, 사마(司馬)가 두 손으로 도비의 자루를 잡고 청주(淸酒)를 떠내어 소비에 붓는데, 이와 같이 하기를 세 번 한다. 도비로써 떠난 뒤에 소비에 붓는 것이 세 번이나 된다면, 소비가 큰 것이다.” 고 하였다. 禮書云匕長三尺或五尺有黍稷之匕有牲體之匕有疏匕三匕以棘廩人之槪黍稷之匕也雍人之所槪牲體之匕也牲體之匕挑匕也其制則黍稷之匕小於挑匕桃匕小於疏有司徹司馬以二手執挑匕柄以挹渣사注于疏匕若是者三挹之以挑匕然後注于疏匕者三則疏匕大矣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1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세종실록오례_등]]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709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9b03.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 | |- |
− | | [[국조오례의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말하기를, “형정(鉶鼎)은 국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춘 것이다. 국으로 말하면 형갱(鉶羹)이요,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鉶鼎)이다.” 했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鉶],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 [[국조오례의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br/>『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74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74/1200x1200/ratio/ktc000274-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 [[대한예전]] || [[형]]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형정(鉶鼎)은 국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춘 것이다. 국으로 말하면 형갱(鉶羹)이요,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鉶鼎)이다.”라고 했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60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대한예전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60/1200x1200/ratio/ktc001460-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 [[종묘의궤]] || [[형]]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도구이고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로 양념한 국이니, 국으로 말하면 형갱이라고 하고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俱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87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종묘의궤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f/궁중기록화_물품_형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 | |- |
− | | [[사직서의궤]] || [[형]]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형정(鉶鼎)은 국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춘 것이다. 국으로 말하면 형갱(鉶羹)이요,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鉶鼎)이다.”라고 했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사직서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288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 [[사직서의궤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 | |- |
− | | [[경모궁의궤]] || [[형]]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형정(鉶鼎)은 국을 담는 그릇이고 형갱(鉶羹)은 오미(五美)로 맛을 낸 국이니, 국으로 말하면 형갱이라고 하고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이라고 한다.”라고 한다. 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ref>『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151 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 + | | [[경모궁의궤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151/1200x1200/ratio/ktc001151-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 | |- |
− | | [[공성왕후부묘도감의궤]] || [[주형개구]] || [[documents]] || <공성왕후부묘도감의궤, 삼방><ref>『공성왕후부묘도감의궤』, 삼방,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5&category=A&sWord=鉶蓋具 鑄鉶蓋具],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파일:형_공성왕후부묘도감의궤_규장각.jpg|100px]]<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공성왕후부묘도감의궤_주형개구]]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 | |- |
− | | [[주형개구]] || [[형]] || [[sameAs]]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세종실록오례_형]] || [[isRelatedTo]]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형]] || [[documents]]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b/궁중기록화_물품_형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형] | + | | [[세종실록오례_형]] || [[사직제]] || [[isUsedIn]] || |
| |- | | |- |
− | | [[등]] || [[형]]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6/63/궁중기록화_물품_등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세종실록오례_형]] || [[길례]] || [[isUsedIn]]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등]]<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세종실록오례_등]]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6/63/궁중기록화_물품_등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등] | + | | [[세종실록오례_형]] || [[화갱]] || [[goesWith]]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세종실록오례_등]]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b/궁중기록화_물품_형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사직제]] || [[isUsedIn]] ||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길례]] || [[isUsedIn]] ||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화갱]] || [[goesWith]] || ||
| |
− | |-
| |
− | | [[제기]]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형]] || [[hasPart]]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hasPart]]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세종실록오례_형]] || [[documents]]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형]] || [[예서]] || [[references]]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