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Contextual Relation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청의]] || [[청건]] || [[goesWith]] ||
 
 
|-
 
|-
 
|}
 
|}
54번째 줄: 52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2&cultureSeq=00020387X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소창의 국립고궁박물관] || [[홍의]] || [[documents]] ||
+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2&cultureSeq=00020387X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소창의 국립고궁박물관] || [[청의]] || [[documents]] ||
  
 
* 가로 144 / 세로 113
 
* 가로 144 / 세로 113
 
* [[소창의]]와 같이 양 옆이 겨드랑이 근처까지 트여 있으나 소매 길이가 짧음
 
* [[소창의]]와 같이 양 옆이 겨드랑이 근처까지 트여 있으나 소매 길이가 짧음
 
* [[홍의]]와 동일한 형태임
 
* [[홍의]]와 동일한 형태임
 +
* 색은 2번째 이미지의 두루마기와 같음
  
 
|| [[파일:홍의-고궁.jpg |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2&cultureSeq=00020387X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소창의 국립고궁박물관] <br/> [[파일:청의_참고색.jpg |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4&cultureSeq=00020323E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두루마기 국립고궁박물관]
 
|| [[파일:홍의-고궁.jpg |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2&cultureSeq=00020387X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소창의 국립고궁박물관] <br/> [[파일:청의_참고색.jpg |150px]]<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4&cultureSeq=00020323EJ&searchRelicDiv4=CULD09&searchGubun=ALL1&searchText=두루마기 국립고궁박물관]

2020년 11월 22일 (일) 00:4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청선(青扇)이나 협련포수(挾輦砲手) 등 궁궐 안의 하급 관리가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하는 옷이다.[1] 국립고궁박물관에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儀仗軍)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가 남아 있다. 홍의는 직령의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있고, 직물은 거친 무명을 사용하였다.[2] 홍의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소창의(小氅衣)는 형태가 비슷해, 직령 깃에 소매가 좁고 무가 없이 옆이 트여있어 '세자락 옷'이라고도 한다. 반차도에는 사각의 (巾)을 쓰고 저고리-남성바지 위에 홍의를 입는데, 화장이 짧아 안에 입은 옷의 소매가 겉으로 드러난다. 궁궐 관리 부서는 각각 옷 색깔을 달리 하여 소속을 구별하였다. 녹의, 청의, 홍의, 황의, 흑의는 색상만 다를 뿐 형태는 유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청의 Clothing 복식 청의(靑衣) 청의 靑衣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홍의

홍의-고궁.jpg
국립고궁박물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청의
대표명칭 청의
한자표기 靑衣
이칭/별칭
구분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청의 documents
  • 가로 144 / 세로 113
  • 소창의와 같이 양 옆이 겨드랑이 근처까지 트여 있으나 소매 길이가 짧음
  • 홍의와 동일한 형태임
  • 색은 2번째 이미지의 두루마기와 같음
홍의-고궁.jpg
국립고궁박물관
청의 참고색.jpg
국립고궁박물관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청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청의
도해 AKS Encyves 홍의 소창의(국립고궁박물관)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5/54/궁중기록화_복식_홍의01_조선시대궁중복식_85쪽.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Notes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85쪽.
  2.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85쪽.
  3.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2~84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