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명당 주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덕수궁]]의 중심 건물이다. 임금이 조회를 비롯해 하례(賀禮)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등 나라의 중요한 행사나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다른 건물과 달리 두 단의 돌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지었는데, 1902년에 지은 것은 1904년 화재로 소실됐고, 지금 것은 1906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중화전 안에는 ‘닫집’ 혹은 ‘당가’라고 불리는 집 속의 집이 있고, 그 안에 임금이 앉던 어좌가 있다. 어좌 뒤로는 세 번 접었다하여 ‘섬절 곡병’이라 불리는 병풍이, 그 뒤로는 왕을 상징하는 병풍인 일월오악도(日月崑崙圖) 가 놓여 있다.
+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
 
 +
 
 +
(1) 三百六旬春不老 (삼백육순춘불로) 삼백육십일 늘 봄처럼 젊음을 유지하고,
 +
 
 +
(2) 萬八千年慶長留 (만팔천년경장류) 일만 팔천 년 동안 경사가 길이 머무리.
 +
 
 +
 
 +
임금이 [[준명당]]에서 늘 봄처럼 온화하고 늙지 않으며, 대한제국의 국운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는 시다.
 +
 
 +
 +
준명당 주련 역시 나무 판에 글씨를 새긴 것이 아니라 글씨를 쓴 종이를 기둥에 그대로 발라 놓은 형태다.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36쪽.</ref>
+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54쪽.</ref>
<ref>문화재청,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353&sectionId=ocp&pageIndex=1&strWhere=title&strValue=%eb%8d%95%ec%88%98%ea%b6%81&mn=NS_01_02 궁궐의 현판과 주련-덕수궁_중화전 권역 1]",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ref>문화재청,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378&sectionId=ocp&pageIndex=1&strWhere=title&strValue=%eb%8d%95%ec%88%98%ea%b6%81&mn=NS_01_02 궁궐의 현판과 주련-덕수궁_중화전 권역 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6번째 줄: 27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석어당_주련]]|| Object||물품||주련||석어당주련(昔御堂柱聯)||석어당주련||昔御堂柱聯||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석어당_주련 ||
+
|[[준명당_주련]]|| Object||물품||주련||준명당주련(浚明堂柱聯)||준명당 주련||浚明堂柱聯||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준명당_주련 ||
 
|}
 
|}
  
24번째 줄: 3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석어당_주련]] || [[중화전_현판]] || [[hasPart]] ||
+
| [[준명당_주련]] || [[준명당]] || [[isPartOf]] ||  
|-
 
| [[석어당_주련]] || [[덕수궁]] || [[isPartOf]] ||
 
|-
 
| [[석어당_주련]] || [[덕수궁정전]] || [[isRelatedTo]] ||
 
|-
 
| [[석어당_주련]] || [[닫집]] || [[isRelatedTo]] ||  
 
 
|-
 
|-
| [[석어당_주련]] || [[당가]] || [[sameAs]] ||  
+
| [[준명당_주련]] || [[석어당_주련]] || [[isRelatedTo]] ||  
 
|-
 
|-
| [[석어당_주련]] || [[일월오악도]] || [[isRelatedTo]] ||  
+
| [[준명당_주련]] || [[고궁박물관]] || [[currentLocation]] ||  
 
|-
 
|-
| [[석어당_주련]] || [[삼절곡병]] || [[isRelatedTo]] ||
 
 
|}
 
|}
  
46번째 줄: 50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석어당_주련||서울특별시_중구||석어당주련(昔御堂柱聯)||昔御堂柱聯|| ||  ||  ||   
+
|준명당_주련||서울특별시_중구||준명당주련(浚明堂柱聯)||浚明堂柱聯|| ||  ||  ||   
 
|-
 
|-
 
|}
 
|}
55번째 줄: 5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 실록사전 || 중화전(中和殿)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화전(中和殿)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德壽宮中和殿─中和門)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366
 
|-
 
| 사료 || 조선왕조실록  || 고종 35년 2월 13일 || ||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502013_001
 
|-
 
| 사료 || 조선왕조실록  || 고종 35년 10월 23일 || ||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510023_001
 
|-
 
 
 
|}
 
|}
  
83번째 줄: 76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HYN&key=건춘문"></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DS&key=덕수궁"></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HYN&key=건춘문'">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DS&key=덕수궁'">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주련]] [[분류:김은숙]]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주련]] [[분류:김은숙]]

2021년 3월 20일 (토) 22:2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1) 三百六旬春不老 (삼백육순춘불로) 삼백육십일 늘 봄처럼 젊음을 유지하고,

(2) 萬八千年慶長留 (만팔천년경장류) 일만 팔천 년 동안 경사가 길이 머무리.


임금이 준명당에서 늘 봄처럼 온화하고 늙지 않으며, 대한제국의 국운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는 시다.


준명당 주련 역시 나무 판에 글씨를 새긴 것이 아니라 글씨를 쓴 종이를 기둥에 그대로 발라 놓은 형태다.


[1]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준명당_주련 Object 물품 주련 준명당주련(浚明堂柱聯) 준명당 주련 浚明堂柱聯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준명당_주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준명당_주련 준명당 isPartOf
준명당_주련 석어당_주련 isRelatedTo
준명당_주련 고궁박물관 currentLocation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준명당_주련 서울특별시_중구 준명당주련(浚明堂柱聯) 浚明堂柱聯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3』, 문화재청, 2007, 54쪽.
  2.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덕수궁_중화전 권역 2",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