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향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안향청은 국왕을 비롯한 제관이 제사를 준비하고 향축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집이다....) |
잔글 (→Bibliography)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안향청은 국왕을 비롯한 제관이 제사를 준비하고 향축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집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입면 일부가 변화되었으나 1988년에 고증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2000년대까지 배면에 조적벽을 쌓아 확장부를 두고 창고로 이용하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 이를 제거하였다. 기단은 한벌대 장대석이며 기단 바닥은 강회다짐 하였다. 기단 위에는 방형 초석과 각주를 올렸다. 민도리 양식으로 굴도리를 사용하였으며 기둥 위에 대량을 걸고 5량가를 형성하였다. 평면 8칸 중 전면 4칸과 배면 중앙의 2칸은 우물마루를 설치하였고, 배면 좌우 2칸을 온돌방으로 구성하여 제관이 머물도록 하였다. 전면에 사분합문을 설치하고 상단에 광창을 달았다. 좌측 마루방에도 사분합문을 달았으나 온돌방과 우측 마루방에는 두짝 여닫이문을 달았다. | + | 안향청은 국왕을 비롯한 제관이 제사를 준비하고 향축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집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입면 일부가 변화되었으나 1988년에 고증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
+ | |||
+ | 2000년대까지 배면에 조적벽을 쌓아 확장부를 두고 창고로 이용하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 이를 제거하였다. | ||
+ | |||
+ | 기단은 한벌대 장대석이며 기단 바닥은 강회다짐 하였다. 기단 위에는 방형 초석과 각주를 올렸다. 민도리 양식으로 굴도리를 사용하였으며 기둥 위에 대량을 걸고 5량가를 형성하였다. | ||
+ | |||
+ | 평면 8칸 중 전면 4칸과 배면 중앙의 2칸은 우물마루를 설치하였고, 배면 좌우 2칸을 온돌방으로 구성하여 제관이 머물도록 하였다. 전면에 사분합문을 설치하고 상단에 광창을 달았다. 좌측 마루방에도 사분합문을 달았으나 온돌방과 우측 마루방에는 두짝 여닫이문을 달았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38번째 줄: | 4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사직제]] || [[안향청]] || [[ | + | | [[사직제]] || [[안향청]] || [[isPerformedAt]] || |
|- | |- | ||
− | | [[ | + | | [[사직단]] || [[안향청]] || [[hasPart]] || |
|} | |} | ||
128번째 줄: | 134번째 줄: | ||
|- | |- | ||
| 정광순,|| 『사적 제121호 사직단』,|| 종로문화원, 2009.|| || | | 정광순,|| 『사적 제121호 사직단』,|| 종로문화원, 2009.|| || | ||
+ | |- | ||
+ | |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사직단 복원정비 계획』,|| 문화재청, 2014.|| || | ||
|- | |- | ||
|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전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 |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전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 ||
152번째 줄: | 160번째 줄: | ||
</html> | </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조물]] [[분류:전인혁]] |
2020년 10월 2일 (금) 05:1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안향청은 국왕을 비롯한 제관이 제사를 준비하고 향축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집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입면 일부가 변화되었으나 1988년에 고증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2000년대까지 배면에 조적벽을 쌓아 확장부를 두고 창고로 이용하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 이를 제거하였다.
기단은 한벌대 장대석이며 기단 바닥은 강회다짐 하였다. 기단 위에는 방형 초석과 각주를 올렸다. 민도리 양식으로 굴도리를 사용하였으며 기둥 위에 대량을 걸고 5량가를 형성하였다.
평면 8칸 중 전면 4칸과 배면 중앙의 2칸은 우물마루를 설치하였고, 배면 좌우 2칸을 온돌방으로 구성하여 제관이 머물도록 하였다. 전면에 사분합문을 설치하고 상단에 광창을 달았다. 좌측 마루방에도 사분합문을 달았으나 온돌방과 우측 마루방에는 두짝 여닫이문을 달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안향청 | Architecture | 건조물 | 재실 | 안향청(安香廳) | 안향청 | 安香廳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안향청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안향청 |
이칭/별칭 | - |
유형 | 건조물 |
설명 | 사직제를 지내기 위해 국왕과 제관이 머물던 재실. |
장소 | 사직단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제 | 안향청 | isPerformedAt | |
사직단 | 안향청 | hasPart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사직단(社稷壇)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단(社稷壇)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직단(社稷壇)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005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가제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7. | ||
오세옥, 김기빈(옮김), | 『사직서의궤』, |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김문식, 김지영, 박례경, 송지원, 심승구, | 『왕실의 천지제사 : 조선 왕실의 행사1』, | 돌베개, 2011. | ||
강문식, 이현진, | 『종묘와 사직 : 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 책과함께, 2011. | ||
김동욱, | 『종묘와 사직』, | 대원사, 2005. | ||
정광순, | 『사적 제121호 사직단』, | 종로문화원, 2009. | ||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역사건축기술연구소, | 『사직단 복원정비 계획』, | 문화재청, 2014.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석전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종묘제례 :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 민속원, 2008.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사직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 민속원, 2007. |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 번역집』,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2017. | ||
이건웅, |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 전수교육교재』, | 사직대제보존회, 2004. |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한국예학용어대사전』, | 한국학자료원, 2020. |
Notes
사직제를 지내기 위해 국왕과 제관이 머물던 재실.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