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Additional Attributes)
(Contextual Relations)
51번째 줄: 5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왕]] || [[관이]] || [[hasPart]] ||
+
| [[왕]] || [[영전]] || [[hasPart]] ||
 
|-
 
|-
| [[노부]] || [[관이]] || [[hasPart]] ||
+
| [[노부]] || [[영전]] || [[hasPart]] ||
 
|-
 
|-
 
|}
 
|}

2020년 11월 11일 (수) 07:14 판

Definition

조선후기 국왕이나 장수가 군사 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하던 신표의 하나로서 사방 1척 5촌(45.5㎝) 크기의 화살이다. 화살대 중간에 ‘신(信)’ 자가 쓰인 비단 천을 매단 형태였다. 최초에는 영전과 신전(信箭)의 구분이 없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에는 다른 형태를 띠고 사용 시에도 구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군영별로 수십 발을 보유하고서 국왕의 행차나 장수의 행렬에 반드시 따르도록 하였다. 특히 진영(陣營)을 정돈하고 적군의 첩자가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신분을 증명할 표신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성문이나 궁궐 문을 닫을 때에도 신표로서 사용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영전 Object 물품 형명 영전(令箭) 영전 令箭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영전 영전-속병장도설.png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대표명칭 영전
한자표기 令箭
영문명칭
이칭
유형 물품
시대 고려, 조선
용도 노부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궁궐, 종묘, 사직, 선농단
관련물품 노부, 형명
관련유물유적 창덕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영전 hasPart
노부 영전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속병장도설 관이 documents
  • 길이: 15cm, 직경: 1cm, 자루: 300cm
  • 관이는 화살로, 영전보다 길이가 짧고 화살촉이 뾰족한 형태의 의례용 화살.
  • 고종명성후가례반차에서는 관이를 꽃아서 아래에 들 수 있는 자루를 만들었음
  • 자루는 홍색, 케이스 홍색, 관이는 대나무
속병장도설-관이.png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 실록사전 관이(貫耳)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관이(貫耳)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관이(貫耳)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689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속병장도설』 규장각 1749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만기요람』권11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집옥재본(集玉齋本)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Notes

  1. "영전",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