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두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하는 여성 예관(禮冠)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족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하는 여성 예관(禮冠)이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족두리 족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20년 10월 20일 (화) 01:18 판

Definition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하는 여성 예관(禮冠)이다.[1]

  1. "족두리",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