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후효정후철인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신정후효정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신정후효정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神貞王后孝定王后高宗明聖王后)上號都監...) |
(→Defini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신정후효정후철인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신정후효정후철인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神貞后孝定后哲仁后高宗明成后)上號都監儀軌)]]는 1872년(고종 9) 종정부판관 이최응이 경복궁 재건과 삼정문란 시정 등 고종의 9년간의 공적을 기려 존호를 올릴 것을 주장함에 따라, 왕비와 대비에게 함께 존호를 올린 사실을 기록하였다. 존호는 고종이 통천융운조극돈륜(統天隆運肇極敦倫), 신정왕후가 협천(協天), 효정왕후가 정휘(貞徽), 철인왕후가 수령(粹寜), 중궁전이 효자(孝慈)이었다. 신정왕후의 왕비 책봉 40주기인 4월에 고종은 근정전에 나가 존호책보를 올리고 영의정으로부터 받았다. 다음날에 강녕전에서 내진작과 야진작을 행하고 이튿날 회작연을 거행하였다. 이 의궤는 1책이며, 채색 반차도와 채색도설을 수록하고 있다. <ref>.</ref>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영조]] || [[어제경복궁]] || [[isCreaterOf]] || | ||
+ | |- | ||
+ | | [[]] || [[어제경복궁]] || [[isPartOf]] || | ||
+ | |- | ||
+ | |} |
2020년 10월 28일 (수) 13:4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신정후효정후철인후고종명성후)상호도감의궤((神貞后孝定后哲仁后高宗明成后)上號都監儀軌)는 1872년(고종 9) 종정부판관 이최응이 경복궁 재건과 삼정문란 시정 등 고종의 9년간의 공적을 기려 존호를 올릴 것을 주장함에 따라, 왕비와 대비에게 함께 존호를 올린 사실을 기록하였다. 존호는 고종이 통천융운조극돈륜(統天隆運肇極敦倫), 신정왕후가 협천(協天), 효정왕후가 정휘(貞徽), 철인왕후가 수령(粹寜), 중궁전이 효자(孝慈)이었다. 신정왕후의 왕비 책봉 40주기인 4월에 고종은 근정전에 나가 존호책보를 올리고 영의정으로부터 받았다. 다음날에 강녕전에서 내진작과 야진작을 행하고 이튿날 회작연을 거행하였다. 이 의궤는 1책이며, 채색 반차도와 채색도설을 수록하고 있다. [1]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영조 | 어제경복궁 | isCreaterOf | |
[[]] | 어제경복궁 | isPartOf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