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총인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Bibliography) |
||
91번째 줄: | 91번째 줄: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백영자 ||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 경춘사 2010 || || | + | | 백영자, ||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 경춘사, 2010. || || |
|- | |- | ||
− | | 김지영 ||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 | + | | 김지영, ||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 |
|- | |- | ||
− | | 백영자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 || | + | | 백영자,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 || |
|- | |- | ||
− | | 김정진, 백영자 ||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 || | + | | 김정진, 백영자, ||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 || |
|- | |- | ||
− | | 백영자 ||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 || | + | | 백영자, ||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 || |
|- | |- | ||
− | | 백영자 ||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 || | + | | 백영자, ||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의장』 ||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의장』, ||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
|- | |- | ||
− | |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속병장도설』 || 규장각 1749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 + | |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속병장도설』, || 규장각, 1749.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
|- | |- | ||
− | |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만기요람』권11 ||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 집옥재본(集玉齋本)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 + | |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만기요람』권11, ||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 집옥재본(集玉齋本)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
|- | |- | ||
− | | 민승기 || 『조선의 무기와 갑옷』 || 가람기획 2004 || || | + | | 민승기, || 『조선의 무기와 갑옷』, || 가람기획, 2004 || || |
|- | |- | ||
|} | |} |
2020년 11월 19일 (목) 23:50 판
목차
Definition
천총은 임진왜란 후 5군영이 생기면서 설치되었으며, 각 군영 대장의 중군 밑에 속하여 있던 고급지휘관으로 1영(營) 밑의 군사조직인 부(部)를 지휘, 통할하였다. 이들은 대개 내외장(內外將)을 거친 자로 임명되고, 임기는 1년이었으며, 내금위장(內禁衛將) 등의 금군장(禁軍將)이 옮겨오는 경우가 많았다. 법전상으로 천총이 있던 군영을 보면,『속대전』에 훈련도감 2인, 금위영 4인, 어영청 5인, 수어청 2인, 총융청 2인이 있었고,『대전통편(大典通編)』에 관리청(管理廳) 3인, 진무영(鎭撫營) 4인이 있었다. [1] 천총인기는 현재의 연대장 정도의 직급에 해당하는 지휘관인 각 영의 천총 휘하의 부대를 상징하는 깃발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천총인기 | Object | 물품 | 형명 | 천총인기(千摠認旗) | 천총인기 | 千摠認旗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천총인기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천총인기 |
한자표기 | 千摠認旗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물품 |
시대 | 고려, 조선 |
용도 | 노부, 형명 |
관련인물 | 왕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궁궐, 종묘, 사직, 선농단, 금위영, 어영청, 훈련도감, 총융청, 수어청 |
관련물품 | 노부, 형명 |
관련유물유적 | 창덕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왕 | 백호기 | hasPart | |
노부 | 백호기 | hasPart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속병장도설 | 천총인기 | documents |
|
천총인기 [2]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백영자, |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 경춘사, 2010. | ||
김지영, |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
백영자,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 ||
김정진, 백영자, |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 ||
백영자, |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 ||
백영자, |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의장』, |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속병장도설』, | 규장각, 1749.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 |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만기요람』권11, |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 집옥재본(集玉齋本)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
민승기, | 『조선의 무기와 갑옷』, | 가람기획, 2004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