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월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Online Reference)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 | |- |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 ||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 || | ||
− | + | |- | |
+ | | 참고 || http://cafe.daum.net/rhdwndnjsgytk/py4/3761?q=%EC%84%9D%EC%A0%9C%EC%95%BD%EC%97%B0 || || | ||
|} | |} | ||
2020년 10월 2일 (금) 01:40 판
목차
[숨기기]Definition
칼자루의 길이가 2m 이상이 되는 병장기로 임진왜란 때 중국에서 전래된 칼의 일종이다. 칼등을 두 갈래로 갈라 삭모를 드리웠으며 칼자루와 칼날의 이음새에 용머리를 새겼다.용머리가 칼을 물고 있는 형상인데, 이는 용의 아홉 아들 중 하나인 애자(睚眦)를 나타낸 것이다. 주로 기병이 사용했으며, 보병이 사용한 것은 대부분 의장용이다. 반차도에서 갓과 도포차림의 관원이 언월도를 들고 행렬 앞에 서거나 궁문을 지키는 병사들이 시위용으로 사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언월도 | Object | 물품 | 언월도(偃月刀) | 언월도 | 偃月刀 |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 value |
---|---|
id | 언원도 |
제작 | 조선시대 |
재질 | 철, 나무 |
길이 | 215 cm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해섷 | 다음백과사전 | |||
해설 | 네이버백과사전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
참고 | http://cafe.daum.net/rhdwndnjsgytk/py4/3761?q=%EC%84%9D%EC%A0%9C%EC%95%BD%EC%97%B0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고궁박물관>>개관도록 | (주)눌와 |
Notes