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춘앵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궁중 정재(呈才) 중 꾀꼬리 우는 소리에서 영감을 얻어 창제된 것으로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이다.<ref>강순제·김미...)
 
(Definition)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궁중 정재(呈才) 중 꾀꼬리 우는 소리에서 영감을 얻어 창제된 것으로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09쪽</ref> [[여령]]의 복식은 [[화관-무산향|화관]], [[녹색전복|녹색쾌자]], [[협수|착수의]], [[홍초상]], [[남색전대-비단|남색전대]], [[진홍단혜]], [[금가자]], [[옥색한삼]] 등을 갖춰 입는다.<ref>『(丁亥)進饌儀軌』</ref><ref>박성실, 「朝鮮後期  『進爵儀軌』ㆍ『進饌儀軌』類의 服飾 硏究」,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2, 민속원, 2005, 371쪽.</ref>
+
1887년(고종 24) 1월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br>
 +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춘앵전(春鶯囀)'은 꾀꼬리 우는 소리에서 영감을 얻어 창제된 것으로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09쪽</ref>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황초단삼(黃綃單衫), 홍색웃치마[紅綃裳], 초록하피(草綠霞帔), 홍금수구(紅錦繡韝)를 착용하고, 허리에는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두르고,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드리우며,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었다.<ref>『(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進饌時…春鶯囀呈才女戴花冠著黃綃單衫紅綃裳草綠霞帔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紅錦繡韝眞紅緞鞋…】</ref>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ref>『(丁亥)進饌儀軌』 卷2 '饌品' "綵花【…呈才女伶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1년 3월 15일 (월) 12:21 판

Definition

1887년(고종 24) 1월에 고종(高宗 1852~1919)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축하하는 궁중연향(宮中宴享)인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
궁중정재(宮中呈才) 중 '춘앵전(春鶯囀)'은 꾀꼬리 우는 소리에서 영감을 얻어 창제된 것으로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이다.[1]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황초단삼(黃綃單衫), 홍색웃치마[紅綃裳], 초록하피(草綠霞帔), 홍금수구(紅錦繡韝)를 착용하고, 허리에는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두르고,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드리우며,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었다.[2] 또한 머리에는 수공화(首拱花)를 꽂는데, 수파련(水波蓮)과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 이지(二枝)를 더하여 사용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Clothing 복장 정재여령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춘앵전(春鶯囀) 정해년진찬 정재여령-춘앵전 丁亥年進饌 呈才女伶服-春鶯囀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재여령복장-춘앵전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대표명칭 정해년진찬 정재여령복장-춘앵전
한자표기 春鶯囀
이칭별칭
분류 복장
착용신분 여령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화관-춘앵전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황초삼-춘앵전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홍색치마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홍수대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초록하피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진홍단혜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홍금수구 hasPart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춘앵전 오색한삼 hasPar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춘앵전(春鶯囀)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춘앵전&ridx=0&tot=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1,2,3, 민속원, 2005.
趙美羅, 「조선후기 純祖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윤은영, 「궁중정재 춘앵전(春鶯囀) 복식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Notes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09쪽
  2.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進饌時…春鶯囀呈才女戴花冠著黃綃單衫紅綃裳草綠霞帔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紅錦繡韝眞紅緞鞋…】
  3. 『(丁亥)進饌儀軌』 卷2 '饌品' "綵花【…呈才女伶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