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Additional Attribute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의 [[황제]]와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허리에 둘러 묶는 띠이다.<ref>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쪽.</ref>
+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의 황제와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ref>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쪽.</ref> [[대대-왕실남성|대대(大帶)]]는 견직물을 사용해 만들고, 겉은 흰색, 안은 붉은 색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과 녹색으로 가선을 두른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옥대-왕실남성]]
+
| id || [[대대-왕실남성]]
 
|-
 
|-
| 색상 || 흰색, 홍색, 녹색
+
| 대표명칭 || 대대
 
|-
 
|-
| 구성 || 요(繞), 신(紳)
+
| 한자표기 || 大帶
 
|-
 
|-
| 재질 || 견직물
+
| 이칭별칭 ||  
 
|-
 
|-
| 분류 || 허리띠
+
| 구분 || 허리띠
 
|-
 
|-
| 착용 신분 || [[황제]], [[황태자]], [[]], [[왕세자]], [[왕세손]]
+
| 착용신분 ||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
|-
 +
| 착용성별 || 남성
 
|-
 
|-
 
|}
 
|}
42번째 줄: 44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옥대-왕실남성]] || [[의궤]] || [[mentions]] ||
+
| || || || |
|-
 
| [[황제의_대례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황태자의_대례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왕의_대례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왕세자의_대례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황제의_조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황태자의_조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왕의_조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왕세자의_조복]] || [[옥대-왕실남성]] || [[hasPart]] ||
 
|-
 
| [[옥대-왕실남성]] || [[면복_상의]]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면복_하상]]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강사포|통천관복_상의]]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강사포_하상|통천관복_하상]]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강사포|원유관복_상의]]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강사포_하상|원유관복_하상]] || [[goesWith]] ||
 
|-
 
| [[옥대-왕실남성]] || [[곤룡포]] || [[goesWith]] ||
 
 
|-
 
|-
 
|}
 
|}
  
==Spatial Data==
+
===재현물 제작 정보===
 
 
===Spacti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
|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사이즈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대대와 후수 복원품''' 정보 참고.
 +
* '''대대''' 길이 75cm, 너비 10cm
 +
* '''후수''' 길이 83cm, 너비 23.2cm
 +
* '''신''' 길이 66.5cm, 너비 11cm
 +
* '''광다회''' 길이 100cm, 너비 6.5cm
 +
|| [[파일:대대,수-사이즈.jpg|150px]]<br/>대대와 후수 복원품 일러스트<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40쪽. 일러스트에 사이즈 정보 표기.</ref>
 
|-
 
|-
| || || || || ||  ||  || 
+
| 어진에 옷을 입히다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대대'''와 '''신'''의 전면은 백색 공단으로 하고,
 +
* 가장자리 둘레는 홍색(붉은색)과 녹색 공단으로 감싼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대(왕실남성) 대대(왕실남성)]"<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홍색과 녹색은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8&cultureSeq=913LJE '''영친왕비 대대와 후수'''] 참고.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1.jpg|150px]]<br/>대대와 후수 복원품<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12쪽. 복원품 사진에 정보 표기.</ref>
 
|-
 
|-
| || || || || ||  ||  || 
+
|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표시한 부분 안감은 홍색 공단(무늬없고 비침없는 광택있는 비단).<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대(왕실남성) 대대(왕실남성)]"<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2.jpg|150px]]
 
|-
 
|-
|}
+
|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대대''' 뒷면 중앙에는 16.5cm 간격으로 3개의 금속 고리가 달려있다.<ref>"[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8&cultureSeq=913LJE 영친왕비 대대와 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Spatial Relations===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3.jpg|150px]]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대대'의 안쪽 가운데에 '수', 양쪽에는 '신'이 각각 제작되어 고정된다.
 +
* 즉, 각각 만들어진 직사각형 4개가 모여 조합된 모습으로 제작.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4.jpg|150px]] <br/>[[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5.jpg|150px]]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대대'의 양쪽 끝에는 청색 비단실로 짠 '광다회'가 달려있다.
 +
|| <html><img width="150" src="https://gogung.go.kr/culture/getImageComp.do?cultureSeq=913LJE&imgSeq=1"]/></html> <br/>영친왕비의 대대와 후수
 
|-
 
|-
| || || ||  
+
| 어진에 옷을 입히다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수'는 홍, 청, 흑, 백, 녹색의 4가지 색으로 이루어지고, 3번 반복한다.
 +
* '''대대와 후수 복원품''' 색상 참고.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6.jpg|150px]]
 
|-
 
|-
|}
+
| 국립고궁박물관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수'의 안감은 붉은색 운보문사.
==Temporal Data==
+
* 운보문사는 '운보무늬[雲寶紋]'가 있는 비침있는 원단.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8&cultureSeq=913LJE '''영친왕비의 대대와 후수'''], [https://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7224CI '''패옥''']<ref>"[https://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7224CI 영친왕비 패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의 뒷모습에서 볼 수 있는 붉은색 원단 참고.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7.jpg|150px]]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대대-왕실남성 || [[references]] ||
|-
+
* 전면에서 대대의 5㎝ 아래에 도금한 금환을 부착한다.
| ||  ||  ||
+
|| [[파일:대대-왕실남성-작업8.jpg|150px]]
 
|-
 
|-
 
|}
 
|}
138번째 줄: 106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AKS Encyves || 옥대(왕실남성)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옥대(왕실남성)
+
| 해설 || AKS Encyves || 대대(왕실남성)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대(왕실남성)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옥대(玉帶)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옥대(玉帶)
+
| 해설 || 위키 실록사전 || 대대(大帶)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대(大帶)
 
|-
 
|-
| 참고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옥대(玉帶)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18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9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옥대(玉帶)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686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대(大帶)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180
 
|-
 
|-
| 도해 || AKS Encyves || 대대 || 『正祖國葬都監儀軌』 대대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7/궁중기록화_복식_왕실남성_대_01.jpg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대대(大帶)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61
 
|-
 
|-
| 도해 || AKS Encyves || 옥대 || 왕자의 옥대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8/궁중기록화_복식_옥대_02_고궁박물관.jpg
+
| 도해 || AKS Encyves || 대대(왕실남성) || 『正祖國葬都監儀軌』 왕의 대대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7/궁중기록화_복식_왕실남성_대_01.jpg
 
|-
 
|-
| 도해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옥대 || || http://dh.aks.ac.kr/~hyunseung/hanyang/옥대(국립고궁박물관).JPG
+
| 도해 || AKS Encyves || 대대(왕실남성) || 『宗廟儀軌』 대대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4/43/궁중기록화_복식_왕_대대_종묘의궤_규장각.jpg
 
|-
 
|-
| 도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옥대 || 순종황제가 왕세자 시절 착용했던 옥대 || http://dh.aks.ac.kr/~hyunseung/hanyang/순종황제_왕세자시절_착용_옥대(국립중앙박물관).jpg
+
| 도해 || AKS Encyves || 대대(왕실남성) || 『大韓禮典』 황제의 대대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c/궁중기록화_복식_대대%28왕실남성%2902.jpg
 
|-
 
|-
 
|}
 
|}
163번째 줄: 131번째 줄: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국립고궁박물관 , || 『대대·옥대: 국립고궁박물관복제 제작기술서』, || 국립고궁박물관, 2012. || ||
 +
|-
 +
| 국립민속박물관, ||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 민속원, 2011. ||  ||
 +
|-
 +
| 국립민속박물관 편, || 『한민족역사문화도감』, || 국립민속박물관, 2005. ||  ||
 +
|-
 +
| 고광림, || 『한국의 관복』, || 화성사, 1995. ||  ||
 +
|-
 +
| 金明淑, ||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
|-
 +
| 金明淑, ||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 한국복식학회, 1992. ||  ||
 +
|-
 +
| 金明淑, ||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 한국복식학회, 1983. ||  ||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 金明淑, ||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  
 
|-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 유희경, || 「冕服에 關한 硏究」,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  
 
|-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
| 이은진·조효진, ||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 한복문화학회, 2008.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출판부, 2006.|| ||
+
| 이혜경, ||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 한복문화학회, 2001. || ||  
 
|-
 
|-
|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
| 인윤실, ||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 한국복식학회, 1978. || ||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
| 전혜숙, ||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
 
|-
|조광복,|| 「朝鮮時代의 帶에 對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
| 최규순, ||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2집, ||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  
 
|-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 최규순, ||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 동화대학출판부, 2007. || ||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최연우, || 『면복』, || 문학동네, 2015. || ||  
 
|-
 
|-
 
|}
 
|}
192번째 줄: 172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옥대-왕실남성"></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5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김현승&key=대대-왕실남성"></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tutor/cgi-bin/ency2019/encyStory01.py?옥대-왕실남성'">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김현승&key=대대-왕실남성'">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2021년 1월 12일 (화) 03:1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의 황제와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1] 대대(大帶)는 견직물을 사용해 만들고, 겉은 흰색, 안은 붉은 색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과 녹색으로 가선을 두른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대대-왕실남성 Clothing 복식 허리띠 대대(大帶)-왕실남성 대대-왕실남성 大帶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대대-왕실남성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대대-왕실남성
대표명칭 대대
한자표기 大帶
이칭별칭
구분 허리띠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사이즈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대대와 후수 복원품 정보 참고.
  • 대대 길이 75cm, 너비 10cm
  • 후수 길이 83cm, 너비 23.2cm
  • 길이 66.5cm, 너비 11cm
  • 광다회 길이 100cm, 너비 6.5cm
대대,수-사이즈.jpg
대대와 후수 복원품 일러스트[3]
어진에 옷을 입히다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대대의 전면은 백색 공단으로 하고,
  • 가장자리 둘레는 홍색(붉은색)과 녹색 공단으로 감싼다.[4]
  • 홍색과 녹색은 영친왕비 대대와 후수 참고.
대대-왕실남성-작업1.jpg
대대와 후수 복원품[5]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표시한 부분 안감은 홍색 공단(무늬없고 비침없는 광택있는 비단).[6]
대대-왕실남성-작업2.jpg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대대 뒷면 중앙에는 16.5cm 간격으로 3개의 금속 고리가 달려있다.[7]
대대-왕실남성-작업3.jpg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대대'의 안쪽 가운데에 '수', 양쪽에는 '신'이 각각 제작되어 고정된다.
  • 즉, 각각 만들어진 직사각형 4개가 모여 조합된 모습으로 제작.
대대-왕실남성-작업4.jpg
대대-왕실남성-작업5.jpg
국립고궁박물관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대대'의 양쪽 끝에는 청색 비단실로 짠 '광다회'가 달려있다.

영친왕비의 대대와 후수
어진에 옷을 입히다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수'는 홍, 청, 흑, 백, 녹색의 4가지 색으로 이루어지고, 3번 반복한다.
  • 대대와 후수 복원품 색상 참고.
대대-왕실남성-작업6.jpg
국립고궁박물관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수'의 안감은 붉은색 운보문사.
  • 운보문사는 '운보무늬[雲寶紋]'가 있는 비침있는 원단.
  • 영친왕비의 대대와 후수, 패옥[8]의 뒷모습에서 볼 수 있는 붉은색 원단 참고.
대대-왕실남성-작업7.jpg
국립고궁박물관 대대-왕실남성 references
  • 전면에서 대대의 5㎝ 아래에 도금한 금환을 부착한다.
대대-왕실남성-작업8.jpg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대대(왕실남성)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대(왕실남성)
해설 위키 실록사전 대대(大帶)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대(大帶)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대(帶)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9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대(大帶)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180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대대(大帶)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61
도해 AKS Encyves 대대(왕실남성) 『正祖國葬都監儀軌』 왕의 대대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7/궁중기록화_복식_왕실남성_대_01.jpg
도해 AKS Encyves 대대(왕실남성) 『宗廟儀軌』 대대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4/43/궁중기록화_복식_왕_대대_종묘의궤_규장각.jpg
도해 AKS Encyves 대대(왕실남성) 『大韓禮典』 황제의 대대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c/궁중기록화_복식_대대%28왕실남성%2902.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고궁박물관 편, 『대대·옥대: 국립고궁박물관복제 제작기술서』, 국립고궁박물관, 2012.
국립민속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국립민속박물관 편, 『한민족역사문화도감』, 국립민속박물관, 2005.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이은진·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Notes

  1. 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40쪽. 일러스트에 사이즈 정보 표기.
  4. "대대(왕실남성)"『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12쪽. 복원품 사진에 정보 표기.
  6. "대대(왕실남성)"『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영친왕비 대대와 수", 『국립고궁박물관』online, 문화재청.
  8. "영친왕비 패옥", 『국립고궁박물관』online, 문화재청.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