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관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왕자관례|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 + | [[왕자관례|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 이선]](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8일 (수) 01:06 판
Definition
왕자관례(王子冠禮)는 조선시대 왕의 아들 가운데 왕위계승권자인 왕세자 이외의 대군(大君)과 군(君)의 유교식 성년식이다. 관례가 예의 시작으로서 중요했음에도 조선 왕실에서 왕세자관례가 실제 행해진 것은 중종 이후였다. 왕자관례는 1703년(숙종 29) 창경궁 통화문 안 동월랑에서 치러진 연잉군(1694~1776) 관례 때 정비되었다. 18세기 이후 왕자관례에 관한 기록으로 《연잉군관례등록》, 《연령군관례등록》, 《완화군관례등록》, 《의화군관례등록》 4건이 전하고 있다. 연령군(1699~1719)은 1706년에, 완화군 이선(1868~1880)은 1877년에, 의화군(1877~1950)은 1891년에 관례를 치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왕자관례 | Concept | 개념용어 | 왕자관례(王子冠禮) | 왕자관례 | 王子冠禮 | 완화군관례등록 |
왕자관례 (왕자관례(王子冠禮)) |
|
대표명칭 | 왕자관례 |
---|---|
한자표기 | 왕자관례(王子冠禮) |
이칭 | 성년식, 관례, 삼가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