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Contextual Relations)
45번째 줄: 45번째 줄: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산뢰]]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산과 구름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慱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國朝五禮序例』 0001권, 奎185-v.1-2, 044a-044a면,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br/>[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91 한국전통지식포털.]</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91/1200x1200/ratio/ktc000291-200/jpg.image"/></html>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산뢰]]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산과 구름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慱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國朝五禮序例』 0001권, 奎185-v.1-2, 044a-044a면,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br/>[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91 한국전통지식포털.]</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91/1200x1200/ratio/ktc000291-200/jpg.image"/></html>
 
|-
 
|-
| [[대한예전|『대한예전』]] || [[대준]]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76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76/1200x1200/ratio/ktc001476-200/jpg.image"/></html>
+
| [[대한예전|『대한예전』]] || [[산뢰]]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산과 구름을 새겨서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라고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 者取象雲雷愽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 尊也○周禮圖云畵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77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77/1200x1200/ratio/ktc001477-200/jpg.image"/></html>
 
|-
 
|-
 
| [[종묘의궤|『종묘의궤』]] || [[산뢰]]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그려 산과 구름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뇌(礨)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베풀어지는 것이 임금의 덕이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는 것과 같음을 취하여 상징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후씨(夏后氏 우(禹) 임금)의 준이다."라고 하였다.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00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004/1200x1200/ratio/ktc001004-200/jpg.image"/><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7/궁중기록화_물품_산뢰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종묘의궤|『종묘의궤』]] || [[산뢰]]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그려 산과 구름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뇌(礨)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베풀어지는 것이 임금의 덕이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는 것과 같음을 취하여 상징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후씨(夏后氏 우(禹) 임금)의 준이다."라고 하였다.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00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004/1200x1200/ratio/ktc001004-200/jpg.image"/><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7/궁중기록화_물품_산뢰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2020년 10월 3일 (토) 14:10 판

Definition

조선시대의 각종 국가·왕실 의례에서 사용된 제기. 술이나 물을 담는 큰 항아리이다. 산에 구름이 낀 형세를 몸체에 새기거나 그려 넣은 술동이. 산준은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준(尊) 중 한 종류이다. ‘산뢰(山罍)’라는 별칭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6준은 실제로는 5준 1뢰를 의미한다. ‘뢰(罍)’는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왕의 은혜가 여러 신하들에게 두루 미치는 것과도 같다는 의미가 있었다. 이런 뜻으로 인해 산준보다는 ‘산뢰’로 많이 지칭되었다. [1] 세종실록오례 ◎ 산뢰(山罍) :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준(尊)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만든다. 뇌(罍)라 이르는 것은,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풂이 인군(人君)이 은혜를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게 함과 같음을 취하여 형상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준(尊)이다."고 하였고,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그려서, 한 개에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한 개에는 앙제(盎齊)를 채운다."고 하였다. ◎ 山罍 : 《禮書》云: "山罍, 山尊也。 刻而畫之, 爲山雲之形。 謂之罍者, 取象雲雷博施, 如人君下及諸臣。 山罍, 夏后氏之尊也。" 《周禮圖》云: "畫山雲形, 一盛玄酒, 一盛盎齊。"[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산뢰 Object 물품 제기 산뢰(山罍) 산뢰 山罍 ritual vessel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산뢰


국사편찬위원회[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산뢰
이칭/별칭
재질
색상
사용 신분 국가제사, 왕실제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세종실록오례』 산뢰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준(尊)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만든다. 뇌(罍)라 이르는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혜택을 베풂이 인군(人君)이 은혜를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게 함과 같음을 취하여 형상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준(尊)이다.”고 하였고,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그려서, 한 개에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한 개에는 앙제(盎齊)를 채운다.”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3]
국사편찬위원회[2]
『국조오례의』 산뢰 documents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산과 구름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慱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4]
『대한예전』 산뢰 documents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산과 구름을 새겨서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라고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 者取象雲雷愽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 尊也○周禮圖云畵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5]
『종묘의궤』 산뢰 documents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그려 산과 구름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뇌(礨)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베풀어지는 것이 임금의 덕이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는 것과 같음을 취하여 상징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후씨(夏后氏 우(禹) 임금)의 준이다."라고 하였다.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6]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사직서의궤』[7] 대준 documents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8]
1783년(정조 7) 1월 8일에 사직서(社稷署)의 제례의식[祭儀]제식(祭式)·단(壇)·유(壝)·관사(館舍) 등을 참고하고자 작성된 5권 3책의 의궤가 편찬되어, 1804년(순조 4) 1차 증보되고, 1842년(현종 8) 2차 증보됨.
『제기도감의궤』[9] 대준 documents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10]
1611년(광해군 3) 8월 24일 건원릉(健元陵)과 현릉(顯陵)에 친제(親祭)를 거행하기 위해 제기가 부족하자, 그해 9월 9일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이듬해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각종 제기를 만든 전말을 기록하고 있음./ 대준(大尊)은 조선시대에 왕실의 제사 때 술이나 물을 담는 술그릇이다. 사직(社稷)에 4개를 만들어 사용한다.
산뢰 국립고궁박물관[11] currentLocation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1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산뢰(山罍) 대준(大尊)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용작(龍勺)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멱(冪)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도설 세종실록오례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대준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21#
도설 국조오례의 대준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대준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278&category=A&sWord=대준
참고 한국전통지식포탈 대준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pageNo=1&pageSize=&keyword=대준&target=CRA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대준(大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2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준 항목없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7
참고 위키 실록사전 대준(大尊)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준(大尊)
참고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산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산뢰
도해 세종실록 오례 대준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b01.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