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 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조선시대 국가 제사에서 제상에 올릴 희생(犧牲) 고기를 담는 도마처럼 생긴 제기이다.<ref>이욱,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9 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조선시대 국가 제사에서 제상에 올릴 희생(犧牲) 고기를 담는 도마처럼 생긴 제기이다.<ref>이욱,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9 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조(俎) : [[석전의| | +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조(俎) : [[석전의|『석전의』]]에서 말했다. “조(俎)의 길이는 1척 8촌, 너비는 8촌, 높이는 8촌 5푼이다. 양쪽 끝은 주색(朱色. 붉은 색)으로 칠하고, 가운데는 흑색(黑色. 검은 색)으로 칠한다.”<br/>◎ 俎 : 〈圖〉 『釋奠儀』云。“俎, 長一尺八寸, 闊八寸, 高八寸五分。漆兩端以朱, 中以黑。” 註 001 |
+ | <br/>註 001 『紹熙州縣釋奠儀圖』 「禮器圖·俎」. “俎, 長一尺八寸, 闊八寸, 高八寸五分. 漆兩端以朱, 中以黑.”<ref>『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俎],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br/>『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1, 길례(吉禮), 제기(祭器)의 도설(圖說), [http://db.history.go.kr/law/item/compareViewer.do?levelId=jlawb_230r_0010_0010_0130_0080 조(俎)],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법령자료』<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26번째 줄: | 27번째 줄: | ||
| id || [[국조오례의_조]] | | id || [[국조오례의_조]] | ||
|- | |- | ||
− | | 이칭/별칭 || | + | | 이칭/별칭 || 조 |
|- | |- | ||
| 재질 || | | 재질 || | ||
39번째 줄: | 40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의_조]] || [[ | + | |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조]] || [[hasPart]] || |
+ | |-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조]] || [[국조오례의_조]] || [[depicts]] || | ||
+ | |-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조]] || [[석전의]] || [[references]] || | ||
|- | |- | ||
− | | [[국조오례의_조]] || [[조]] || [[type]] || | + | | [[국조오례의_조]] || [[조-俎]] || [[type]] || |
− | |||
− | |||
|- | |- | ||
− | | [[ | + | | [[대한예전_조]] || [[국조오례의_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 | [[종묘의궤_조]] || [[국조오례의_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사직서의궤_조]] || [[국조오례의_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경모궁의궤_조]] || [[국조오례의_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조]] || [[국조오례의_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국조오례의_조]] || [[사직제]] || [[isUsedIn]] || |
|- | |- | ||
− | | [[국조오례의_조]] || [[ | + | | [[국조오례의_조]] || [[길례]] || [[isUsedIn]] || |
|- | |- | ||
− | + | | [[국조오례의_조]] || [[희생]] || [[goesWith]] || | |
− | |||
− | | [[국조오례의_조]] || [[희생]] || [[goesWith]] | ||
− | |||
− | |||
− | |||
− | |||
|- | |- | ||
|} | |} | ||
76번째 줄: | 70번째 줄: | ||
==Spatial Data== | ==Spatial Data== |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2020년 11월 28일 (토) 19:3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 제사에서 제상에 올릴 희생(犧牲) 고기를 담는 도마처럼 생긴 제기이다.[1]
『국조오례의』 ◎ 조(俎) : 『석전의』에서 말했다. “조(俎)의 길이는 1척 8촌, 너비는 8촌, 높이는 8촌 5푼이다. 양쪽 끝은 주색(朱色. 붉은 색)으로 칠하고, 가운데는 흑색(黑色. 검은 색)으로 칠한다.”
◎ 俎 : 〈圖〉 『釋奠儀』云。“俎, 長一尺八寸, 闊八寸, 高八寸五分。漆兩端以朱, 中以黑。” 註 001
註 001 『紹熙州縣釋奠儀圖』 「禮器圖·俎」. “俎, 長一尺八寸, 闊八寸, 高八寸五分. 漆兩端以朱, 中以黑.”[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국조오례의_조 | Object | 물품 | 제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_조(俎) | 국조오례의_조 | 國朝五禮儀_俎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_조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국조오례의_조 |
이칭/별칭 | 조 |
재질 | |
색상 | |
사용처 |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세종실록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조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07 | |
도설 | 국조오례의 | 조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조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10&category=A&sWord=俎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조 | http://www.cbd-chm.go.kr/home/rsc/rsc01003p_6.do?dt_gbn=TC&data_gbn_cd=BIO&cls_no=120000023992&cls_id=13392&pageIndex=32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조(俎)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379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조(俎)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조(俎) | |
참고 | AKS Encyves | 조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조 | |
도해 | 세종실록 오례 | 조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b03.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