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세종실록오례]] || [[상준]] || [[documents]] || || | + | | [[세종실록오례]]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상준]] || [[hasPart]]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세종실록오례_희준]] ||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사림광기|『사림광기(事林廣記)』]]에 이르기를, “상준(象尊)은 코끼리[象]를 준(尊)의 배 위에 장식한 것이니, 입지름이 1尺 3寸이요, 밑지름이 8寸이며, 위아래의 구멍 지름[空徑]이 1尺 5分이요, 발[足]의 높이가 2寸이다.”고 하였다. 그 나머지 해설은 희준(犧尊)의 해설에 나타나 있다.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희준(犧尊)은 주(周)나라의 준(尊)을 본뜬 것이다. 소는 큰 희생(犧牲)이고, 기름[膏]이 향내가 나므로 봄의 형상[春象]에 적당하고, 큰 짐승이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니, 이것이 선왕(先王)께서 희준(犧尊)을 봄 제사와 여름 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고 하였다.> 事林廣記云象尊飾以象於尊腹之上口圓徑一尺二寸底徑八寸上下空徑一尺五分足高二寸餘見犧尊說<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祠禴也>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8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96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파일:세종실록 상준.jpg|100px]]<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depicts]]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희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사림광기|『사림광기(事林廣記)』]]에 이르기를, “희준(犧尊)은 소[牛]를 준(尊)의 배 위에 장식한 것이니, 입지름이 1尺 2寸, 밑지름이 8寸, 위아래의 구멍 지름[空徑]이 1尺 5分, 발[足]의 높이가 2寸이다.”고 하였다.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희준(犧尊)은 주(周)나라의 준(尊)을 본뜬 것이다. 소[牛]는 큰 희생(犧牲)이고, 기름[膏]이 향내가 나므로 봄의 형상[春象]에 적당하고, 큰 짐승이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니, 이것이 선왕(先王)께서 희준(犧尊)을 봄 제사와 여름 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고 하였다. 事林廣記云犧尊飾以牛於尊腹之上口圓徑一尺二寸底徑八寸上下空徑一尺五分足高二寸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祠禴也 <ref>『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7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희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br/>『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695 희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파일:세종실록 희준.jpg|100px]]<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상준]] || [[석전의]] || [[references]] || |
| |- | |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상준(象尊)의 무게는 10斤이요, 발까지 합한 높이는 6寸 8分이며, 입지름[口徑]은 1寸 8分이다. 귀의 너비는 1寸 2分이요, 귀의 길이는 1寸 9分이며, 깊이는 4寸 9分이다.” 했다. 나머지는 희준(犧尊)의 설명에 나와 있다. 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深四寸九分餘見犧尊說 <ref>『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象尊],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br/>『국조오례의서례』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87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파일:국조오례의_상준.jpg|100px]] | + | | [[세종실록오례:길례서례:제기도설:상준]] || [[예서]] || [[references]] || |
| |- | | |- |
− | | [[춘관통고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춘관통고_상준.jpg|100px]]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상준]] || [[type]] || |
| |- | | |- |
− | | [[대한예전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상준(象尊)의 무게는 10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寸 8分, 입지름은 1寸 8分이다. 귀의 너비는 1寸 2分, 귀의 길이는 1寸 9分, 깊이는 4寸 9分이다.”라고 했다. 나머지는 희준(犧尊)의 설명에 나와 있다. 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濶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湥四寸九分餘見犧尊說 <ref>『대한예전』 3권, 길례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73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파일:대한예전_상준02.JPG|100px]] | + | | [[세종실록오례_희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종묘의궤]]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상준(象尊)의 무게는 10斤이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寸 8分, 입지름은 1寸 8分이다. 귀의 너비는 1寸 2分, 귀의 길이는 1寸 9分이다. 깊이는 4寸 9分이다. 나머지는 희준에 대한 해설에 보인다.<『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희준과 상준(象尊)은 주나라의 준이다. 소는 큰 희생(犧牲)이고 소기름 향내는 봄에 알맞으며, 코끼리는 큰 짐승이고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니, 이것이 선왕이 봄의 사(祠)제사와 여름의 약(禴)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 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深四寸九分餘見犧尊說<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祠禴也> <ref>『종묘의궤』 1권, 종묘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000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파일:종묘의궤_상준.jpg|100px]] | + | | [[국조오례의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사직서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상준(象尊)의 무게는 10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寸 8分, 입지름은 1寸 8分이다. 귀의 너비는 1寸 2分, 귀의 길이는 1寸 9分, 깊이는 4寸 9分이다.”라고 하였다.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희준과 상준(象尊)은 주(周)나라의 준이다. 소는 큰 희생(犧牲)이고 소기름 향내(膏薌)는 봄에 알맞으며, 코끼리는 큰 짐승이고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니, 이것이 선왕이 봄의 사 제사와 여름의 약 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㴱四寸九分○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祠禴也 <ref>『사직서의궤』 1권,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303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파일:사직서의궤_상준(희준).jpg|100px]] | + | | [[춘관통고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국조상례보편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상준(象尊)[명수(明水)와 양제(盎齊)를 담는 것이다. ○ 봄과 여름에는 상준(象尊)을 쓴다]. 상준(象尊)은 무게가 10斤이다[『의궤(儀軌)』에는 19斤으로 되어 있다]. 길이는 1尺 5分이다. 입지름은 4寸 8分이고, 너비는 3寸이며, 깊이는 4寸 9分이다. 족부의 높이는 2寸 1分이고, 족부까지 포함한 높이가 6寸 5分이다. 코[鼻]의 길이는 2寸 1分이며, 상아의 길이는 2寸이다. 뚜껑[蓋]의 높이는 1寸 7分이다. 象尊[所以實明水盎齊者○春夏用象尊]象尊重十斤[儀軌十九斤]體長尺五分口徑長四寸八分濶三寸深四寸九分足高二寸一分通足高六寸五分鼻長二寸一分牙長二寸蓋高寸七分 <ref>『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889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889/1200x1200/ratio/ktc001889-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 | + | | [[대한예전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경모궁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상준(象尊)의 무게는 10斤이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寸 9分, 입지름은 1寸 8分이다. 귀의 너비는 1寸 2分이고, 귀의 길이는 1寸 9分, 깊이는 4寸 9分이다.”라고 하였다. 나머지는 희준에 대한 설명에 보인다. 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深四寸九分○餘見犧尊說 <ref>『경모궁의궤』 1권, 제기도설,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161 상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html><img width="120" src="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161/1200x1200/ratio/ktc001161-200/jpg.image"/></html><br/>한국전통지식포탈[https://www.koreantk.com/]<br/>[[파일:경모궁의궤_상준.jpg|100px]]<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종묘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사림광기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사림광기_상준.JPG|100px]] | + | | [[사직서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예서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예서_상준.jpg|100px]] | + | | [[국조상례보편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석전의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석전의_상준.JPG|100px]] | + | | [[경모궁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삼재도회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삼재도회_상준.jpg|100px]] | + | | [[사림광기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삼례도집주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삼례도집주_상준.jpg|100px]] | + | | [[예서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삼례도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삼례도_상준.jpg|100px]] | + | | [[석전의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대명집례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대명집례_상준.jpg|100px]] | + | | [[삼재도회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태상지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파일:태상지_상준.jpg|100px]] | + | | [[삼례도집주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정조국장도감의궤_상준]]<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48 정조국장도감의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3, 삼방 제기질> 한국전통지식포탈에서 검색 안 됨. AKS Encyves 가이 이미지 있음.<ref>『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3, 삼방 제기질, [http://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pageSize=&keyword=정조국장도감의궤&target=ALL&setId=36978&sl=&pageNo=1 가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전통지식포탈』<sup>online</sup></online></html>, 특허청.</ref>||<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3/34/궁중기록화_물품_상준개구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상준] | + | | [[삼례도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순조국장도감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6/궁중기록화_물품_상준개구_순조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상준] | + | | [[대명집례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2/2d/궁중기록화_물품_상준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상준] | + | | [[태상지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상준]]<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d/궁중기록화_물품_상준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상준] | + | | [[정조국장도감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희준]] || [[상준]] || [[isRelatedTo]]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a1/궁중기록화_물품_희준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순조국장도감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상준]] ||[[간송미술관]] || [[currentLocation]] || ||[[파일:간송미술관_상준.jpg|100px]] |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상준]] ||[[경기도박물관]] || [[currentLocation]] || ||[[파일:경기도박물관_상준01.jpg|100px]]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상준]] ||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상준]] ||[[국립고궁박물관]] || [[currentLocation]] || ||[[파일:국립고궁박물관_상준.jpg|100px]] | + | | [[호림박물관_상준]] ||[[세종실록오례_상준]] || [[references]] || |
| |- | | |- |
− | | [[용작]] || [[세종실록오례_상준]] || [[goesWith]] ||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d/d5/궁중기록화_물품_용작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간송미술관_상준]]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멱]] || [[세종실록오례_상준]] || [[goesWith]] ||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d/d8/궁중기록화_물품_멱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html><br/>AKS Encyves[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 | [[경기도박물관_상준]]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명수]] || [[goesWith]] || 고대로부터 희준(犧尊), 상준(象尊), 착준(著尊), 호준(壺尊), 대준(大尊), 산준(山尊) 등 총 6종의 준을 계절별로 번갈아 사용하였는데, 1종류 당 2개씩 사용되었다. | + | | [[국립고궁박물관_상준]] ||[[세종실록오례_상준]] || [[isRelatedTo]] || |
− | 봄과 여름 제향에는 희준(犧尊)과 상준(象尊), 가을과 겨울 제향에는 착준(著尊)와 호준(壺尊)을 사용한다.
| |
− | 봄, 여름에 명수(明水)와 예제(醴齊, 단 술)를 담아 신실 밖의 준소상(尊所床)에 진설한다.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예제]] || [[goesWith]]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명수]] || [[goesWith]]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사직제]] || [[isUsedIn]]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예제]] || [[goesWith]]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봄제사]] || [[isUsedIn]]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사직제]] || [[isUsedIn]]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여름제사]] || [[isUsedIn]]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봄제사]] || [[isUsedIn]]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길례]] || [[isUsedIn]]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여름제사]] || [[isUsedIn]]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흉례]] || [[isUsedIn]]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길례]] || [[isUsedIn]]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사림광기]] || [[references]]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흉례]] || [[isUsedIn]]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예서]] || [[references]]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삼재도회]] || [[isRelatedTo]] || ||
| |
− | |-
| |
−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삼례도집주]]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125번째 줄: |
117번째 줄: |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 | | |
− | ===Spactial Information Nodes=== |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