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Data)
(Semantic Network Graph)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주척|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주척]",『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주척|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
<ref>김기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주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7번째 줄: 27번째 줄:
 
|}
 
|}
  
==Spatial Data==
+
===재현물 제작 정보===
  
===Spactial Information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주척]] || [[documents]] ||
 +
* 놋쇠, 가로: 1cm, 세로: 20.5cm
 +
* 표면이 곡면이며, 윗부분에 구멍이 있다. (두께는 임의판단)
 +
|| [[파일:주척_앞면_창덕26776 .jpg|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주척(창덕26776) 앞면]
 +
|-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주척]] || [[documents]] ||
===Spatial Relations===
+
* 뒷면에 명문 “周尺准黃鐘尺 長六寸六里”가 점선으로 음각되었다.
 
+
|| [[파일:주척_뒷면_창덕26776 .jpg|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주척(창덕26776) 뒷면]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Tempor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Online Reference==
65번째 줄: 67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 [[분류:김해인]] [[분류:재현]]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주척"></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주척'">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 [[분류:김해인]]
 

2020년 12월 23일 (수) 20:0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주척(周尺)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모든 문물제도가 주대(周代)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는 유가이념(儒家理念)에 영향을 받아 고려 때부터 국가가 관리하는 도량형의 기본단위로 주척을 채택하여왔다. 세종 때 《사기 史記》의 기록에 따라 황종척(黃鐘尺)을 만들어 척도의 근본으로 삼았으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주척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척도체계의 기준을 세웠다. 《경국대전》에는 주척이 0.606황종척으로 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에는 0.6황종척으로 되어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주척 Object 물품 주척(周尺) 주척 周尺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주척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주척 공조 isUsedIn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주척 documents
  • 놋쇠, 가로: 1cm, 세로: 20.5cm
  • 표면이 곡면이며, 윗부분에 구멍이 있다. (두께는 임의판단)
주척 앞면 창덕26776 .jpg
주척(창덕26776) 앞면
국립고궁박물관 주척 documents
  • 뒷면에 명문 “周尺准黃鐘尺 長六寸六里”가 점선으로 음각되었다.
주척 뒷면 창덕26776 .jpg
주척(창덕26776) 뒷면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주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436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유척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9615ZQ&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도량형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586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Notes

  1. 김기협, "주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