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무문 현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던 광화문경복궁 중건과 함께 1867(고종4)년 재건되었다.<br> 1927년 총독부 청사가 들어설...)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던 [[광화문]]은 [[경복궁]] 중건과 함께 1867(고종4)년 재건되었다.<br>
+
‘신무(神武)’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신묘하게 뛰어난 무용(武勇)’을 의미하며, 또한 신령스러운 현무(玄武)로도 이해할 수 있다. 오행에서 북쪽은 어둠, 죽음, 살상(殺傷) 등을 의미하며 이 방향을 상징하는 상상 속의 신수(神獸)가 현무다. 『주역』 「계사상전(繫辭上傳)」에 다음과 같은 용례가 보인다. “그러므로 시초(蓍草)의 덕은 둥글면서 신묘(神妙)스럽고, ()의 덕은 네모져 지혜로우며, 여섯 효[六爻]의 뜻은 변화하여 길흉을 알려 준다. 성인(聖人)이 이 괘와 효의 내용으로써 마음을 깨끗이 씻고 은밀한 데에 물러나 감추며, 길흉간(吉凶間)에 백성과 더불어 근심을 함께한다. 신령스러운 능력으로 미래를 알고 지혜로 과거의 일을 간직하니, 그 누가 이에 참여하겠는가. 옛날의 총명하고 슬기로우며 신묘한 무력[神武]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을 함부로 죽이지 않은 자일 것이다.
1927년 총독부 청사가 들어설 때 [[건춘문]]의 북쪽으로 옮겨졌다가 한국전쟁시 폭격으로 소실되었던 광화문은 1968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15710&cid=50320&categoryId=50320 石築] 일부를 수리하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274&cid=50360&categoryId=50360 문루]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했었는데, 2006년 12월 광화문 제모습 찾기 사업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옮겨 복원하게 되었다.<br>
 
2006년까지 광화문에 걸려있던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1917-1979) 전대통령이 썼으며 한글체이다. 한국전쟁시까지 걸려 있던 것은 1865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9966&cid=40942&categoryId=31778 경복궁 중건] 당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23&cid=41826&categoryId=41826 훈련대장]으로서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187 영건도감(營建都監)]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396 제조(提調)]직을 맡아 공사를 총지휘했던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713 임태영(任泰瑛)]의 글씨였다.<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26쪽. </ref>  2010년 8월 임태영의 글씨를 복원하여 한자체로 되었다.
 
<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140600001&code=960100#csidxa9af2727ed04a71815fc440435ea985 이기환, 「광화문 현판, 훈민정음체가 어떤가…시민모임, "한자 '門化光'은 시대착오" 주장」, 경향신문, 2020.05.14 06:00]</ref>
 
 
 
'광화(光化)'는 천자나 군주에 의한 덕화(德化)를 의미한다. <br>
 
중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01456&cid=50356&categoryId=50356 동한(東漢) 영제(靈帝)]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83501&cid=40942&categoryId=33394 당나라 제22대 황제인 소종(昭宗)]이 연호로 사용하기도 했다.
 
 
 
태조 이성계가 정도전에게 법궁(임금이 거처하는 궁)이 될 [[경복궁]] 건설 책임을 맡겼을때, 정도전은 태양을 바라보고 있는 남문을 사방에서 어진 사람이 오가는 정문이라는 뜻의 사정문(四正門)으로 이름 붙였다. <br>
 
경복궁 사정문(四正門)이 지금의 [[광화문]]으로 이름이 바뀐 것은 세종 때다. <br>
 
그 유래에는 약간의 이론이 있는데 첫 번째 설은 경복궁 수리가 이뤄진 이후 집현전에서 서경의 '광피사표 화급만방(光被四表 化及萬方·빛이 사방을 덮고 교화가 만방에 미친다)'에서 따와서 광화문(光化門)이라 이름을 지어 올렸다는 것이다. 온 나라에 가득한 임금의 공덕을 백성들에게 각인시키겠다는 뜻이다.<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VN0OT4HBP 홍병문, "만파식적/광화문 현판", 서울경제, 2019.08.18 18:13:10]</ref>
 
<ref>[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1055 윤태곤, "광화문, 38년 만에 콘크리트 옷 벗는다. 이제는 '광피사표 화급만방' 할 수 있을까?", 프레시안, 2006.12.04. 15:20:00]</ref>
 
<br>
 
그러나 실제로 《尚書•堯典》에 "光被四表,格于上下"는 있지만, "光被四表 化及萬方"으로 이어진 구절은 찾아 볼 수 없다.<ref>[https://ctext.org/shang-shu/zh?searchu=%E5%85%89%E8%A2%AB%E5%9B%9B%E8%A1%A8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ref>
 
<ref>[http://daily.hankooki.com/lpage/coverstory/201202/wk20120223104514121180.htm  박대종, "박대종의 어원 이야기/ 光化門(광화문)명칭", 데일리한국, 2012.02.23 10:45]</ref><br>
 
두 번째는 [https://zh.wikisource.org/wiki/%E9%AD%8F%E6%9B%B8/%E5%8D%B721%E4%B8%8A#%E5%92%B8%E9%99%BD%E7%8E%8B 『위서(魏書)』「함양왕희전(咸陽王禧傳)]」에, "[https://blog.naver.com/pure11004/120169640522 禧]가 대답하였다. '<font color=#6B9900>폐하의 성스러움은 요순보다 뛰어나 중원을 광화(光化)하셨습니다......</font>'"라 하였던 구절에서 왔다는 것이다.<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26쪽. </ref>
 
<ref>[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429614&sectionId=ocp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광화문,건춘문]</ref><br>
 
첫 번째 설은 출전의 오류로 두 번째 설을 따르지만 모두 군주에 의한 덕화(德化)를 의미하는 것은 같다. <br>
 
 
 
([https://namu.wiki/w/%ED%9A%A8%EB%AC%B8%EC%A0%9C 高祖]引見朝臣,詔之曰:「卿等欲令魏朝齊美於殷周,為令漢晉獨擅於上代?」禧曰:「陛下聖明御運,實願邁迹前王。」 <br>
 
高祖曰:「若然,將以何事致之?為欲修身改俗,為欲仍染前事?」禧對曰:「宜應改舊,以成日新之美。」 <br>
 
高祖曰:「為欲止在一身,為欲傳之子孫?」禧對曰:「既卜世靈長,願欲傳之來葉。」 <br>
 
高祖曰:「若然,必須改作,卿等當各從之,不得違也。」禧對曰:「上命下從,如風靡草。」 <br>
 
高祖曰:「自上古以來及諸經籍,焉有不先正名,而得行禮乎?今欲斷諸北語,一從正音。年三十以上,習性已久,容或不可卒革;三十以下,見在朝廷之人,語音不聽仍舊。若有故為,當降爵黜官。各宜深戒。如此漸習,風化可新。若仍舊俗,恐數世之後,伊洛之下復成被髮之人。王公卿士,咸以然不?」禧對曰:「實如聖旨,宜應改易。」 <br>
 
高祖曰:「朕嘗與李沖論此,沖言:『四方之語,竟知誰是?帝者言之,即為正矣,何必改舊從新。』沖之此言,應合死罪。」乃謂沖曰:「卿實負社稷,合令御史牽下。」 <br>
 
沖免冠陳謝。又引見王公卿士,責留京之官曰:「昨望見婦女之服,仍為夾領小袖。我徂東山,雖不三年,既離寒暑,卿等何為而違前詔?」<br>
 
禧對曰:「<font color=#6B9900>陛下聖過堯舜,光化中原</font>,臣雖仰禀明規,每事乖互,將何以宣布皇經,敷贊帝則。舛違之罪,實合刑憲。」 <br>
 
高祖曰:「若朕言非,卿等當須庭論,如何入則順旨,退有不從。昔舜語禹,汝無面從,退有後言,其卿等之謂乎?」 <ref>[https://zh.wikisource.org/wiki/%E9%AD%8F%E6%9B%B8/%E5%8D%B721%E4%B8%8A#%E5%92%B8%E9%99%BD%E7%8E%8B 魏書/卷21上, 维基文库]</ref> )
 
 
 
  
 +
신무문의 성벽에는 ‘천하태평춘(天下太平春)’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온 세상이 태평스런 봄날과 같다’는 뜻이다. 온 나라가 태평성대를 누리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현판은 경복궁을 중건할 때 이현직(李顯稷)이 썼다. 이현직은 고종 때 어영대장 등의 관직을 지낸 이다.
  
 +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32쪽.</ref>
 +
<ref>문화재청,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430816&sectionId=ocp&pageIndex=1&pageUnit=10&strWhere=title&strValue=%ec%98%81%ec%b6%94%eb%ac%b8&sdate=&edate=&category=&mn=NS_01_02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영추문, 신무문, 계무문, 광무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41번째 줄: 16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화문_현판_실물]]|| Architecture|| 건축부품||궁문||광화문_현판(光化門_懸板)||광화문_현판||光化門_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광화문_현판_실물||
+
|[[신무문_현판]]|| Object||물품||현판||신무문 현판(神武門 懸板)||신무문_현판||神武門 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신무문_현판||
 
|}
 
|}
  
68번째 줄: 4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화문_현판_실물]]  || [[광화문]] || [[isPartOf]] ||  
+
|[[신무문_현판]]  || [[신무문]] || [[isPartOf]] ||
 +
|-
 +
|[[신무문_현판]] || [[주역]] || [[isRelatedTo ]] ||  
 
|-
 
|-
|[[광화문_현판_실물]] || [[광화문_현판_내용]] || [[hasPart]] ||  
+
|[[신무문_현판]] || [[이현직]] || [[calligrapher ]] ||  
 
|-
 
|-
 +
 
|}
 
|}
  
81번째 줄: 59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광화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광화문_현판 ||光化門_懸板 ||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신무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신무문 현판 ||神武門 懸板 ||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
 
|  ||  ||  ||  ||  ||  ||  ||  
 
|  ||  ||  ||  ||  ||  ||  ||  
136번째 줄: 114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周易: 繫辭上 || 神武  ||https://ctext.org/ancient-classics/zh?searchu=%E7%A5%9E%E6%AD%A6
 +
|-
 +
|참고||동양고전종합DB || 神武|| 神武검색건  ||http://db.cyberseodang.or.kr/front/search/index.do?srchCondition=A&SearchSelectKeyword=&srchKeyword=%E7%A5%9E%E6%AD%A6
 +
 
|}
 
|}
  

2020년 10월 14일 (수) 09:2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신무(神武)’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신묘하게 뛰어난 무용(武勇)’을 의미하며, 또한 신령스러운 현무(玄武)로도 이해할 수 있다. 오행에서 북쪽은 어둠, 죽음, 살상(殺傷) 등을 의미하며 이 방향을 상징하는 상상 속의 신수(神獸)가 현무다. 『주역』 「계사상전(繫辭上傳)」에 다음과 같은 용례가 보인다. “그러므로 시초(蓍草)의 덕은 둥글면서 신묘(神妙)스럽고, 괘(卦)의 덕은 네모져 지혜로우며, 여섯 효[六爻]의 뜻은 변화하여 길흉을 알려 준다. 성인(聖人)이 이 괘와 효의 내용으로써 마음을 깨끗이 씻고 은밀한 데에 물러나 감추며, 길흉간(吉凶間)에 백성과 더불어 근심을 함께한다. 신령스러운 능력으로 미래를 알고 지혜로 과거의 일을 간직하니, 그 누가 이에 참여하겠는가. 옛날의 총명하고 슬기로우며 신묘한 무력[神武]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을 함부로 죽이지 않은 자일 것이다.”

신무문의 성벽에는 ‘천하태평춘(天下太平春)’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온 세상이 태평스런 봄날과 같다’는 뜻이다. 온 나라가 태평성대를 누리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현판은 경복궁을 중건할 때 이현직(李顯稷)이 썼다. 이현직은 고종 때 어영대장 등의 관직을 지낸 이다.

[1]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신무문_현판 Object 물품 현판 신무문 현판(神武門 懸板) 신무문_현판 神武門 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신무문_현판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value
id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신무문_현판 신무문 isPartOf
신무문_현판 주역 isRelatedTo
신무문_현판 이현직 calligrapher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신무문_현판 서울특별시_종로구 신무문 현판 神武門 懸板 37.5759369 126.9768157 38.49 m (126.28 ft)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周易: 繫辭上 神武 https://ctext.org/ancient-classics/zh?searchu=%E7%A5%9E%E6%AD%A6
참고 동양고전종합DB 神武 神武검색건 http://db.cyberseodang.or.kr/front/search/index.do?srchCondition=A&SearchSelectKeyword=&srchKeyword=%E7%A5%9E%E6%AD%A6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32쪽.
  2.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영추문, 신무문, 계무문, 광무문",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