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관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왕자관례|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
[[왕자관례|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 이선]](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0년 10월 28일 (수) 01:06 판

Definition

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 이선(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왕자관례 Concept 개념용어 왕자관례(王子冠禮) 왕자관례 王子冠禮 완화군관례등록


왕자관례
(왕자관례(王子冠禮))
대표명칭 왕자관례
한자표기 왕자관례(王子冠禮)
이칭 성년식, 관례, 삼가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