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머리-외명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Node Descrip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어여머리-상궁]] || Clothing || 복식 || 수식 || 어여머리-상궁|| 어여머리-상궁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어여머리-상궁 ||
+
| [[어여머리-외명부]] || Clothing || 복식 || 수식 || 어여머리-외명부 || 어여머리-외명부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어여머리-외명부 ||
<html><img width="80" src="http://dh.aks.ac.kr/hanyang/wiki/images/b/b8/상궁_어여머리-국립고궁박물관.jpg"/></html>
+
<html><img width="100" src="http://dh.aks.ac.kr/hanyang/wiki/images/4/4f/의친왕비_사진(부분)-국립고궁박물관.jpg"/></html>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어여머리-상궁]]
+
| id || [[어여머리-외명부]]
 
|-
 
|-
| 대표명칭 || 어여머리-상궁
+
| 대표명칭 || 어여머리-외명부
 
|-
 
|-
 
| 한자표기 ||  
 
| 한자표기 ||  
43번째 줄: 4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3d-어여머리-상궁]] || [[어여머리-상궁]] || [[hasReferenceNote]] ||  
+
| [[어여머리-외명부]] || [[어염족두리]] || [[hasPart]] ||  
 
|-
 
|-
| [[어여머리-상궁]] || [[3d-어여머리-상궁]] || [[isShownBy]] ||  
+
| [[어여머리-외명부]] || [[어염다래]] || [[hasPart]] ||  
 
|-
 
|-
|}
+
| [[어여머리-외명부]] || [[쪽머리]] || [[hasPart]] ||  
 
+
|-  
===재현물 제작 정보===
+
| [[어여머리-외명부]] || [[개구리첩지-금]] || [[hasPar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3d-어여머리-상궁 || 어여머리1 || [[hasReference]]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0쪽.
 
*[[쪽머리]]에서 정수리에 얹어져 있는 '족두리'를 제외하고 '어염족두리'를 올린 후, 땋은머리 가체를 둘러 완성한 머리모양.
 
|| [[파일:어여머리1-국립고궁박물관『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240쪽.jpg|120px]]
 
 
|-
 
|-
| 3d-어여머리-상궁 || 어여머리2 || [[hasReference]] ||
 
*사진출처: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21218FP 순정효황후 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자료사진 '어여머리1', '어여머리2'에서 떨잠 3개를 제외하고 제작
 
| [[파일:순정효황후 사진-국립고궁박물관.jpg|120px]]
 
 
|}
 
|}
  
118번째 줄: 106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어여머리-상궁"></iframe>
+
<iframe width="90%"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어여머리-외명부"></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어여머리-상궁'">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어여머리-외명부'">  
</html>
 
 
 
==3D Model==
 
 
 
<html>
 
<a href="http://dh.aks.ac.kr/~hanyang/glb2/images/연향/어여머리-상궁.jpg"><img width="60%" src="http://dh.aks.ac.kr/~hanyang/glb2/images/연향/어여머리-상궁.jpg"/></a>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640px" src="http://dh.aks.ac.kr/~hanyang/glb2/modelViewerV2.htm?type=연향복식&id=어여머리-상궁"></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glb2/modelViewer.htm?type=연향복식&id=어여머리-상궁'">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2021년 3월 23일 (화) 15:0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어여머리는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와 조선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등이 의례를 행하기 위해 하던 머리 모양이다.[1] 어여머리는 쪽머리를 하고 정수리에 어염족두리를 얹고 그 위에 어염다래를 얹어 만든다. '에우미'는 어여머리의 또 다른 표기이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어여머리-외명부 Clothing 복식 수식 어여머리-외명부 어여머리-외명부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어여머리-외명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어여머리-외명부
대표명칭 어여머리-외명부
한자표기
이칭/별칭 에우미
구분 머리모양
착용신분 왕실, 내명부,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어여머리-외명부 어염족두리 hasPart
어여머리-외명부 어염다래 hasPart
어여머리-외명부 쪽머리 hasPart
어여머리-외명부 개구리첩지-금 hasPar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어여머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어여머리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어여머리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08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여머리(於由味)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6030
해설 한국복식사전 어여머리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716
사진 AKS Encyves 어여머리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b/궁중기록화_복식_어여머리01_왕실문화도감.jpg
사진 AKS Encyves 어여머리 어여머리에 원삼을 착용한 순헌황귀비와 순정효황후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af/궁중기록화_복식_어여머리_원삼01_고궁박물관.jpg
사진 AKS Encyves 어여머리 어여머리에 원삼을 착용한 순정효황후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a/궁중기록화_복식_어여머리_원삼02_고궁박물관.jpg
사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어여머리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80822/20180822114553_w_.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Designintro, 2013.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김지연,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오선희, 「조선시대 여자비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한미사진미술관 편집부, 『대한제국 황실의 초상: 1880~1989』, 한미사진미술관, 2012.

Notes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
  2.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86-89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