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근정전 월대 양쪽 모서리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주시하며 앉아 있는 해치 석상. 어미 품에 안겨 있는 새끼 해치의 모습이 이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근정전 월대 양쪽 모서리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주시하며 앉아 있는 해치 석상. 어미 품에 안겨 있는 새끼 해치의 모습이 이체롭다. 한 가족이 모두 나와 궁궐에 나쁜 기운이 엄습하지 못하도록 수호하는 벽사의 기능을 하고 있다.
+
내림마루 양쪽 끝에 용머리 모양으로 장식해 놓은 기와. 화기를 제어하는 벽사의 기능을 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근정전월대해치상]]|| Architecture|| 건조부품||궁궐|| 근정전월대해치상(勤政殿月臺獬豸像) || 勤政殿月臺獬豸像 || 근정전월대해치상  || || ||
+
|[[용두]]||Architecture||건축부품||장식기와||용두(龍頭)||용두||龍頭||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용두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틀:제기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propertyName || value
 +
|-
 +
| id || [[용두]]
 +
|-
 +
| 이칭/별칭 || 치미,치두
 +
|-
 +
| 재질 || 백자, 분청사기, 유기
 +
|-
 +
| 색상 ||
 +
|-
 +
| 사용 신분 || [[궁궐]], [[왕실]]
 +
|-
 
|}
 
|}
 +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19번째 줄: 4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근정전월대]] || [[해치상]] || [[currentLocation]] ||  
+
| [[용두]] || [[내림마루]] || [[isRelatedTo]] ||
 +
|-
 +
| [[용두]] || [[벽사]] || [[isRelatedTo]] ||
 +
|-
 +
|}
 +
 
 +
==Spatial Data==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용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355
 +
|-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용두||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918
 +
|-
 +
| 해설 || 네이버백과사전 ||용두||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87201&cid=58385&categoryId=58385
 +
|-
 +
| 사진 || 다음백과사전  ||용두||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83XYM00017780PU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Bibliography==
33번째 줄: 130번째 줄:
 
|}
 
|}
  
==Note==
+
==Notes==
 
1.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263쪽.
 
1.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263쪽.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 Architecture-건축부품]] [[분류:박지윤]]

2021년 1월 10일 (일) 18:0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내림마루 양쪽 끝에 용머리 모양으로 장식해 놓은 기와. 화기를 제어하는 벽사의 기능을 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용두 Architecture 건축부품 장식기와 용두(龍頭) 용두 龍頭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용두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용두
이칭/별칭 치미,치두
재질 백자, 분청사기, 유기
색상
사용 신분 궁궐, 왕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용두 내림마루 isRelatedTo
용두 벽사 isRelatedTo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355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용두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918
해설 네이버백과사전 용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87201&cid=58385&categoryId=58385
사진 다음백과사전 용두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83XYM00017780PU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84415

Notes

1.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263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