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물산공진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Spactial Information Node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일제가 일부 건물을 훼손하거나 수축하여 경복궁에서 전국의 물품을 수집·전시한 대대적인 박람회.  
+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일제가 일부 건물을 훼손하거나 수축하여 [[경복궁]]에서 전국의 물품을 수집·전시한 대대적인 박람회. 1915년 공진회 당 사정전, 강녕전을 비롯한 20여개의 경복궁 전각이 공진회 시설물로 쓰였다.<ref>『경복궁변천사-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상, 문화재청,  2007,  74쪽</ref> 1912년 조선총독부는 조사 준비비 3만 원을 계상하고 조사, 설계 등을 서서히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복궁 해체 작업을 시작하였는데 경회루와 근정전과 같은 거대한 몇 개 건물만 남기고 대부분의 건물 약 4천간을 철거하여 그중 많은 것을 민간에 불하하였다. 이후 1915년 시정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경복궁 내 건물군의 해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총독부는 근정전, 교태전, 경회루 등 주요 건물은 모두 행사장으로 사용하고, 그 외 건물들은 많은 부분 헐어내어 그 자리에 18개의 전시관을 신축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조선물산공진회]]|| Event || 사건 || 박람회   ||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  조선물산공진회    || 朝鮮物産共進會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 Event || 사건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  조선물산공진회    || 朝鮮物産共進會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조선물산공진회||
 
|}
 
|}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사진 ||  
 
|사진 ||  
[[파일:조선물산공진회.jpg]]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37번째 줄: 36번째 줄:
 
|시대    || 일제강점기
 
|시대    || 일제강점기
 
|-
 
|-
|날짜    || [[일제강점기]] 1915년 9월 11일 ~10월 30일
+
|날짜    || [[일제강점기]] 1915년 9월 11일 ~10월 31일
 
|-
 
|-
 
|관련인물 ||  
 
|관련인물 ||  
43번째 줄: 42번째 줄: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
|관련장소 || [[경복궁]], [[광화문]], [[근정전]], [[경성역]], [[조선총독부]]
+
|관련장소 || [[경복궁]]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50번째 줄: 49번째 줄:
 
|-
 
|-
 
|}
 
|}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57번째 줄: 5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조선물산공진회]] || [[광화문이축]]||[[isRelatedTo]] ||  
+
| [[조선물산공진회]] || [[경복궁]]||[[happenedAt]] || spati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흥례문_철거]]||[[isRelatedTo]] ||
 +
|-
 +
| [[조선물산공진회]] || [[자선당_철거]]||[[isRelatedTo]] ||
 
|-
 
|-
| [[조선물산공진회]] || [[흥례문철거]]||[[isRelatedTo]]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 || [[hasPart]] ||tempor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 [[hasPart]] ||tempor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 || [[hasPart]] ||tempor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 [[hasPart]] ||temporal
 
|-
 
|-
 
|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보고서]] || [[조선물산공진회]]||[[documents]] ||  
 
|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보고서]] || [[조선물산공진회]]||[[documents]] ||  
 
|-
 
|-
| [[애아의출발]] || [[조선물산공진회]] ||[[depicts]]||  
+
| [[애아의출발]] ||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
 
|-
| [[공진회관람기]] || [[조선물산공진회]] ||[[depicts]]||  
+
| [[공진회관람기]] ||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
 
|-
| [[공진회일기]] || [[조선물산공진회]] || [[depicts]]||  
+
| [[공진회일기]] || [[조선물산공진회]] || [[mentions]]||  
 
|-
 
|-
| [[경성유람기]] || [[조선물산공진회]] ||[[depicts]]||  
+
| [[경성유람기]] ||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
 
|-
| [[두만강]] || [[조선물산공진회]] ||[[depicts]]||  
+
| [[이기영-두만강]] ||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
 
|-
 
|}
 
|}
82번째 줄: 90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경복궁]] || || 경복궁(景福宮) || 景福宮 ||37.579617  || 126.977041 || 47.22 m(154.93 ft) ||   
+
| 경복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 경복궁 || 景福宮 ||37.579617  || 126.977041 || 47.22 m(154.93 ft) ||   
|-
 
| [[조선물산공진회-제1호관]] || || 조선물산공진회 제1호관(朝鮮物産共進會 第一號館) || 朝鮮物産共進會 第一號館 || || ||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제2호관]] || || 조선물산공진회 제2호관(朝鮮物産共進會 第二號館) || 朝鮮物産共進會 第二號館 || || || || 1916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심세관]] || || 조선물산공진회 심세관(朝鮮物産共進會 審勢館) || 朝鮮物産共進會 審勢館 || || || || 1917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참고관]] || || 조선물산공진회 참고관(朝鮮物産共進會 參考官) || 朝鮮物産共進會 參考官|| || || || 1918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미술관 ]] || || 조선물산공진회 미술관(朝鮮物産共進會 美術館) || 朝鮮物産共進會 美術館 || || || || 1919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기계관]] || || 조선물산공진회 기계관(朝鮮物産共進會 機械館) || 朝鮮物産共進會 機械館 || || || || 1920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영림창특설관]] || || 조선물산공진회 영림창특설관(朝鮮物産共進會 營林廠特設館) || 朝鮮物産共進會 營林廠特設館 || || || || 1921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철도관 ]] || || 조선물산공진회 철도관(朝鮮物産共進會 鐵道館) || 朝鮮物産共進會 鐵道館|| || || || 1922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동양척식회사특설관]] || || 조선물산공진회 동양척식회사특설관(朝鮮物産共進會 東洋拓殖株式會社館) || 朝鮮物産共進會 東洋拓殖株式會社館|| || || || 1923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박애관]] || || 박애관(博愛館) || 博愛館 || || || || 1924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연예관 ]] || || 조선물산공진회 연예관(朝鮮物産共進會 演藝館) || 朝鮮物産共進會 演藝館 || || || || 1925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농수산분관]] || || 농수산분관(農水産分館) || 農水産分館|| || || || 1926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미술관-제1분관]] || || 미술관 제1분관(美術館 第一分館)|| 美術館 第一分館 || || || || 1927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미술관-제2분관 ]] || || 미술관 제2분관(美術館 第二分館) || 美術館 第二分館 || || || || 1928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참고미술관]] || || 참고미술관(參考美術館) || 參考美術館 || || || || 1929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인쇄사진관]] || || 인쇄사진관(印刷寫眞館) || 印刷寫眞館|| || || || 1930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관측관]] || || 관측관(觀測館) || 觀測館 || || || || 1931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조선물산공진회-귀빈관]] || || 조선물산공진회 귀빈관(朝鮮物産共進會 貴賓館)|| 朝鮮物産共進會 貴賓館|| || || || 1932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임시세관출장소]] || || 임시세관출장소(臨時稅關出張所) || 臨時稅關出張所 || || || || 1933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관
 
 
|-
 
|-
 
|}
 
|}
129번째 줄: 99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제1호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경복궁]] || [[happenedAt]] || spatial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제2호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심세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참고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미술관 ]]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기계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영림창특설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철도관 ]]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동양척식회사특설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박애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연예관 ]]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농수산분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미술관-제1분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미술관-제2분관 ]]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참고미술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인쇄사진관]] || [[hasPart]]||
 
|-
 
| [[조선물산공진회]] || [[관측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귀빈관]]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임시세관출장소]] || [[hasPart]]||
 
 
|-
 
|-
 
|}
 
|}
176번째 줄: 110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 조선물산공진회 개회식 || || || 1915.09.11 || ||
+
| 조선물산공진회 || 1915 || 조선물산공진회 || 朝鮮物産共進會 ||  || 1915년 9월 11일~ 10월 31일 ||  ||
 +
|-
 +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1915 || 조선물산공진회 개장식 || 朝鮮物産共進會開場式|| || 1915년 9월 11일 || ||
 +
|-
 +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1915 || 조선물산공진회 개회식 || 朝鮮物産共進會開會式|| || 1915년 10월 1일 || ||
 +
|-
 +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1915 || 조선물산공진회 포상수여식 ||朝鮮物産共進會 褒賞授與式 || || 1915년 10월 17일 || ||
 
|-
 
|-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 조선물산공진회 폐회식 || || || 1915.10.15 || ||
+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1915|| 조선물산공진회 폐회식 || 朝鮮物産共進會閉會式|| || 1915년 10월 31일 || ||
 
|-
 
|-
 
|}
 
|}
188번째 줄: 128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 || [[hasPart]] ||tempor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 [[hasPart]] ||temporal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 [[hasPart]]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 || [[hasPart]] ||temporal
 +
|-
 +
|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 [[hasPart]] ||temporal
 
|-
 
|-
 
|}
 
|}
225번째 줄: 16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경복궁변천사-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상,|| 문화재청,  2007,  || ||
 
|-
 
|-
 
|주윤정,  || 「‘朝鮮物産共進會’(1915)에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주윤정,  || 「‘朝鮮物産共進會’(1915)에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2020년 11월 17일 (화) 20:1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일제가 일부 건물을 훼손하거나 수축하여 경복궁에서 전국의 물품을 수집·전시한 대대적인 박람회. 1915년 공진회 당 사정전, 강녕전을 비롯한 20여개의 경복궁 전각이 공진회 시설물로 쓰였다.[1] 1912년 조선총독부는 조사 준비비 3만 원을 계상하고 조사, 설계 등을 서서히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복궁 해체 작업을 시작하였는데 경회루와 근정전과 같은 거대한 몇 개 건물만 남기고 대부분의 건물 약 4천간을 철거하여 그중 많은 것을 민간에 불하하였다. 이후 1915년 시정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경복궁 내 건물군의 해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총독부는 근정전, 교태전, 경회루 등 주요 건물은 모두 행사장으로 사용하고, 그 외 건물들은 많은 부분 헐어내어 그 자리에 18개의 전시관을 신축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조선물산공진회 Event 사건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조선물산공진회 朝鮮物産共進會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조선물산공진회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조선물산공진회
한자표기 朝鮮物産共進會
영문명칭
이칭 시정5주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
유형
시대 일제강점기
날짜 일제강점기 1915년 9월 11일 ~10월 31일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경복궁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조선물산공진회 경복궁 happenedAt spatial
조선물산공진회 흥례문_철거 isRelatedTo
조선물산공진회 자선당_철거 isRelatedTo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hasPart temporal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보고서 조선물산공진회 documents
애아의출발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공진회관람기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공진회일기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경성유람기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이기영-두만강 조선물산공진회 mentions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경복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景福宮 37.579617 126.977041 47.22 m(154.93 ft)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조선물산공진회 경복궁 happenedAt spatial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조선물산공진회 1915 조선물산공진회 朝鮮物産共進會 1915년 9월 11일~ 10월 31일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 1915 조선물산공진회 개장식 朝鮮物産共進會開場式 1915년 9월 11일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1915 조선물산공진회 개회식 朝鮮物産共進會開會式 1915년 10월 1일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 1915 조선물산공진회 포상수여식 朝鮮物産共進會 褒賞授與式 1915년 10월 17일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1915 조선물산공진회 폐회식 朝鮮物産共進會閉會式 1915년 10월 31일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개장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개회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포상수여식 hasPart temporal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폐회식 hasPart temporal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우리역사넷(국사편찬위원회) 조선물산공진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211&levelId=tg_004_1870&ganada=&pageUnit=10
해설 우리역사넷(국사편찬위원회) 김희정, 체제 순응과 근대화에의 욕망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22_0070_0010_0020
해설 민족문화연구소 식민통치의 화려한 선전장, 조선물산공진회 https://www.minjok.or.kr/archives/98026
도해 국가기록원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 http://theme.archives.go.kr/next/place/subject01.do?flag=2
사진 문화콘텐츠닷컴 조선물산공진회 전경(1915)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443&index_id=cp04431283&content_id=cp044312830001&search_left_menu=3
해설 광고정보센터매거진 최초의 박람회,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https://www.adic.or.kr/journal/column/show.do?ukey=295178
동영상 SBS "역사저널 그날" 식민통치를 전시하라, 조선물산공진회 http://allclip.sbs.co.kr/end.html?clipid=K01_LS-20190217203141-01-000_SC04
동영상 민족문화연구소 "경복궁 수난사 - 조선물산공진회" https://www.youtube.com/watch?v=zG-o-9YJl68
참고 구글아트앤컬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보고(朝鮮物産共進會京城協贊會報告)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report-on-the-gyeongseong-sponsoring-organization-of-the-joseon-local-products-expo-unknown/zAEI6S8Sb7NsqQ?hl=ko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 경복궁변천사-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상, 문화재청, 2007,
주윤정, 「‘朝鮮物産共進會’(1915)에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주윤정, 「조선물산공진회와 식민주의 시선」 『문화과학』 제33호, 2003
이순우,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에 관한 조사보고서 둘 』 하늘재, 2003
강민기, 「조선물산공진회와 일본화의 공적(公的) 전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한국근현대미술사학』 16권(pp.45-78), 2006
우동선 외 7인 ,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
안현정, 「시선의 근대적 재편, 일제치하의 전시공간 -박람회와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한국문화연구』 제19권 (pp.193 - 225 ), 2010
정윤희, 「1910년대 지방 물산공진회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최금미, 일제강점기 지방 물산공진회 건축에 관한 연구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공공건물 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일제강점기 자료조사 보고 제31집, 2018
최병택, 『욕망의 전시장: 식민지 조선의 공진회와 박람회』 서해문집, 2020

Notes

공진회 개최의 취지 및 목적[2]

"신정 시행 이래 해를 거듭하여 5년이 지났다. 제반 시설의 기초를 확립하고 산업 및 기타 문물의 개선 진보가 잇따랐다. 이를 보이고자 이번 가을 공진회를 개설해 널리 조선 각지의 물산을 모아 진열하여 제반 시설의 상황을 전시하고자 한다. 또한 신구 시설의 비교 대조를 명확히 한다. 이로서 일면에 있어서는 생산품과 생산 사업의 우열득실을 심사고핵하여 해당 업자를 고무 진작시키고자 한다. 또 다른 면에서는 조선 민중으로 하여금 신정의 혜택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이번 기회에 가능한 한 많은 수의 내지인을 초치(招致)하여 조선의 실상을 시찰케 하는 것을 주장하는 바인데, 이는 향후 조선의 개발에 있어 현저한 효과가 있을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다이쇼(大正) 4년은 신정(新政)을 시행한 지 만 5주년에 상당하여 본회(本會)를 개설하는 데 있어 극히 적당한 기회이며, 이에 시정 5년 기념의 취지를 가지고 내년 가을에 이 조선물산공진회를 경성부의 구舊 경복궁에서 개최하도록 한다. 

공진회와 박람회

공진회는 성격상 박람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전시회였다. '공진'은 '다 함께 발전한다'라는 뜻을 내포하여 각지에서 출품한 상품의 우열을 가려 우수한 출품에 대해 포상하여 품질의 향상을 장려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일반적인 박람회가 각 지역의 산물을 소개하여 그 판로를 개척하는 데 목적을 두는 반면에, 공진회는 산업의 발전을 장려하는 데 무게를 둔 박람회라고 볼 수 있다. [3]

경복궁 건물의 해체과정

1912년부터 경복궁 해체 작업이 시작되어 주요 정전을 제외한 4천개의 누각과 건물이 해체하여 민간에 불하하였다. 이러한 해체작업은 공진회-박람회로 이어지는 일제에 의한 박람회 공간조성으로 완결지어진다. [4]

references

  1. 『경복궁변천사-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상, 문화재청, 2007, 74쪽
  2. 朝鮮総督府 編, 『始政五周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 1916 ;우동선, 박성진 외 6인,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 p.284에서 재인용.
  3. 우동선, 박성진 외 6인,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p.308
  4.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일지사, 1996, 525-526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