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척갱재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nline Reference)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반척갱재축|반척갱재축(頒尺賡載軸)]]은 [[정조]]가 1796년(정조 20) 2월 1일 [[중화절]](中和節)을 맞이하여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을 반사하고, 이에 관하여 214명의 신하들과 주고 받은 시를 모아 시축으로 묶은 것이다. 정조가 즉위한 후 경사를 맞이할 때마다 군신간에 화답하는 시를 주고받고 이를 모아두었는데, 이를 [[갱재축]]이라 하였다. [[내각]](內閣)에서 편집하여 1796년 [[정리자]](整理字)로 반포하도록 하였다. | + | [[반척갱재축|반척갱재축(頒尺賡載軸)]]은 [[조선 정조]]가 1796년(정조 20) 2월 1일 [[중화절]](中和節)을 맞이하여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을 반사하고, 이에 관하여 214명의 신하들과 주고 받은 시를 모아 시축으로 묶은 것이다. 현전하지는 않는다. 정조가 즉위한 후 경사를 맞이할 때마다 군신간에 화답하는 시를 주고받고 이를 모아두었는데, 이를 [[갱재축]]이라 하였다. 갱재는 타인이 지은 시에 하답하는 시이며, 갱재시는 갱재하여 지은 시이다. [[내각]](內閣)에서 편집하여 1796년 [[정리자]](整理字)로 반포하도록 하였다.『홍재전서』 제182권, 갱재축 48권의 서목 가운데 반척갱재축 사본에 정조가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병진년 중춘 초하룻날에 공경과 근신에게 자를 내려 주었는데, 이는 중화절의 고사를 따른 것이다. 또 시를 지어 은총의 뜻을 표하였는데, 갱재한 이는 214명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정조의 명으로 제작한 [[철제은상감중화척]](鐵製銀象嵌中和尺)이 소장되어 있다.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7번째 줄: | 16번째 줄: | ||
===Additional Attributes=== | ===Additional Attributes=== | ||
− | + | *[[틀:문헌정보]]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반척갱재축 |
− | |한자표기 | + | |- |
− | |영문명칭 | + | |한자표기||頒尺賡載軸 |
− | |이칭 | + | |- |
− | |유형 | + | |영문명칭 || |
− | |저자 | + | |- |
− | |역자 | + | |이칭 || |
− | |편자 | + | |- |
− | |저술시기 | + | |유형 || |
− | |간행시기 | + | |- |
− | |간행처 | + | |저자 ||정조 외 |
− | |간행지 | + | |- |
− | |간행인 | + | |역자 || |
− | |시대 | + | |- |
− | |수량 | + | |편자 || |
− | |크기 | + | |- |
− | |판본 | + | |저술시기 ||1796년(정조 20) |
− | |판사항 | + | |- |
− | |형태사항 | + | |간행시기 ||[1814년(순조 14)] |
− | |표기문자 | + | |- |
− | |소장처 | + | |간행처 || |
− | |청구기호 | + | |- |
− | |지정번호 | + | |간행지 || |
− | |지정일 | + | |- |
− | + | |간행인 || | |
+ | |- | ||
+ | |시대 || | ||
+ | |- | ||
+ | |수량 ||184권 100책(182권 수록) | ||
+ | |- | ||
+ | |크기 ||34.5×22.1㎝ | ||
+ | |- | ||
+ | |판본 ||정리자(整理字) | ||
+ | |- | ||
+ | |판사항 || | ||
+ | |- | ||
+ | |형태사항 || | ||
+ | |- | ||
+ | |표기문자 ||한자 | ||
+ | |- | ||
+ |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 |- | ||
+ | |청구기호 ||奎3777-v.1-100 | ||
+ | |- | ||
+ | |지정번호 || | ||
+ | |- | ||
+ | |지정일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55번째 줄: | 77번째 줄: | ||
|- | |- | ||
| [[반척갱재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urrentLocation]] || | | [[반척갱재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urrentLocation]] || | ||
− | |||
− | |||
|- | |- | ||
| [[반척갱재축]] || [[중화척]] || [[mentions]] || | | [[반척갱재축]] || [[중화척]] || [[mentions]]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홍재전서]] || [[반척갱재축]] || [[mentions]] || | | [[홍재전서]] || [[반척갱재축]] || [[mentions]] || | ||
|- | |- | ||
− | + | | [[반척갱재축]]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반척갱재축]] || [[ | ||
|- | |- | ||
|} | |} | ||
78번째 줄: | 88번째 줄: | ||
==Spatial Data== | ==Spatial Data== | ||
− | ===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127번째 줄: | 137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 resource || title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중화절||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66 | ||
+ | |-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어제시|| | ||
+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472 | ||
+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포백척||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148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한국세시풍속사전 || 중화척 || |
− | + | ||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4919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중화척 || |
− | +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7453 | |
|- | |- | ||
− | | 참고 || | + | |참고 || 한국고전종합DB ||다산시문집 제2권/임금께서 중화척을 내려주시면서 곁들여 보내신 시를 화답하다[賡和內賜中和尺兼簡御詩韻] |
− | + |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60A_0020_010_1750_2000_001_XML | |
|- | |- | ||
− | | 참고 || | + | |참고 || 한국고전종합DB ||홍재전서 제182권 |
− | + |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584A_1820_010_0210_2006_018_XML | |
|- | |- | ||
|} | |} | ||
157번째 줄: | 176번째 줄: | ||
| 홍석모 저·장유승 역해,|| 『동국세시기』,|| 아카넷, 2016.|| || | | 홍석모 저·장유승 역해,|| 『동국세시기』,|| 아카넷, 2016.|| || | ||
|- | |- | ||
− | | 김남기,||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규장각 소장 갱재축과 연운축을 중심으로-,|| | + | | 김남기,||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규장각 소장 갱재축과 연운축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38,|| 2006.|| || |
|- | |- | ||
|} | |} |
2020년 11월 24일 (화) 12:2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반척갱재축(頒尺賡載軸)은 조선 정조가 1796년(정조 20) 2월 1일 중화절(中和節)을 맞이하여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을 반사하고, 이에 관하여 214명의 신하들과 주고 받은 시를 모아 시축으로 묶은 것이다. 현전하지는 않는다. 정조가 즉위한 후 경사를 맞이할 때마다 군신간에 화답하는 시를 주고받고 이를 모아두었는데, 이를 갱재축이라 하였다. 갱재는 타인이 지은 시에 하답하는 시이며, 갱재시는 갱재하여 지은 시이다. 내각(內閣)에서 편집하여 1796년 정리자(整理字)로 반포하도록 하였다.『홍재전서』 제182권, 갱재축 48권의 서목 가운데 반척갱재축 사본에 정조가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병진년 중춘 초하룻날에 공경과 근신에게 자를 내려 주었는데, 이는 중화절의 고사를 따른 것이다. 또 시를 지어 은총의 뜻을 표하였는데, 갱재한 이는 214명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정조의 명으로 제작한 철제은상감중화척(鐵製銀象嵌中和尺)이 소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반척갱재축 | Record | 문헌 | 반척갱재축(頒尺賡載軸) | 반척갱재축 | 頒尺賡載軸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반척갱재축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반척갱재축 |
한자표기 | 頒尺賡載軸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
저자 | 정조 외 |
역자 | |
편자 | |
저술시기 | 1796년(정조 20) |
간행시기 | [1814년(순조 14)] |
간행처 | |
간행지 | |
간행인 | |
시대 | |
수량 | 184권 100책(182권 수록) |
크기 | 34.5×22.1㎝ |
판본 | 정리자(整理字) |
판사항 | |
형태사항 | |
표기문자 | 한자 |
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청구기호 | 奎3777-v.1-100 |
지정번호 | |
지정일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반척갱재축 | 갱재축 | type | |
반척갱재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urrentLocation | |
반척갱재축 | 중화척 | mentions | |
홍재전서 | 반척갱재축 | mentions | |
반척갱재축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중화절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66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어제시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472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포백척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148 | |
참고 | 한국세시풍속사전 | 중화척 |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4919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중화척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7453 | |
참고 | 한국고전종합DB | 다산시문집 제2권/임금께서 중화척을 내려주시면서 곁들여 보내신 시를 화답하다[賡和內賜中和尺兼簡御詩韻]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60A_0020_010_1750_2000_001_XML | |
참고 | 한국고전종합DB | 홍재전서 제182권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584A_1820_010_0210_2006_018_XML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정승모 책임번역 및 해제, | 『조선대세시기Ⅲ:경도잡지, 열양세시기, 동국세시기』, | 국립민속박물관, 2007. | ||
정승모 지음, | 『한국의 농업세시』, | 일조각, 2012. | ||
홍석모 저·장유승 역해, | 『동국세시기』, | 아카넷, 2016. | ||
김남기, |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규장각 소장 갱재축과 연운축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38, | 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