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 상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제사 때 술과 물을 담는 코끼리 무늬, 또는 코끼리 형태의 그릇. 『국조오례의』의 상준은 동물모양...)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조선시대 국가제사 때 술과 물을 담는 코끼리 무늬, 또는 코끼리 형태의 그릇. [[『국조오례의』]]의 상준은 [[동물모양 제기]]이다. [[『세종실록』]]의 상준이 [[바리모양 제기]]인 것과는 형태의 차이를 보인다.
 
조선시대 국가제사 때 술과 물을 담는 코끼리 무늬, 또는 코끼리 형태의 그릇. [[『국조오례의』]]의 상준은 [[동물모양 제기]]이다. [[『세종실록』]]의 상준이 [[바리모양 제기]]인 것과는 형태의 차이를 보인다.
◎ 상준(象尊)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상준(象尊)은 무게가 10근이요, 발까지 합하여 높이가 6촌 8푼이며, 입구의 직경이 1촌 8푼이다. 귀의 높이는 1촌 2푼이요, 귀의 넓이는 1촌 9푼이며, 깊이는 4촌 9푼이다."고 하였다. 그 나머지 해설은 해설은 희준(犧尊)의 해설에 나타나 있다. 『釋奠儀』云: "象尊, 重一十斤, 通足高六寸八分, 口徑一寸八分, 耳闊一寸二分, 耳長一寸九分, 深四寸九分。" 餘見犧尊說。
+
<br/>
<ref>『國朝五禮序例』(奎185-v.1-2, 0001권, 044a-050b면), 제기도설 / 상준.[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ref>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상준(象尊) : [[석전의|『석전의』]]에서 말했다. “상준(象尊)은 무게가 10근이요, 발까지의 높이는 6촌 8푼, 구경은 1촌 8푼, 귀의 너비는 1촌 2푼, 귀의 길이는 1촌 9푼, 깊이는 4촌 9푼이다.” 나머지는 희준(犧尊)의 설명에 보인다.  
 +
<br/>◎ 象尊 : 〈도〉 『釋奠儀』云。“象尊, 重一十斤, 通足高六寸八分, 口徑一寸八分, 耳闊一寸二分, 耳長一寸九分, 深四寸九分。” 註 001 餘見犧尊說。
 +
<br/>註 001 『紹熙州縣釋奠儀圖』 「禮記圖·象尊」. “象尊, 重一十斤, 通足高六寸八分, 口徑一寸八分, 耳闊一寸二分, 耳長一寸九分, 深四寸九分.” <ref>『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象尊],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br/>『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1, 길례(吉禮), 제기(祭器)의 도설(圖說), [http://db.history.go.kr/law/item/compareViewer.do?levelId=jlawb_230r_0010_0010_0130_0200 상준(象尊)],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법령자료』<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3번째 줄: 15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국조오례의』의 상준]] || Object || 물품 || 제기 || 상준(象尊) || 상준 || 象尊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의_상준 ||
+
| [[국조오례의_상준]] || Object || 물품 || 제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_상준(象尊) || 국조오례의_상준 || 國朝五禮儀_象尊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_상준 ||
 
[[파일:국조오례의_상준.jpg|100픽셀]]
 
[[파일:국조오례의_상준.jpg|100픽셀]]
 
|-
 
|-
25번째 줄: 27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국조오례의』의 상준]]
+
| id || [[국조오례의_상준]]
 
|-
 
|-
 
| 이칭/별칭 || 바리모양 상준
 
| 이칭/별칭 || 바리모양 상준
42번째 줄: 44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국조오례의』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국조오례의_상준.jpg|100px]]
+
|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hasPart]]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depicts]]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석전의]] || [[references]]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예서]] || [[references]]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예기]] || [[references]] ||
 +
|-
 +
|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 [[좌전]] || [[references]] ||
 
|-
 
|-
| [[『국조오례의』의_희준]] || [[상준]] || [[isRelatedTo]] ||[[파일:국조오례의_희준.jpg|100px]]
+
| [[국조오례의_상준]] || [[상준]] || [[type]] ||
 
|-
 
|-
| [[『세종실록』 오례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세종실록_상준.jpg|100px]]
+
| [[국조오례의_희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춘관통고』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춘관통고_상준.jpg|100px]]
+
| [[세종실록오례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대한예전』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대한예전_상준02.JPG|100px]]
+
| [[춘관통고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종묘의궤』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종묘의궤_상준.jpg|100px]]
+
| [[대한예전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사직서의궤』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사직서의궤_상준(희준).jpg|100px]]
+
| [[종묘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경모궁의궤』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경모궁의궤_상준.jpg|100px]]
+
| [[사직서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사림광기』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사림광기_상준.JPG|100px]]
+
| [[국조상례보편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예서』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예서_상준.jpg|100px]]
+
| [[경모궁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석전의』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석전의_상준.JPG|100px]]
+
| [[사림광기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삼재도회』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삼재도회_상준.jpg|100px]]
+
| [[예서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삼례도집주』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삼례도집주_상준.jpg|100px]]
+
| [[석전의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삼례도』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삼례도_상준.jpg|100px]]
+
| [[삼재도회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대명집례』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대명집례_상준.jpg|100px]]
+
| [[삼례도집주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태상지』의_제기]] || [[상준]] || [[depicts]] ||[[파일:태상지_상준.jpg|100px]]
+
| [[삼례도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간송미술관의_제기]] || [[상준]] || [[currentLocation]] ||[[파일:간송미술관_상준.jpg|100px]]
+
| [[대명집례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경기도박물관의_제기]] || [[상준]] || [[currentLocation]] ||[[파일:경기도박물관_상준01.jpg|100px]]
+
| [[태상지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 [[정조국장도감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 [[순조국장도감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상준]] || [[국조오례의_상준]] || [[isRelatedTo]] ||
 +
|-
 +
| [[호림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 [[currentLocation]] ||
 +
|-
 +
| [[간송미술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 [[currentLocation]] ||
 +
|-
 +
| [[경기도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 [[currentLocation]] ||
 +
|-
 +
| [[국립고궁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 [[currentLocation]]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명수]] || [[goesWith]]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예제]] || [[goesWith]]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사직제]] || [[isUsedIn]]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봄제사]] || [[isUsedIn]]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여름제사]] || [[isUsedIn]]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길례]] || [[isUsedIn]] ||
 +
|-
 +
| [[국조오례의_상준]] || [[흉례]] || [[isUsedIn]] ||
 
|-
 
|-
| [[국립고궁박물관의_제기]] || [[상준]] || [[currentLocation]] ||[[파일:국립고궁박물관_상준.jpg|100px]]
 
 
|}
 
|}
  
171번째 줄: 212번째 줄: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
 +
|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
 +
|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
 +
|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
|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
 +
|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
 +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
 +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
|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
|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
|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윤방언,||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 문화재청, 2002.|| ||
 
|-
 
|-
|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
|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2020년 11월 29일 (일) 18:4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제사 때 술과 물을 담는 코끼리 무늬, 또는 코끼리 형태의 그릇. 『국조오례의』의 상준은 동물모양 제기이다. 『세종실록』의 상준이 바리모양 제기인 것과는 형태의 차이를 보인다.
『국조오례의』 ◎ 상준(象尊) : 『석전의』에서 말했다. “상준(象尊)은 무게가 10근이요, 발까지의 높이는 6촌 8푼, 구경은 1촌 8푼, 귀의 너비는 1촌 2푼, 귀의 길이는 1촌 9푼, 깊이는 4촌 9푼이다.” 나머지는 희준(犧尊)의 설명에 보인다.
◎ 象尊 : 〈도〉 『釋奠儀』云。“象尊, 重一十斤, 通足高六寸八分, 口徑一寸八分, 耳闊一寸二分, 耳長一寸九分, 深四寸九分。” 註 001 餘見犧尊說。
註 001 『紹熙州縣釋奠儀圖』 「禮記圖·象尊」. “象尊, 重一十斤, 通足高六寸八分, 口徑一寸八分, 耳闊一寸二分, 耳長一寸九分, 深四寸九分.”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국조오례의_상준 Object 물품 제기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_상준(象尊) 국조오례의_상준 國朝五禮儀_象尊 ritual vessel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국조오례의_상준

국조오례의 상준.jpg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국조오례의_상준
이칭/별칭 바리모양 상준
재질 백자, 분청사기, 유기
색상
사용 신분 국가제사, 왕실제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hasPart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depicts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석전의 references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예서 references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예기 references
국조오례의:서례길례:제기도설:상준 좌전 references
국조오례의_상준 상준 type
국조오례의_희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세종실록오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춘관통고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대한예전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종묘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사직서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국조상례보편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경모궁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사림광기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예서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석전의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삼재도회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삼례도집주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삼례도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대명집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태상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정조국장도감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순조국장도감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isRelatedTo
호림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currentLocation
간송미술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currentLocation
경기도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currentLocation
국립고궁박물관_상준 국조오례의_상준 currentLocation
국조오례의_상준 명수 goesWith
국조오례의_상준 예제 goesWith
국조오례의_상준 사직제 isUsedIn
국조오례의_상준 봄제사 isUsedIn
국조오례의_상준 여름제사 isUsedIn
국조오례의_상준 길례 isUsedIn
국조오례의_상준 흉례 isUsedIn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도설 국조오례의 상준(象尊)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참고 조선왕조실록 상준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8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상준(象尊)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593&category=A&sA&sWord=상준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상준개구(象尊蓋具)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594&category=A&sWord=상준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상준(象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4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상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819&cid=46649&categoryId=46649
참고 위키 실록사전 상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상준(象尊)
참고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상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상준
도해 세종실록 오례 상준 『세종실록 오례』의 바리모양 상준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a02.jpg
도해 국조오례의 상준 『국조오례의』의 동물모양 상준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윤방언,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國朝五禮序例』 1권, 길례 제기도설, 象尊,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1, 길례(吉禮), 제기(祭器)의 도설(圖說), 상준(象尊), 『조선시대법령자료』online, 국사편찬위원회.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