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2] 1-2번지에 위치한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신 조...) |
(→Online Referenc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 id || [[ | + | | id || [[종묘]] |
|- | |- | ||
− | | 한자표기 || | + | | 한자표기 || 宗廟 |
|- | |- | ||
| 이칭/별칭 || | | 이칭/별칭 ||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종묘]] || [[사직]]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종묘]] || [[종묘제]] || [[isRelatedTo]] || |
|- | |- | ||
− | | [[ | + | | [[종묘의궤]] || [[종묘]] || [[depicts]] || |
|- | |- | ||
− | | [[ | + | | [[종묘등록]] || [[종묘]] || [[depicts]] || |
− | |||
− | |||
|- | |- | ||
|} | |} | ||
121번째 줄: | 119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실록사전 || 종묘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종묘(宗廟) |
− | |||
− | |||
|- | |- |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종묘와 사직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종묘와 사직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EBS Culture || 역사채널e- The history channel e_종묘사직을 생각하소서!_#001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wdv9SAZh9Qg |
|- | |- | ||
|} | |} | ||
143번째 줄: | 139번째 줄: | ||
|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직대제』, || 민속원, 2007.|| || | |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직대제』, || 민속원, 200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otes== | ==Notes== |
2020년 12월 24일 (목) 11:3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2] 1-2번지에 위치한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신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유교 사당. 면적은 186,786 ㎡.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종묘사직'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 전제왕조 당시 왕실과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였다.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125호로 지정되었고 1995년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재하였다. 종로3가역과 매우 가까워서, 11번 출구로 나가 조금(5~10 m)걸어가면 종묘가 앞에 보인다.
원래 종묘 제도 자체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현재 중국 자금성 앞에 위치한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태묘는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지배하기 시작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노동인민문화궁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공원화되고 황실의 제사가 중단되는 바람에 제 기능을 상실했다. 그러므로 본고장에서 말살된 전통의 명맥을 어찌보면 한국의 종묘가 잇고 있는 셈.[3] 결국 중국의 종묘제도가 구시대 착취의 상징 비슷한 뉘앙스로 문화대혁명 등을 거치며 박살난지라 중국학자들이 이 부분을 연구하려면 한국의 종묘를 연구하는 수밖에 없게 되었다.[4]
2019년 기준 입장료는 1천 원이고, 만24세 미만은 신분증 지참하면 무료 입장 가능. 참고로 평일 및 일요일에는 1시간 간격으로 문화재 해설사와 함께 관람하는 단체 입장[5]만 가능하다. 토요일과 명절 당일[6],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은 해설 없이 자유관람. 공휴일에도 인솔자와 함께 관람해야 하니 주의하자. 매주 화요일은 공식 휴관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종묘 | Concept | 개념용어 | 제단 | 종묘(宗廟 ) | 종묘 | 宗廟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종묘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종묘 |
한자표기 | 宗廟 |
이칭/별칭 | |
유형 | 개념용어, 제단 |
저자 | |
간행시기 | |
수량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종묘 | 사직 | isRelatedTo | |
종묘 | 종묘제 | isRelatedTo | |
종묘의궤 | 종묘 | depicts | |
종묘등록 | 종묘 | depicts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실록사전 | 종묘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종묘(宗廟)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종묘와 사직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 |
참고 | EBS Culture | 역사채널e- The history channel e_종묘사직을 생각하소서!_#001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wdv9SAZh9Q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사직대제』, | 민속원, 2007.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